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8년 고위험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Monitoring Reports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in 2018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8 no.3, 2019년, pp.183 - 187  

이지은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이효빈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기웅 (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동순 (제주대학교 아열대생명과학연구소) ,  김수빈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SARI)) ,  김효중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  박종석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오재석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유영혁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  이승환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재하 (다살이생물자원연구소) ,  정철의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조건호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홍기정 (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 ,  이원훈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농생명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위험해충의 국내 유입 및 발생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예찰협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7개 대학(경상대학교, 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이 참여하여 고위험해충 9종(Aceria diospyri,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 일본과실파리(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 포도애기잎말이나방(Lobesia botrana), Proeulia sp., 붉은불개미(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2018년 6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한 뒤, 105개 지역 내 315개 지점에서 총 7,560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 A. diospyri, 오리엔탈과실파리, 일본과실파리, B. tsuneonis, C. pomonella, 포도애기잎말이나방, Proeulia sp., 붉은불개미, S. takeyai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하여 고위험해충을 조기 탐지할 수 있는 전국단위의 감시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국경 이후 외래침입해충들의 예찰조사를 위한 거점 지역을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ablish the cooperative monitoring network which can investigate introductions or outbreaks of high risk insect pests into Korea, seven universiti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unsan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ong National University, J...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 diospyri, S. takeyai는 단감재배지역인 4, 6권역에서 각각 3지역을 선정, 9지점에서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단감 재배지에서 3반복 달관조사를 실시하였다. 각각 432지점 달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A.
  • 본 연구를 통해 6월부터 10월까지 8회에 걸쳐 고위험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7,680개의 트랩운영 및 달관조사를 통하여 이들 해충의 국내 미분포를 확인하였다.
  •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1,512개의 트랩을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코드린 나방은 발견되지 않았다. 붉은불개미는 1-7권역, 21지역, 63지점에서 화훼단지(묘목), 배, 사과, 복숭아, 아로니아, 자두, 농산물공판장, 미군부대, 물류기지, 휴게소, 목재가공 및 적재소, 외국인밀집지역 및 검역본부 예찰 미실시 지역을 중심으로 트랩조사를 실시하였다.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1,512개의 트랩을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 붉은불개미는 발견되지 않았다.
  • , Stephanitis takeyai)을 선정하였다. 예찰조사를 위해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총 105개 지역 내 315개 지점을 선정 후 960개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8회를 실시하였으며, 7개 권역 105개 지역 내 315개 지점에서 총 7,680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완료하여, 고위험해충 9종의 국내 미분포를 확인하였다
  • 오리엔탈과실파리는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1-7권역, 21지역, 63지점에서 재배되는 감귤류, 복사나무, 뽕나무, 복숭아, 사과, 배, 포도, 레드향, 유자, 한라봉, 천혜향, 토마토 및 미군부대지역을 대상으로 트랩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512개의 트랩을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 오리엔탈과실파리는 발견되지 않았다.
  • Proeulia sp.와 포도애기잎말이나방는 포도재배지역인 1, 2, 3, 5권역에서 12지역 36지점에서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포도재배지에서 트랩조사를 실시하였다. 2종에 대한 트랩은 각각 864개를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 Proeulia sp.
  •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외래침입해충들에 대한 국내 유입 조사 및 발견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민 ‧ 관 ‧ 학으로 구성된 예찰협력시스템이 부재했다. 이에, 고위험해충에 대한 국내 유입 여부를 상시 조사하고, 발생 시 조기 대응할 수 있는 전국단위의 예찰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전국 7개 대학(경상대학교, 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이 참여하여 고위험해충들에 대한 예찰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해충은 고위험침입해충 3종(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 붉은불개미(Solenopsis invicta)), 수출품목 침입해충 6종(Aceria diospyri, 일본과실파(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포도애기잎말이나방(Lobesia botrana), Proeulia sp.
  • 일본과실파리, B. tsuneonis는 감귤 재배지역인 7권역, 3지역, 9지점에서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감귤재배지에 서 트랩조사를 수행하였다. 2종에 대한 트랩은 각각 216개를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 일본과실파리, B.
  • 조사기간은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8회(6월 1회, 7월 2회, 8월 2회, 9월 2회, 10월 1회)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 선정 시, 오리엔탈과실파리는 기주식물(귤, 배, 유자, 파파야), 외국인밀집지역, 검역본부 예찰 미실시 지역, 코드린나방은 기주식물(배, 사과, 복숭아), 검역본부 예찰 미실시 지역을 고려하였으며, 붉은불개미는 기주식물, 화훼단지(묘목), 공항만/물류센터, 외국인밀집지역, 검역본부 예찰 미실시 지역을 고려하였다. 포도애기잎말이나방, Proeulia sp.
  • 예찰조사를 위해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총 105개 지역 내 315개 지점을 선정 후 960개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8회를 실시하였으며, 7개 권역 105개 지역 내 315개 지점에서 총 7,680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완료하여, 고위험해충 9종의 국내 미분포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6월부터 10월까지 8회에 걸쳐 고위험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7,680개의 트랩운영 및 달관조사를 통하여 이들 해충의 국내 미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들 고위험해충들은 금지해충 또는 관리해충으로서 국내 정착 시농업에 큰 피해가 우려된다.
  • 총 1,512개의 트랩을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 오리엔탈과실파리는 발견되지 않았다. 코드린나방은 1-7권역, 21지역, 63지점에서 재배되는 배, 사과, 복숭아, 아로니아, 복사나무, 매실나무, 비파나무를 대상으로 트랩조사를 실시하였다.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1,512개의 트랩을 운영하였으며, 조사결과코드린 나방은 발견되지 않았다.

대상 데이터

  • 포도애기잎말이나방, Proeulia sp., A. diospyri, S. takeyai, 일본과실파리, B. tsuneonis는 주재배지(포도, 단감, 감귤)를 고려하여 조사지역을 선정하였다(Supplementary Table 1).
  • 조사대상 해충은 고위험침입해충 3종(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 붉은불개미(Solenopsis invicta)), 수출품목 침입해충 6종(Aceria diospyri, 일본과실파(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포도애기잎말이나방(Lobesia botrana), Proeulia sp., Stephanitis takeyai)을 선정하였다. 예찰조사를 위해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총 105개 지역 내 315개 지점을 선정 후 960개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다.
  • takeyai는 단감재배지역인 4, 6권역에서 각각 3지역을 선정, 9지점에서 6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단감 재배지에서 3반복 달관조사를 실시하였다. 각각 432지점 달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A. diospyri, S. takeyai는 발견되지 않았다.
  • 고위험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를 위해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7개 대학이 권역별 3개 조사지역을 선정 후, 지역 당 3개 지점을 선정, 각 지점에 3개의 트랩을 설치하였다(1권역경기강원/서울대학교, 2권역-충청/충북대학교, 3권역-전북/군산대학교, 4권역-전남/순천대학교, 5권역-경북/안동대학교, 6권역-경남/경상대학교, 7권역-제주/제주대학교)(Fig. 1, Table 1). 조사대상 해충 9종 중, 오리엔탈과실파리, 코드린나방, 붉은불개미는 7개 권역에서 공통으로 조사되었으며, 1, 2, 3, 5권역에서는 포도애기잎말이나방, Proeulia sp.

이론/모형

  • tsuneonis, 코드린나방, 포도애기잎말이나방, Proeulia sp., 붉은불개미는 트랩조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A. diospyri, S. takeyai는 달관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Fig. 2, 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단위의 예찰협력 네트워크를 위해 참여한 대학은?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외래침입해충들에 대한 국내 유입 조사 및 발견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민 ‧ 관 ‧ 학으로 구성된 예찰협력시스템이 부재했다. 이에, 고위험해충에 대한 국내 유입 여부를 상시 조사하고, 발생 시 조기 대응할 수 있는 전국단위의 예찰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전국 7개 대학(경상대학교, 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이 참여하여 고위험해충들에 대한 예찰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해충은 고위험침입해충 3종(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 붉은불개미(Solenopsis invicta)), 수출품목 침입해충 6종(Aceria diospyri, 일본과실파(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포도애기잎말이나방(Lobesia botrana), Proeulia sp.
고위험식물병해충의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기후변화 및 국제교역량, 여행객, 외국 이주민 증가 등으로 국내 농작물에 큰 피해를 가할 수 있는 고위험식물병해충의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해충의 경우, 2011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침입해충은 170종이었으며(Hong et al.
국내에 보고된 침입해충으로 무슨종이 있는가? 해충의 경우, 2011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침입해충은 170종이었으며(Hong et al., 2012), 1996년부터 2014년도까지 보고된 침입해충은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나비목, 파리목, 총채벌레목, 벌목에 속하는 33종으로 매년 침입해충의 종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Lee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