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부-대학원 연계 지역문제해결형 수업설계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Designing Community Problem Solving Education based on the Undergraduate-Graduate Class Linkage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5, 2020년, pp.16 - 25  

한경희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designing and operating a class model link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suggest its development directio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undergraduate-graduate linked class model was applied to community proble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공계 인력의 대학원 진학을 촉진하기 위해 추친한 사업은? 예컨대, 미국은 2000년을 전후하여 이공계 대학원에 진학하는 자국 학생의 비율이 급격히 줄어들자 이를 심각한 국가적 아젠다로 설정하여 대응 전략을 마련하기도 했다(미국과학·공학·공공정책위원회, 1998). 우리나라 역시 우수한 이공계 인력의 대학원 진학을 촉진하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BK21 사업 등 대학원 지원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왔다(이정미 외, 2013).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한 팀을 이루어 활동하면서도 각 전공 분야의 역량과 수준에 맞추어 학습을 진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학생들에게는 팀 기반의 활동을 바탕으로 토론, 문헌 검토,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과 매주 진전된 내용을 보고서로 제출하도록 했다. 다양한 수준의 학습 성과를 제시했기 때문에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한 팀을 이루어 활동하면서도 각 전공 분야의 역량과 수준에 맞추어 학습을 진행할 수 있었다. 수업 완료 후 평가에서 학생들은 이 수업이 학부와 대학원 강의의 새로운 유형인데다 새로운 여러 영역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는 점, 현실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신감을 갖게 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교수 중심, 강의 중심의 전통적 교육 방식에서 학습자 기반, 현장 중심, 학제적 협력 중심의 개혁이 활발히 모색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대학교육이 변화하고 있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학문 탐구와 전문인 양성을 통해 대학이 사회 발전을 이끌었지만, 지금은 사회가 대학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는 양상이다. 교수 중심, 강의 중심의 전통적 교육 방식에서 학습자 기반, 현장 중심, 학제적 협력 중심의 개혁이 활발히 모색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임세윤 외, 2016; 한경희·최문희,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미국과학.공학.공공정책위원회 저, 민철구 역.(1998). 이공계대학원 교육의 개혁. 한국경제신문사. 

  2. 이정미 외(2013). 대학원 교육 운영 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 임세윤.박윤희.배광민(2016). 공학과 HRD 융합교육에 대한 요구. 공학교육연구, 9(3), 54-64. 

  4. 진성희.최지은.김학일(2019).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융합전공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공학교육연구, 22(6), 74-88. 

  5. 한경희.최문희(2018). 리빙랩 기반 공학설계교육의 경험과 평가: 학생들은 언제, 어떻게 배우는가?. 공학교육연구, 21(4), 10-19. 

  6. 한지영(2019).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교과목의 플립러닝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22(1), 22-28. 

  7. 허준행 외(2012). 연구와 교육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연구재단. 

  8. Ahn, Benjamin & Cox, M. F.(2016). Knowledge, Skills, and Attributes of Graduate Student and Postdoctoral Mentors in Undergraduate Research Setting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5(4), 605-629. 

  9. Behar-Horenstein, L. S., Roberts, K. W. & Dix, A. C.(2010). Mentoring Undergraduate Researchers: An Exploratory Study of Students' and Professors' Perceptions. Mentoring and Tutoring: Partnership in Learning, 18(3), 269-291. 

  10. Coyle, E. J., Jamieson, L. H. & Oakes, W. C.(2006). Integrating Engineering Education and Community Service: Themes for the Future of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005 Bernard M. Gordon Prize Lecture. 

  11. Han, Bumsoo.(2018). Transcending Disciplines: Challenges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Research in Complex Society: Interdisciplinary is not enough anymore. Working paper. 

  12. Hathaway, R. S., Nagda, B. A. & Gregerman, S. R.(2002). The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Research Participation to Graduate and Professional Education Pursuit: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3(5), 614-631. 

  13. Hunter, A. B., Laursen, S. L. & Seymour, E.(2006). Becoming a Scientist: The Role of Undergraduate Research in Students' Congitiv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cience Education, 91(1), 36-74. 

  14. Oaks, W. C. et al.(1999). Equipping Undergraduates for the Graduate School Proces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53-359. 

  15. Shellito, C. et al.(2001). Successful Mentoring of Undergraduate Researchers: Tips for Creating Positive Student Research Experience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0(7), 460-4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