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치모델을 이용한 소분지에서의 지하수 인공함양 효과 예비 평가
Preliminary Assessment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Effect Using a Numerical Model at a Small Basin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30 no.3, 2020년, pp.269 - 278  

최명락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방재학과) ,  차장환 ((주)신우엔지니어링 융합기술연구소) ,  김규범 (대전대학교 건설안전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장 주입 시험 및 3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상류 소분지에서의 수직정을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효과를 예비 평가하였다. 현장 주입 시험의 주입량, 지하수위 및 입도 분석 자료에 의한 수리전도도 등을 이용하여 모델의 공당 주입량을 20, 37.5, 60, 75 ㎥/day로 설정하였으며, 주입 간격에 따른 총 28개의 경우에 대하여 MODFLOW를 활용한 수치모델을 실시하여 지하수위 및 물수지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입 후 주변 관측정에서의 지하수위 상승이 공당 주입량과 비례적인 선형 관계를 보이진 않았으며, 주입 간격이 길어지면 누적 효과가 감소하여 최대 수위상승 시기가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경우의 공당 주입량을 매일 연속으로 주입하여 총량 1,200 ㎥을 주입할 경우, 주입량 대비 36.5~65.3%의 함양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장기간의 가뭄에 대응하고 보다 지속적인 양수를 위해서는 차수벽 등 지하수 저류시설을 병행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며, 추후 주입 시설의 최적화 및 함양-취수의 시나리오 확보를 통하여 안정적인 인공함양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through vertical wells in the upper small basin are preliminarily evaluated by using field injection test and a 3-D numerical model. The injection rate per well in a model is set to 20, 37.5, 60, and 75 ㎥/day based on the results 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까지 하강하는 등 극심한 가뭄으로 제한급수가 이어졌으며, 강원도의 경우 강수량은 평년의 절반수준에 불과하여 농경지 7,358 ha에서 가뭄이 발생하였다(CNI, 2016). 이와 같이 2015년 발생한 극한 가뭄은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 도입의 필요성을 대두시켰으며, 본 연구에서는 가뭄 취약성이 큰 상류 소분지에서의 인공함양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함양수의 주입량과 주입 간격 등에 따른 함양 분지 내에서의 수문학적 변화를 예측, 평가하고 지하수 인공함양의 효과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B-4 지점의 실험 조건이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주입 대수층 구간을 약 10 m, 모델 영역의 k 값이 두 배 정도 크다는 점을 적용하면 식 (1)에 의하여 약 110 m3/day 까지 주입 가능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데, 모델에서는 실현 가능한 공당 주입량 조건을 20, 37.5, 60, 75 m3/day 등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 인공함양의 목적은 무엇인가? 지하수 인공함양(artificial recharge)은 관정, 도랑, 수로, 습지 등 자연적 구조 및 인위적인 시설을 통해 지표수나 지하수를 주입하여 대수층에 함양시키는 방법으로 지하수 수량을 증대시키거나 조기에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하수 인공함양은 지표 댐에 비하여 수문학적, 경제적인 장점이 있는데, 장단기적인 지하 저장을 위해 인공함양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Moon et al.
2015년 심각한 가뭄에 의한 우리나라 물 부족 현상은 어떠하였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심각한 가뭄으로 인하여 물 부족이 발생한 바 있다. 충청남도의 누적강수량은 548.7 mm로 평년(1,245.8 mm)의 44% 수준을 나타냈으며, 보령댐의 저수율이 21.5%까지 하강하는 등 극심한 가뭄으로 제한급수가 이어졌으며, 강원도의 경우 강수량은 평년의 절반수준에 불과하여 농경지 7,358 ha에서 가뭄이 발생하였다(CNI, 2016). 이와 같이 2015년 발생한 극한 가뭄은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 도입의 필요성을 대두시켰으며, 본 연구에서는 가뭄 취약성이 큰 상류 소분지에서의 인공함양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함양수의 주입량과 주입 간격 등에 따른 함양 분지 내에서의 수문학적 변화를 예측, 평가하고 지하수 인공함양의 효과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지하수 인공함양 중에서 직접 주입하는 방법의 의의는? 지하수 인공함양 중에서 직접 주입하는 방법은 가뭄 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데, 비수요기의 잉여의 수자원을 활용하여 공극성 지층 내에 저류시킴으로써 물 수요기에 취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프리카나 인도 등과 같은 물 부족지역에서 하천변 충적 분지를 대상으로 기술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제주도 화산암 지역 및 수막재배 지역에서 일부 적용이 된 바 있는데, 인공함양을 통한 제주지역 대수층 지하저류 증대방안 효과 평가 및 해수침입 억제효과 분석(MAF, 1996), 수막재배지역의 지중 침투형 갤러리를 이용한 인공함양 예비 평가 연구(M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ang, S., Chung, I.M., Kim, Y., Moon, S.H., 2016, Long-term groundwater budget analysis based on integrated hydrological model for water curtain cultivation site: Case study of Cheongweo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3), 201-2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NI (ChungNam Institute), 2016, Drop analysi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 in Chungcheongnam-do, Strategic Research 2016-34, 71p. 

  3. Dupuit, J., 1863, Etudes theoriques et pratiques sur le mouvement des eaux dans les canaux decouverts et a travers les terrains permeables, 2eme edition; Dunot, Paris. 

  4. Hamm, S.Y., Cheong, J.Y., Kim, H.S., Hahn, J.S., Cha, Y.H., 2005,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a riverbank filtration area, Deasan-Myeon, Changwon city,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8(1), 67-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EITI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2019, Demand response supply service program, IoT-based artificial cultivation and well network technology development for optimal management of groundwater supply in drought areas, Annual Performance Plan for Yellowing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417p. 

  6. Kim, G.B., Hwang, C.I., Choi, M.R., 2020, Assessment of the need and potential for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based on the water supply, water demand, and aquifer properties in a drought region of South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In Press. 

  7. Kim, G.B., Hwang, C.I., Shin, H.J., Choi, M.R., 2019, Applicability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estimation method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unmeasured area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5(6), 693-7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Y.D., Shin, D.M., Kim, B.J., Kim, G.B., 2019, Selecting aquifer artificial recharge method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quifer,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9(4), 483-4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MA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1996, A study of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in Cheju area, 116p. 

  10. Moon, S.H., Ha, K., Kim, Y., Koh, D.C., Yoon, H., 2014, Examination for efficiency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in alluvial aquifer near Nakdong river of Changweon area,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7(6), 611-6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Moon, S.H., Kim, Y., Kim, S.Y., Ki, M.G., 2016, Setup of infiltration galleries and preliminary test for estimating its effectiveness in Sangdae-ri water curtain cultivation area of Cheongju,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9(6), 445-4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Oh, S.H., Kim, Y., Koo, M.H., 2011, Modeling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in the Hancheon drainage area,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6(6), 34-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Park, G., Lee, H., Koo, M.H., Kim, Y., 2016, Strategies for an effective artificial recharge in alluvial stream-aquifer systems undergoing heavy seasonal pumping,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3), 211-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