$\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10 no.1, 2020년, pp.1 - 15  

심선화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은주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은영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본 연구 15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개별 논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효과크기(Fisher z)를 계산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들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계산을 실시하였다. 결과 : 관련 변수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크기를 알아본 결과, 교육수준, 급여, 나이와 기타의 경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크기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변수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이직의도(ES = 1.161)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 대한 관련변수의 효과크기 분석 결과, 관계갈등, 조직체계 및 직무자율의 하위요인에서는 유의한 효과크기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물리적 환경, 부적절한 보상, 고용불안, 직무요구 및 직장문화에서는 유의한 효과크기의 관련변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전체 직무스트레스에서 나타난 변수들의 효과크기와 하위 변수별로 분석한 변수들의 효과크기는 다르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에 따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심리적인 요인인 만족도, 소진, 자기효능감은 개별 하위요인에 따라 중간 크기의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는데,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therapist's job stress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5 studies that examined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general c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메타분석은 같은 주제로 시행된 여러 개별연구들을 분석하여 통합하고자 하는 의도로 이루어지는 연구방법이다(Glass, 1976). 다수의 연구의 결과들을 함축성 있게 통합하여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 계량적,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며 단편적인 결과로부터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메타분석의 특징으로는 수량적 결과 제시, 상이한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효과 크기 계산, 통합적 결론 도출이 제시되고 있다(Borenstein, Hedges, Higgins, & Rothstein, 2011).
  •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별 연구물들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메타분석 연구는 5편의 연구에 대해 분석한 Cha(2012)의 연구 외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5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고 총 618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 또한 메타분석을 통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종합할 수 있다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영향력 있는 변수에 대한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 각 변수의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여 작업치료사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작업치료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전체 직무스트레스에서 나타난 변수들의 효과크기와 하위 요인별로 분석한 변수들의 효과크기는 다르게 나타나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에 따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첫째,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가설 설정

  • 둘째,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에 따른 변수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하위요인으로 확인된 것은 무엇인가? 직무스트레스는 단일요인이 아닌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경우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고용불안, 관계갈등, 조직체계, 부적절한 보상, 직장문화의 8개 하위요인의 타당도가 확인되었으며, 단축형의 경우 물리적 환경을 제외한 7개 하위요인 구조가 보고되었다(Chang et al, 2005).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 요인 구조를 탐색한 연구에서도 직장문화, 조직체계, 직무 자율성결여, 보상부적절,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능력, 직무불안정의 8개 요인 구조를 보고하였다(Choi et al.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환경이나 개인적 특성 간의 상호 작용으로 개인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무환경 요소와 개인과의 상호 작용에서 불일치로 작용하는 신체, 심리 불균형 상태로 정의된다(Lee & Park, 201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 도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직무요건이 근로자의 능력(capabilities)이나 자원(resources), 바램 (needs)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 정서적 반응”으로 정의하고 이 정의를 바탕으로 43문항으로 구성된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였다(Chang et al, 2005).
다른 보건의료전문가에 비해 더 큰 직무스트레스를 겪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작업치료에게는 치료중재를 위한 전문적 지식과 개별화된 치료접근이 요구되며, 팀접근을 위한 전문영역간 의사소통 및 팀워크, 치료 서비스의 대상인 환자와의 지속적인 접촉이 필요하기 때문에 육체적 · 정신적 긴장이 높아 직무스트레스가 더욱 높다(Ko, Seo, & Park, 1996; Chung, 2002). 특히 다른 보건의료전문가에 비해 직접 환자를 대면하여 치료중재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Park & Kim, 2008), 더 큰 직무관련 스트레스를 겪을 수 밖에 없다.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들은 직무스트레스가 환자들의 치료만족도, 작업치료사의 삶의 만족도,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으며(Sweeney, Nicholls, & Kline, 1991), 최근 들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Balogun, J. A., Titiloye, V., Balogun, A., Oyeyemi, A., & Katz, J. (2002).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burnout among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Allied Health, 31(3), 131-139.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NY: Englewood Cliffs. 

  4. Becker, B. J. (1988).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change measure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41(2), 257-278. 

  5.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 (2011).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NY: John Wiley & Sons. 

  6. Cha, Y. J. (2012).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 factors in job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Korea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6), 380-389. 

  7. Chandola, T., Siegrist, J., & Marmot, M. (2005). Do changes in effort-reward imbalance at work contribute to an explanation of the social gradient in angina?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2(4), 223-230. 

  8. Chang, S. J., Koh, S. B., Kang, D., Kim, S. A., Kang, M. G., Lee, C. G., ... & Kim, J. W.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9. Cho, D. N., Kang, D. H., & Lee, T. Y. (2017). Coping strategies for job-related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1), 57-69. 

  10. Choi, J. S., & Song, B. N. (2012). The correlations between job-stress and job-relation feature in occupational therapist working in nursing home facil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2(2), 51-60. 

  11. Choi, Y. I., Kim, E. J., & Park, E. Y. (2011).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in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7), 255-233. 

  12. Chung, H. W., & Lee, O. H. (2011). The influence of job stres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mong beginning and experienced preschool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3), 31-54. 

  13. Chung, J. J. (2002). The effect of hospital environment on employee's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28(3), 72-76. 

  14. Cicolini, G., Comparcini, D., & Simonetti, V. (2014). Workplace empowerment and nurses' job satisfac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2(7), 855-871. 

  1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ural sciences.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6. Estabrooks, C. A., Floyd, J. A., Scott Findlay, S., O'Leary, K. A., & Gushta, M. (2003). Individual determinants of research utiliz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5), 506-520. 

  17. Freudenberger, H. (1977). Burnout: The organizational menace. Training and Developmental Journal, 31, 26-27. 

  18. Glass, G. V. (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5(10), 3-8. 

  19. Han, D. S., Jung, M. Y., Yoo, E. Y., & Chung, B. I. (2008). The factors of work-related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Korean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1), 109-118. 

  20. Han, S. H., Noh, D. H., Son, B. Y., Lee, N. J., An, S. J., & Kim, K. Y. (2012) Effects of preventive activitie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 on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pain and job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 29-41. 

  21. Higgins, J. P., & Thompson, S. G. (2002). Quantifying heterogeneity in a meta analysis. Statistics in Medicine, 21(11), 1539-1558. 

  22. Hoy, W. K,. & Woolfolk, A. E. (1993). Teacher' sense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 

  23. Kim, J. J., Roh, J. H., Won, J. U., Lee, S. Y., & Chang, S. 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3), 173-182. 

  24. Kim, W. R., Park, J. Y., Yun, Y. J., Choi, W. H., Lee, I. K., & Jung, S. M. (2018).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ist job stress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3), 287-295. 

  25. Kim, Y. C., & Bae, C. H. (2006).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in heavy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1(4), 108-113. 

  26. Ko, J. W., Seo, Y. J., & Park, H. Y. (1996).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employ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9(2), 295-308. 

  27. Kwon, J. A., Roh, J. H., Chang, S. J., Won, J. U., & Sim, S. H. (2007).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1), 117-130. 

  28. Kwon, S. M. (2011).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kindergarten and preschool teachers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5), 313-333. 

  29. Lee, H. K., & Chung, J. Y. (2014). Study of job stress,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3), 177-192. 

  30. Lee, H. K., & Jung, J. Y. (2016). Factors of job stress influencing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55(1), 233-245. 

  31. Lee, H. Y., & Park, K. S. (2013).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f the longterm care worke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2), 274-298. 

  32. Lee, J. M. (2013).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ir work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2(1), 81-97. 

  33. Lee, S. E., & Hong, G. R. S. (2017). Development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1), 86-96. 

  34. Leiter, M. P. (1991). Coping patterns as predictors of burnout: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2(2), 123-144. 

  35. Lloyd, C., & King, R. (2004). A survey of burnout among Australian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ists and social work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9(9), 752-757. 

  36. Louis, M. R. (1983). Organizations as culture-bearing milieux. In L. R. Pondy (Ed.), Organizational Symbolism. New York: JAI Press. 

  37. Maslach, 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8. Moore, W. P., & Esselman, M. E. (1994). Exploring the context of teacher efficacy: The role of achievement and climat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70 919). 

  39. Park, E. Y., & Kim, E. J. (2008).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10), 208-216. 

  40. Park, S. U., & Kim, M. Y. (2006).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demand, job burnout and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Korean Management Review, 35(2), 367-388. 

  41. Park, S. Y., & Kim, J. K. (2017). The relations between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rehabilitation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2), 43-51. 

  42. Park, W. S., & Kim, J. M. (2013). The attitude of job for occupational therapis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3(2), 67-74. 

  43. Pines, A. M., & Kanner, A. D. (1982). Nurses' burnout: Lack of positive conditions and presence of negative conditions as two independent sources of stres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20(8), 30-35. 

  44. Rogers, J. C., & Dodson, S. C. (1988). Burnout in occupational therapis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2(12), 787-792. 

  45. Rosenth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641. 

  46. Ruy, S. H., & Lee, J. M. (2014). Degree of work stress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typ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medical rehabilitation center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3(1), 25-40. 

  47. Shim, J. H., Cha, T. H., & Oh, D. W. (2009). A study on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3), 111-120. 

  48. Song, D. H., Lee, J. M., & Park, H. K. (1988). Re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1), 123-146. 

  49. Sweeney, G. M., Nicholls, K. A., & Kline, P. (1991). Factors contributing to work-related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s: Results from a pilot stud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8), 284-288. 

  50. Wood, R., & Bandura, A. (1989). Social cognitive theory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4(3), 361-384. 

  51. Yang, Y., Hur, J. G., Noh, Y. M., & Lee, G. C. (2007). The study of job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6(3), 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