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축 가능한 에폭시 베이스 전도성 접착제 개발
Development of Epoxy Based Stretchable Conductive Adhesive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7 no.3, 2020년, pp.49 - 54  

남현진 (전자부품연구원 ICT디바이스패키징연구센터) ,  임지연 (전자부품연구원 ICT디바이스패키징연구센터) ,  이창훈 (전자부품연구원 ICT디바이스패키징연구센터) ,  박세훈 (전자부품연구원 ICT디바이스패키징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축/유연한 전극을 무언가에 접착하거나 전극에 무언가를 접착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특성에 맞는 전도성 접착제가 필요하다. 전도성 접착제는 접착성과 전도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접착성 부분은 내구성과 내열성이 요구되며 기존 접착제와 다르게 전도성까지 보유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강도와 접착성이 좋은 에폭시를 접착제로 선정하였고 여기에 기존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소재가 아닌 가소제와 보강제까지 혼합하여 4액형 소재를 사용하여 신축/유연성을 고분자에 부여하였다. 전도성 필러는 비저항이 낮은 재료인 은으로 선정하였고 높은 전도성을 위해 3가지 모양의 Ag 입자를 사용해 패킹성을 높였다. 이렇게 개발된 전도성 접착제와 실제 판매되고 있는 에폭시 기반 전도성 접착제 2개와 전도성을 비교하였고 실제 판매되고 있는 제품보다 약 10배정도의 우수한 전도성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가소제와 보강제 여부에 따른 전도성, 기계적 특성, 접착력, 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120℃에서 5분 경화 후에 60%의 인장에도 문제가 없었으며 연필경도는 6H로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3M tape test를 통해 전극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바인더의 배합 비율에 관계없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전극 위에 Cu sheet를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부착시킨 후 접촉저항을 확인한 결과 0.3 Ω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ttach a stretchable/flexible electrode to something or something to on electrode, conductive adhesives must be stretchable/flexible to suit the properties of the electrode. In particular, conductive adhesive require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unlike conventional adhesives, they should 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빠른 시간 안에 경화가능하고 높은 전도성과 접착강도를 보유한 전도성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대부분의 접착제는 전도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도성 필러를 첨가함으로써 이를 보완하고 고분자를 경화함으로 접착제의 내구성과 접착 강도를 증가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신축 가능하고 경도까지 우수한 내구성을 보유한 높은 전도성의 에폭시 기반 전도성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에폭시 전극 자체만으로 기계적 시험에도 문제가 없었고 인장 시험의 경우 60%까지 인장되는데 문제가 없었으며 굽힘 시험은 곡률반경 1mm까지 저항변화가 거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축/유연 전극제조에 사용되는 소재는? 최근 개발되고 있는 신축/유연전극은 휴대용 전자 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로봇, 비행기 및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1,2) 신축/유연 전극제조에 사용되는 소재는 다양한 전도성 필러를 사용한다. 나노와이어,3) 나노입자,4) 은,5) 구리,6) 그래핀,7) 전도성 고분자,8) 카본나노튜브,9) 액체 금속,10) 등이 전도성 필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기판의 한계는? 대부분의 전극은 신축/유연 가능한 플라스틱 기판에 인쇄 공정,11,12) 구조 엔지니어링,13) 코팅법,14) 전사법15) 등을 사용해 제작한다. 하지만 플라스틱 기판은 내열성이 약해 장시간동안 열에 노출되면 전극이 손상된다. 따라서 전극에 무언가를 접착시키거나 전극을 접착시키기 위해 높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하면 플라스틱 기판에 열적 데미지를 누적시킨다.
신축/유연 전극제조에 사용되는 소재에는 무엇이 있는가? 1,2) 신축/유연 전극제조에 사용되는 소재는 다양한 전도성 필러를 사용한다. 나노와이어,3) 나노입자,4) 은,5) 구리,6) 그래핀,7) 전도성 고분자,8) 카본나노튜브,9) 액체 금속,10) 등이 전도성 필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전극은 신축/유연 가능한 플라스틱 기판에 인쇄 공정,11,12) 구조 엔지니어링,13) 코팅법,14) 전사법15) 등을 사용해 제작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 S. Han, D. K. Kim, O. Y. Kwon, and S. H. Choa, "Study of Standardization and Test Certification for Wearable Smart Devices", J. Microelectron. Packag. Soc., 23(4), 11 (2016). 

  2. H. A. Oh, D. Park, K. S. Han, and T. S. Oh, "Elastic Modulus of Locally Stiffness-variant Polydimethylsiloxane Substrates for Stretchable Electronic Packaging Applications", J. Microelectron. Packag. Soc., 22(4), 91 (2015). 

  3. S. Lee, S. Shin, S. Lee, J. Seo, J. Lee, S. Son, H. J. Cho, H. Algadi, S. Al?Sayari, D. E. Kim, and T. Lee, "Ag Nanowire Reinforced Highly Stretchable Conductive Fibers for Wearable Electronic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dv. Funct. Mater., 25(21), 3114 (2015). 

  4. A. Shankar, E. Salcedo, A. Berndt, D. Choi, and J. E. Ryu, "SPulsed light sintering of silver nanoparticles for large deformation of printed stretchable electronics", Adv. Compos. Hybrd. Mater., 1(1), 193 (2017). 

  5. N. Matsuhisa, M. Kaltenbrunner, T. Yokota, H. Jinno, K. Kuribara, T. Sekitani, and T. Someya, "Printable elastic conductors with a high conductivity for electronic textile applications", Nat. Commun., 6(1), 7461 (2015). 

  6. Y. Hanaoka, K. Hinode, K. Takeda, and D. Kodama,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ivity of Copper and Aluminum Fine Lines", Mater. Trans., 43(7), 1621 (2002). 

  7. Y. Lin, X. Dong, S. Liu, S. Chen, Y. Wei, and L. Liu, "Graphene-elastomer composites with segregated nanostructured network for liquid and strain sensing application Graphene-elastomer composites with segregated nanostructured network for liquid and strain sensing application", ACS Appl. Mater. Interfaces., 8(36), 24143 (2016). 

  8. L. V. Kayser and D. J. Lipomi, "Stretchable Conductive Polymers and Composites Based on PEDOT and PEDOT : PSS", Adv. Mater., 31(10), 1806133 (2019). 

  9. W. Kim and W. Kim, "3V omni-directionally stretchable onebody supercapacitors based on a single ion-gel matrix and carbon nanotubes", Nanotechnology, 27(22), 225402 (2016). 

  10. J. Fu, C. Zhang, T. Liu, and J. Liu, "Room temperature liquid metal: its melting point, dominating mechanism and applications", Front. Energy, 14(1), (2019). 

  11. R. Nagata, "A glucose sensor fabricated by the screen printing technique",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10(3-4), 261 (1995). 

  12. L. Huang, Y. Huang, J. Liang, X. Wan, and Y. Chen, "Graphene-based conducting inks for direct inkjet printing of flexible conductive patterns and their applications in electric circuits and chemical sensors", Nano Res., 4(7), 675 (2011). 

  13. M. Gonzalez, F. Axisa, M. V. Bulcke, D. Brosteaux, B. Vandevelde, and J. Vanfleteren, "Design of metal interconnects for stretchable electronic circuits", Microelectron. Reliab., 48(6), 825 (2008). 

  14. A. Hartono, M. Djamal, S. Satira, Herman, and Ramli, "Preparation of PVDF film using deep coating method for biosensor transducer applied", Proc.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strumentation, Communic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medical Engineering (ICICI-BME), Bandung, 408, IEEE (2013). 

  15. F. Xu and Y. Zhu, "Highly Conductive and Stretchable Silver Nanowire Conductors", Adv. Mater., 24(37), 5117 (2012). 

  16. I. Kim, K. Woo, Z. Zhong, P. Ko, Y. Jang, M. Jung, J. Jo, S. Kwon, S. H. Lee, S. Lee, H. Youn, and J. Moon, "A photonic sintering derived Ag flake/nanoparticle-based highly sensitive stretchable strain sensor for human motion monitoring", Nanoscale, 10(17), 7890 (2018). 

  17. S. N. Ibrahim, F. A. Rahman, and S. Rosli, "Characterization of Screen Printed Ag-PDMS Flexible Electrode f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Indones. J. Electr. Eng. Inform., 5(4), 29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