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2020년 예찰조사 보고
Reporting the Results of Monitoring Nine High Risk Insect Pests of South Korea in 2020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60 no.4, 2021년, pp.357 - 361  

이효빈 (경상국립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효중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  이승환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홍기정 (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 ,  정철의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동순 (제주대학교 아열대생명과학연구소) ,  박종석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이원훈 (경상국립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국 7개 권역, 78지역, 222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2,045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종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는 201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3년동안의 조사연구를 통해 7개 대학이 참여하는 전국단위의 외래해충 감시체계가 구축되었고 예찰조사 거점 지역들을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itoring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and Stephanitis takeyai, were carried out in seven regions from April to October in 2020. A total of 12,045 t...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16)

  1. Ashihara, W., Kondo, A., Shibao, M., Tanaka, H., Hiehata, K., Izumi, K. 2004. Ecology and control of eriophyid mites injurious to fruit trees in Japan. Jpn. Agric. Res. Q. 38, 31-41. 

  2. CABI, 2019. Stephanitis takeyai. Invasive Species Compendium. https://www.cabi.org/isc/datasheet/51544 (accessed on 02 December 2019). 

  3. CABI, 2020a. Bactrocera tsuneonis. Invasive Species Compendium. https://www.cabi.org/isc/datasheet/8745 (accessed on 10 December 2020). 

  4. CABI, 2020b. Bactrocera minax. Invasive Species Compendium. https://www.cabi.org/isc/datasheet/8726 (accessed on 10 December 2020). 

  5. De Villiers, M., Hattingh. V., Kriticos, D.J., Brunel, S., Vayssieres, J.F., Sinzogan, A., Billah, M.K., Mohamed, S.A., Mwatawala, M., Abdelgader, H., Salah, F.E., Meyer, M.De., 2016.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Bactrocera dorsalis: considering phenology, 106, 19-33. 

  6. Flores, M.F., Bergmann, J., Ballesteros, C., Arraztio, D., Curkovic, T., 2021. Development of monitoring and mating disruption against the chilean leafroller Proeulia auraria (Lepidoptera: Tortricidae) in orchards. Insects. 12, 625. 

  7. Gordh, G., McKirdy, S., 2014. The handbook of plant biosecurity. Springer, New York. 

  8. Hong, K.-J., Lee, J.-H., Lee, G.-S., Lee, S., 2012. The status quo of invasive alien insect species and plant quarantine in Korea. J. Asia Pac. Entomol. 15, 521-532. 

  9. Leeson, J.Y., Thomas, A.G., Hall, L.M., Brenzil, C.A., Andrews, T., Brown, K.R., Van Acker, R.C., 2005. Prairie weed surveys of cereal, oilseed and pulse crops from the 1970s to the 2000s. Weed Survey Series Publ.05-1.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Saskatoon Research Centre, Saskatoon, 395. 

  10. Lee, W., Lee, Y., Kim, S., Lee, J.-H., Lee, H., Lee, S., Hong, K.-J., 2016. Current status of exotic insect pests in Korea: comparing border interception and incursion during 1996-2014. J. Asia Pac. Entomol. 19, 1095-1101. 

  11. Lee, J., Lee, H., Ki, W., Kim, D.-S., Kim, S., Kim, H., Park, J.-S., Oh, J., Yu, Y., Lee, S., Lee, J., Jung, C., Cho, G., Hong, K.-J., Lee, W., 2019. Monitoring Reports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in 2018. Korean J. Appl. Entomol. 58, 183-187. 

  12. Lee, J., Lee, H., Kim, S., Kim, H., Lee, S., Hong, K. -J., Jung, C., Kim, D. -S., Park, J. -S., Lee, W., 2020a. Monitoring Reports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of South Korea in 2019. Korean J. Appl. Entomol. 59, 203-207. 

  13. Lee, G.-S., Seo, B.Y., Lee, J., Kim, H., Song, J.H., Lee, W., 2020b. First Report of the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Smith, 1797) (Lepidoptera, Noctuidae), a New Migratory Pest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9, 73-78. 

  14. Lyu, D.P., Lee H.S., 2017. The Red imported fire ant, Solenopsis invicta Buren (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 discovered in Busan sea port,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6, 437-438 

  15. Morrison, L.W., Porter, S.D., Daniels, E., Korzukhin, M.D., 2004. Potential global range expansion of the invasive fire ant, Solenopsis invicta. Biol. Invasions. 6, 183-191. 

  16. Sherwani, A., Mukhtar, M., Wani, A.A., 2016. Insect pests of apple and their management. Insect pest management of fruit crops. New Delhi: Biotech Books, 295-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