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9년 한국의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Monitoring Reports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of South Korea in 2019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9 no.3, 2020년, pp.203 - 207  

이지은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이효빈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소라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효중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  이승환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홍기정 (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 ,  정철의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동순 (제주대학교 아열대생명과학연구소) ,  박종석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이원훈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7개 권역에서 실시하였다. 총 7권역, 87지역, 288지점에서 총 12,285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완료하였으며, A. diospyri, B. dorsalis, B. minax, B. tsuneonis, C. pomonella, L. botrana, Proeulia sp., S. invicta, S. takeyai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조사 연구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고위험 해충의 전국단위의 감시체계를 구축 및 예찰조사 거점 지역을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itoring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and Stephanitis takeyai, were carried out in seven regions from April to October in 2019. A total of 12,285 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번 연구에서는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파리목: 과실파리과),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나비목: 잎말이나방과), Solenopsis invicta(벌목: 개미과), Stephanitis takeyai(노린재목: 방패벌레과), Aceria diospyri(털진드기목: 혹응애과))에 대하여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13회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고위험해충 9종의 국내 미분포를 확인하였다.
  • botrana, Proeulia sp.는 1, 2, 3, 5권역에서, B. dorsalis는 4, 6, 7권역에서, A. diospyri, S. takeyai는 4, 6권역에서, B. minax, B. tsuneonis는 7권역에서 각각 조사하였다.
  • 조사 기간은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13회(4월 2회, 5월 2회, 6월 2회, 7월 2회, 8월2회, 9월 2회, 10월 1회)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 선정시 B. dorsalis는 기주식물(귤, 배, 유자, 파파야), 외국인 밀집지역, 검역본부 예찰 미실시 지역, 코드린나방은 기주식물(배, 사과, 복숭아) 재배지역을 고려하였으며, S. invicta는 기주식물, 화훼단지(묘목), 공항만/물류센터, 외국인 밀집지역, 검역본부 예찰 미실시 지역을 고려하였다. L.
  •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예찰조사를 위해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권역별 조사지역을 선정 후, 트랩설치 및 달관조사를 실시하였다(1권역­경기강원/서울대학교, 2권역­충청/충북대학교, 3권역­전북/군산대학교, 4권역­전남/순천대학교, 5권역­경북/안동대학교, 6권역­경남/경상대학교, 7권역­제주/제주대학교)(Fig. 1, Table 1).

대상 데이터

  • , A. diospyri, S. takeyai, B. minax, B. tsuneonis는 주요 기주식물 재배지(포도­L. botrana, Proeulia sp., 단감­A. diospyri, S. takeyai, 감귤­B. minax, B. tsuneonis)를 고려하여 조사지역을 선정하였다.
  •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는 매년 Solenopsis invicta, Bactrocera dorsalis 등과 같은 고위험 해충의 박멸을 위해 공항만 등에서 국경 후 예찰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조사시기가 특정 시기에 편중되어있고, 전문 예찰인력 부족으로 상시예찰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2018년 고위험해충에 대한 국내 유입여부를 상시 조사하고, 발생시 조기 대응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전국 7개 대학(경상대학교, 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이 참여하여 고위험해충 예찰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Lee et al., 2019).
  • dorsalis는 발견되지 않았다. B. minax와 B. tsuneonis는 감귤 재배지역인 7권역내 3지역, 9지점에 27개 트랩을 각각 설치하였다. 2종에 대하여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702개의 트랩을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 B.
  • 개미류 S. invicta는 1­7권역내 21지역, 63지점에 189개 트랩을 설치하였다.
  • 결과

    과실파리류 B. dorsalis는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4, 6, 7권역내 9지역, 54지점에 162개 트랩을 설치하였다. 총 2,106개 트랩을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 B.

  • 한국의 경우, 침입병해충에 대한 예찰은 현재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의해 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와 같은 민‧관‧학 협력을 통한 침입병해충 예찰은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2018년에 7개 대학(경상대학교, 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과 농림축산검역본부가 협력하여 전국단위의 고위험 해충 감시체계 및 예찰조사 네트워크를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13회에 걸쳐 침입위험 고위험해충 9종에 대하여 총 12,285개의 트랩운영 및 달관조사를 통하여 이들 해충의 국내 미분포를 확인하였다.
  • 잎말이나방류 C. pomonella는 1, 2, 3, 5권역내 15지역, 45지점에 216개 트랩을 설치하였다.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2,808개의 트랩을 운영하였으며, 조사 결과 C.
  • 혹응애류 A. diospyri와 방패벌레류 S. takeyai는 단감재배지역인 4, 6권역 내 6지역, 18지점을 조사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2종에 대하여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3반복 달관조사를 실시하여, 총 1,404회 달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A.

이론/모형

  • botrana, Proeulia sp., S. invicta는 트랩조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A. diospyri, S. takeyai는 달관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다룬 고위험 외래해충 9종은 무엇인가? 이번 연구에서는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파리목: 과실파리과),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나비목: 잎말이나방과), Solenopsis invicta(벌목: 개미과), Stephanitis takeyai(노린재목: 방패벌레과), Aceria diospyri(털진드기목: 혹응애과))에 대하여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13회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고위험해충 9종의 국내 미분포를 확인하였다.
1996년부터 2014년도까지 보고된 침입해충은? 2011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침입해충은 170종이었으며(Hong et al., 2012), 1996년부터 2014년도까지 보고된 침입해충은 딱정벌레목 8종, 노린재목 10종, 나비목 3종, 파리목 7종, 총채벌레목 2종, 벌목 3종으로 총 33종이며, 이중 8종(Planococcus minor, Ricania shantungensis, Corythucha marmorata, Vespa velutina nigrithorax, Dasineura oxycoccana, Dasineura sp. near datifolia, Liriomyza sativae, Sagra femorata)은 2012년에서 2014년 사이에 국내 침입하였다(Lee et al., 2016). 최근 전 세계적 문제해충인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의 국내침입이 보고되었다(Lee et al.
2011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침입해충은 총 몇 종이였는가? 최근 FTA 등 무역의 국제화에 따라 새로운 외래해충들이 급격히 유입되고 있으며, 아열대 작물 등 다양한 품종의 재배와 이상 기후에 의해 과거에 발생이 적었던 해충들이 돌발적으로 대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2011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침입해충은 170종이었으며(Hong et al., 2012), 1996년부터 2014년도까지 보고된 침입해충은 딱정벌레목 8종, 노린재목 10종, 나비목 3종, 파리목 7종, 총채벌레목 2종, 벌목 3종으로 총 33종이며, 이중 8종(Planococcus minor, Ricania shantungensis, Corythucha marmorata, Vespa velutina nigrithorax, Dasineura oxycoccana, Dasineura s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Hong, K.-J., Lee, J.-H., Lee, G.-S., Lee, S., 2012. The status quo of invasive alien insect species and plant quarantine in Korea. J. Asia Pac. Entomol. 15, 521-532. 

  2. Lee, G.-S., Seo, B.Y., Lee, J., Kim, H., Song, J.H., Lee, W., 2020. First report of the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Smith, 1797) (Lepidoptera, Noctuidae), a new migratory pest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9, 73-78. 

  3. Lee, J., Lee, H., Ki, W., Kim, D.-S., Kim, S., Kim, H., Park, J.-S., Oh, J., Yu, Y., Lee, S., Lee, J., Jung, C., Cho, G., Hong, K.-J., Lee, W., 2019. Monitoring Reports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in 2018. Korean J. Appl. Entomol. 58, 183-187. 

  4. Lee, W., Lee, Y., Kim, S., Lee, J.-H., Lee, H., Lee, S., Hong, K.-J., 2016. Current status of exotic insect pests in Korea: comparing border interception and incursion during 1996-2014. J. Asia Pac. Entomol. 19, 1095-1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