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 기반 재난위험저감 (Ecosystem-based Disaster Risk Reduction; Eco-DRR)의 역할과 연구방안 원문보기

물과 미래 : 한국수자원학회지 = Water for future, v.53 no.9, 2020년, pp.52 - 57  

김정욱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물환경평가연구과)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김수전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실례로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서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해 제방이 무너지는 등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그 이후 생태계 기반의 재난위험저감 능력 평가 결과 생태계 기반의 접근 방식이 기존 물리적 재난 대비 방안 보다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홍수 저감 능력도 좋게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미시시피강 유역의 습지와 해안 습지 및 맹그로브 숲을 복원하여흥수, 폭풍해일 등에 대한 재해를 대비하고 있다.
  • 이렇듯, 생태계 기반의 재해위험저감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재난을 대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그림 2). 둘째, 태풍, 호우, 산사태, 흥수 해일 등 다양한 재난에 대응이 가능하다. 건강한 생태계는 폭풍, 폭우, 사면재해, 홍수, 쓰나미 등 다양한 자연재난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다.
  • 있다. 셋째, 재난을 대비하기 위한 사업, 운영 및 유지관리 비용이 인공구조물을 활용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사회인프라에 있어 0&M의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미래 사회인프라 관련 프로젝트에서 건설비용의 감소 및 서비스 수명연장이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 또한, 재난 위험 감소 효과를 방해하는 생태계 변화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여섯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관광 및 1차 산업을 지원하여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Eco-DRR을 이용한 생태계 기능의 유지 및 향상 기능은 적절한 관리를 필요로 하며, 이를 통해 지역 자워의 사용을 촉진하고 각 지역의 고유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 Eco-DRR을 이용한 생태계 기능의 유지 및 향상 기능은 적절한 관리를 필요로 하며, 이를 통해 지역 자워의 사용을 촉진하고 각 지역의 고유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일곱째,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하며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을 1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위험이 현실화 된 현재 이러한 재난위험을 줄이기 위해 자연과 인간 사회의 적응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후속연구

  • 즉, 기존의 재난 위험 저감 계획에 습지 관리를 통합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지역사회와 유역, 해안 지역의 복원탄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습지연구를 Eco-DRR의 개념에서 재난 위험 저감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방향으로 1) 재난위혐평가에 습지와 습지가 제공하는 헤택 고려, 2) 개발계획과 토지이용 변화, 습지 악화 및 재난 위험 패턴 사이의 연관성 파악, 3)재난 복원 탄력성에 기여하기 위한 습지 복원 계획 연구, 4) 다양한재난 위험 관리 시나리오에 습지 생태계 서비스 포함과 같은 습지 연구 방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습지의 훼손은 홍수 가뭄, 및 폭풍 해일과 같은 물 관련 위험에 대한 탄력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즉, 기존의 재난 위험 저감 계획에 습지 관리를 통합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지역사회와 유역, 해안 지역의 복원탄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습지연구를 Eco-DRR의 개념에서 재난 위험 저감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방향으로 1) 재난위혐평가에 습지와 습지가 제공하는 헤택 고려, 2) 개발계획과 토지이용 변화, 습지 악화 및 재난 위험 패턴 사이의 연관성 파악, 3)재난 복원 탄력성에 기여하기 위한 습지 복원 계획 연구, 4) 다양한재난 위험 관리 시나리오에 습지 생태계 서비스 포함과 같은 습지 연구 방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rg: Synthesis. Island Press, Washington, DC, 137 pp. 

  2. Ministry of the Environment(環境省)(2016), Ecosystem-based Disaster Risk Reduction in Japan, A handbook for practitioners. 

  3. Nehren, U., Sudmeier-Rieux, K. Sandholz, S., Estrella, M., Lomarda, M. and T. Guillin. (2014). The Ecosystem-Based Disaster Risk Reduction case Study and Exercise Source Book, Geneva and Cologne: Partnership for Environment and Disaster Risk Reduction and Center for Natural Resources and Development 

  4. Sudmeier-Rieux, K. and Ash, N. (2009). Environmental Guidance Not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Healthy Ecosystems for Human Security, Revised Edition. Gland, Switzerland: IUCN, iii+34 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