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코프 체인 몬테카를로 및 앙상블 칼만필터와 연계된 추계학적 단순 수문분할모형
Stochastic Simple Hydrologic Partitioning Model Associated with Markov Chain Monte Carlo and Ensemble Kalman Filter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6 no.5, 2020년, pp.353 - 363  

최정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공학전공)) ,  이옥정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원정은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공학전공))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logic model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ose for understanding physical processes and those for predicting hydrologic quantities. This study deals with how to use the model to predict today's stream flow based on the system's knowledge of yesterday's state and the model parameters. In 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와 동시에, 관측 유량자료가 매일 업데이트되는 것을 받아서(yt) 당일에 모의된 토양수분을 갱신하였으며(#), 갱신된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다시 다음 날의 유량(#)을 모의하였다(추계학적 SHPM 모의, S-SHPM). D-SHPM으로부터 모의된 유량과 S-SHPM으로부터 모의된 유량의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자료동화된 토양수분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Fig. 2 참조).
  • 첫 번째 시나리오(Table 4의 Parameter: 1-std ND)는 매개변수 사후분포의 표준편차와 동일한 정규분포에서 매개변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경우이다. Fig. 4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는 정규분포와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정규분포로 가정하였을 경우에 대한 EnKF의 성능 민감도를 살펴볼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실제로 EnKF를 이용하는 많은 연구들에서 표본 추출의 용이성을 위하여 매개변수의 표본을 균등분포 또는 정규분포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Bae et al.
  • 따라서 사후분포의 적절한 수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이 선행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M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얻은 목적은 이후 EnKF에서 사용될 매개변수 불확실성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즉, 추가적인 사전정보의 반영이나 별도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을 통한 사후분포의 수렴도 개선은 추후 별도의 연구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EnKF 과정에서 매일 1,000개의 앙상블을 모의한 결과(S-SHPM)이며, 앙상블 평균한 결과가 [S-SHPM]이다. 본 연구에서 토양수분은 관측할 수 없는 상태변수이며, 따라서 관측 가능하고 예측 가능한 변수인 하천유량의 예측 정확성을 통하여 토양수분 추정의 정확도를 살펴보게 된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 4개 댐 상류 유역(안동댐, 합천댐, 남강댐, 밀양댐)을 대상으로 앙상블 칼만필터의 성능이 평가되었다. 고려된 자료동화 문제는 강수량 및 잠재증발산량 입력자료와 관측 하천유량자료를 비교적 간단한 장기간 연속유출모형에 동화하여 하천유량 예측 향상을 위한 유역 평균 토양수분의 상태를 갱신하는 것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수준이외에, 입력자료(강우 및 잠재증발산) 및 출력자료(유량)의 관측오차가 EnKF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식 (11)의 v와 식 (16)의 p에 0.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극한강우사상 중심의 홍수유출모형에 집중되어 있으며, 장기간 연속유출모형과 자료동화기법을 연계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연속유출모형에 앙상블 칼만필터를 적용하여 토양수분의 상태를 일상적으로 갱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기간 연속유출모의가 가능한 간단한 수문분할모형을 구성하고, 모형에 공간평균강우, 공간평균 잠재증발산, 유역 출구의 하천유량 관측자료를 동화시켜 유역의 토양수분 상태를 일 단위로 갱신해 보고자 한다.
  • 앞서 살펴본 불확실성 시나리오 외에도 불확실성 수준에 대한 EnKF 성능의 민감도를 조사하기 위해 불확실성이 더 큰 시나리오를 설계하여 살펴보았다. 즉, SHPM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강우 및 잠재증발산 입력자료의 불확실성, 관측 유량자료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각각 낮은 수준, 중간 수준, 높은 수준의 오차가 부여되었을 때의 EnKF의 성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는 관측 유량자료의 분산이다. 유량자료에 평방근을 취한 이유는 큰 유량에 치우쳐서 사후분포가 고 유량에 적합하도록 편향되게 표본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도입된다.

가설 설정

  • SHPM 매개변수의 사전분포는 균등분포로 가정하였다. 균등분포의 하한과 상한은 매개변수의 물리적인 의미를 참고하여, 가능한 넓은 범위의 구간을 갖도록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량 관측오차는 관측 값의 10 % 만큼의 표준편차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즉, p= 0.1).
  • 는 시간 t+1에서 매개변수, f는 모형, n는 EnKF에서 실행되는 표본추출 횟수이다. 이 때, 입력자료 ut+1(본 연구에서는 일 강수량 및 일 잠재증발산량)은 아래와 같은 관측오차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문모형은 무엇에 의해 정의되는가? 수문모형은 일반적으로 매개변수 및 상태(state)에 의해 정의된다. 매개변수는 지표면 및 지표하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일반적으로 시간 불변인 것으로 간주되며, 상태는 모형이 채택한 수문 프로세스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물의 흐름이나 저장된 물의 양을 의미한다.
사후분포의 적절한 수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이 선행되어야 가능할 것 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두 번째 원인으로는 매개변수의 유출모의에 대한 민감도이다. 유출모의에 영향력이 크지 않는 매개변수는 어떠한 값이 추정되더라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작기 때문에 넓은 범위의 매개변수 사후분포가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후분포의 적절한 수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이 선행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수문모형에서 매개변수는? 수문모형은 일반적으로 매개변수 및 상태(state)에 의해 정의된다. 매개변수는 지표면 및 지표하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일반적으로 시간 불변인 것으로 간주되며, 상태는 모형이 채택한 수문 프로세스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물의 흐름이나 저장된 물의 양을 의미한다. 매개변수, 토양수분의 초기조건, 강수량 및 잠재증발산산과 같은 외력의 불확실성은 수문예측에 상당한 오차를 유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bbaspour, K., Yang, J. Maximov, I., Siber, R., Bogner, K, Mieleitner, J., and Srinivasan, R. (2007). Modelling hydrology and water quality in the pre-Alpine/Alpine thur watershed using SWAT, Journal of Hydrology, 333, 413-430. 

  2. Allen, R. G., Pereira, L. 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3. Bae, D. (1997). Development of stochastic real-time flood forecast system by storage function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0(5), 449-457. [Korean Literature] 

  4. Bae, D., Lee, B., and Georgakakos, K. (2009). Stochastic continuous storage function model with ensemble Kalman filtering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11), 953-961. [Korean Literature] 

  5. Brocca, L., Melone, F., Moramarco, T., Wagner, W., Naeimi, V., Bartalis, Z., and Hasenauer, S. (2010). Improving runoff prediction through the assimilation of the ASCAT soil moisture product,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4, 1881-1893. 

  6. Chen, F., Crow, W., Starks, P., and Moriasi, D. (2011). Improving hydrologic predictions of a catchment model via assimilation of surface soil moisture, Advances in Water Resources, 34, 526-536. 

  7. Cloke, H. and Pappenberger, F. (2009). Ensemble flood forecasting: a review, Journal of Hydrology, 375, 613-626. 

  8. De Lannoy, G., Houser, P., Pauwels, V., and Verhoest, N. (2007). State and bias estimation for soil moisture profiles by an ensemble Kalman filter: effect of assimilation depth and frequency, Water Resources Research, 43, W06401. http://dx.doi.org/10.1029/2006WR005100 

  9. Demargne, J., Wu, L., Regonda, S., Brown, J., Lee, H., He, M., Seo, D., Hartman, R., Fresch, M., and Zhu, Y. (2014). The science of NOAA's operational hydrologic ensemble forecast service,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5(1), 79-98. 

  10. Evensen, G. (2003). The ensemble Kalman filter: theoretical formulation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Ocean Dynamics, 53, 343-367. 

  11. Gupta, H., Kling, H., Yilmaz, K., and Martinez. G. (2009). Decomposition of the mean squared error and NSE performance criteria: Implications for improving hydrological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377(1-2), 80-91. 

  12.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HRFCO). (2020).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http://www.wamis.go.kr (accessed Sept. 2020). 

  13. Jazwinski, A. (1970). Stochastic processes and filtering theory, Academic Press, 376. 

  14. Joh, H., Park, J., Jang, C., and Kim, S. (2012). Comparing prediction uncertainty analysis techniques of SWAT simulated streamflow applied to Chungju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9), 861-874. [Korean Literature] 

  15. Kalman, R. (1960). A new approach to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problems, Journal of Basic Engineering, 82(1), 35-45. 

  16. Kim, R., Won, J., Choi, J., Lee, O., and Kim, S. (2020). Application of Bayesian approach to parameter estimation of TANK model: Comparison of MCMC and GLUE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6(4), 300-313. [Korean Literature] 

  17. Leach, J., Kornelsen, K., and Coulibaly, P. (2018). Assimilation of near-real time data products into models of an urban basin, Journal of Hydrology, 563, 51-64. 

  18. Lee, B. and Bae, D. (2011). Streamflow forecast model o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11), 853-861. [Korean Literature] 

  19. Lee, D., Kim, Y., Yu, W., and Lee, G. (2017). Evaluation on applicability of on/off-line parameter calibration techniques in rainfall-runoff model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0(4), 241-252. [Korean Literature] 

  20. Lee, O., Choi, J., Sim, I., Won, J., and Kim, S. (2020). Stochastic parsimonious hydrologic partitioning model under East Asia Monsoon climate and its application to climate change, Water, 12(1), 25. dol:10.3390/w12010025 

  21. Li, Z. and Navon, I. (2001). Optimality of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Kalman filter and smoother,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27(572), 661-683. 

  22. Liu, H., Tian, F., Hu, H. C., Hu, H. P., and Siavapalan, M. (2013). Soil moisture control on patterns of grass green-up in Inner Mongolia: an index based approach,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7, 805-815. 

  23. Liu, Y. and Gupta, H. (2007). Uncertainty in hydrologic modeling: toward an integrated data assimilation framework, Water Resources Research, 43, W07401. http://dx.doi.org/10.1029/2006WR005756 

  24. Maybeck, P. (1979). Stochastic models, estimation, and control; Volume 1, Academic Press, New York. 

  25. Me, W., Abell, J. M., and Hamilton, D. P. (2015). Effects of hydrologic conditions on SWAT model performance and parameter sensitivity for a small, mixed land use catchment in New Zealand,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9, 4127-4147. 

  26. Meng, S., Xie, X., and Yu, X. (2016). Tracing temporal changes of model parameters in rainfall-runoff modeling via a real-time data assimilation, Water, 8(1), 19. doi:10.3390/w8010019 

  27. Moradkhani, H., Sorooshian, S., Gupta, H., and Houser, P. (2005). Dual state-parameter estimation of hydrological models using ensemble Kalman filter, Advances in Water Resources, 28, 135-147. 

  28. Nash, J. and Sutcliffe, J.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 282-290. 

  29. Patil, S. and Stieglitz, M. (2015). Comparing spatial and temporal transferability of hydrological model parameters, Journal of Hydrology, 525, 409-417. 

  30. Rafieeinasab, A., Seo, D., Lee, H., and Kim, S. (2014). Comparative evaluation of maximum likelihood ensemble filter and ensemble Kalman filter for real-time assimilation of streamflow data into operational hydrologic models, Journal of Hydrology, 519, 2663-2675. 

  31. Reichle, R., McLaughlin, D., and Entekhabi, D. (2002). Hydrologic data assimilation with the ensemble Kalman filter, Monthly Weather Review, 130(1), 103-114. 

  32. Ritter, A. and Munoz-Carpena, R. (2013). Performance evaluation of hydrological models: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reducing subjectivity in goodness-of-fit assessments, Journal of Hydrology, 480, 33-45. 

  33. Ryu, J., Kang, H., Choi, J., Kong, D., Gum, D., Jang, C., and Lim, K. (2012). Application of SWAT-CUP for streamflow auto-calibration at Soyang-gang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3), 347-358. [Korean Literature] 

  34. Schaake, J., Hamill, T., Buizza, R., and Clark, M. (2007). HEPEX, the hydrological ensemble prediction experiment,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8, 1541-1547. 

  35. Schellekens, J., Weerts, A., Moore, R., Pierce, C., and Hildon, S. (2011). The use of MOGREPS ensemble rainfall forecasts in operational flood forecasting systems across England and Wales, Advances in Geosciences, 29, 77-84. 

  36. Thielen, J., Schaake, J., Hartman, R., and Buizza, R. (2008). Aims, challenges and progress of the Hydrological Ensemble Prediction Experiment (HEPEX). following the third HEPEX workshop held in Stresa 27 to 29 June 2007. Atmospheric Science Letters, 9(2), 29-35. 

  37. Troch, P., Paniconi, C., and McLaughlin, D. (2003). Catchmentscale hydrological modeling and data assimilation, Advances in Water Resources, 26, 131-135. 

  38. U.S. Department of Agriculture-Soil Conservation Service (USDA-SCS). (1985).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Hydrolog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Service, Washington, DC, USA. 

  39. Weerts, A. and Serafy, G. (2006). Particle filtering and ensemble Kalman filtering for state updating with hydrological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42(9), W09403. http://dx.doi.org/10.1029/2005WR004093 

  40. Werner, K., Brandon, D., Clark, M., and Gangopadhyay, S. (2005). Incorporating medium range numerical weather model output into the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system of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Journal of Hydrometeorology, 6, 101-114. 

  41. Werner, M., Cranston, M., Harrison, T., Whitfield, D., and Schellekens, J. (2009). Recent developments in operational flood forecasting in England, Wales and Scotland. Meteorological Applications, 16(1), 13-22. 

  42. Xie, X. and Zheng, D. (2010). Data assimilation for distributed hydrological catchment modeling via ensemble Kalman filter, Advances in Water Resources, 33(6), 678-6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