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전유원칙과 우주법(Corpus Juris Spatialis)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and Corpus Juris Spatialis 원문보기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v.35 no.1, 2020년, pp.181 - 202  

Kim, Han-Taek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w)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전유원칙은 1967년 우주조약(OST) 및 1979년 달협정(MA)에 규정되어 있다. 2020년 2월 현재 OST가 109개국의 회원국을 확보한 반면, 국제법상 최초로 인류공동유산(CHM)개념을 도입한 MA는 우주의 천체에서 추출한 자원의 소유권을 가지지 못하도록 국제조약을 통해 국가들을 더욱 제한하려는 시도를 해 보았지만, 미국 및 대부분의 우주개발국기들의 MA채택 거부로 인해 18개국의 회원국만 확보한 상태이다. OST에 규정된 비전유원칙은 사실상 우주와 천체를 국제법상 국제공역(res extra commmercium)으로 선언한 것이다. 국제공역은 마치 공해상에서 각국이 생선을 잡아서 판매하는 것과 같은데, 어부들이 생선을 어획하고 판매하는 데 필요한 허가는 각 국가에서 얻지만 바다를 소유하지 않고도 어업행위와 판매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 논리에 따르면 어느 국가이든, 사기업체이든, 개인은 우주와 천체의 비전유원칙을 존중하는 한 그것을 이용하고, 수익을 취할 수 있다. 한편 OST는 당사국으로 하여금 우주활동시 타 당사국의 이익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우주자원 채취하려는 개인이나 민간기업은 반드시 당해 국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우주나 천체를 자기 멋대로 전유할 수 없다. 이러한 실체들이 우주활동을 할 때에는 관할권을 가진 각 당사국은 그 활동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책임은 OST 제6조와 제7조에 명시되어 있고, 1972년 책임협약은 이러한 문제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OST 제2조의 비전유원칙과 관련하여 미국의 2015년 CSLCA나 2017년 룩셈부르크의 우주자원의 탐사 및 활용에 관한 법은 OST 제2조를 위반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그러나 이 법들은 OST 제2조상 비전유원칙을 위반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미국의 CSLCA의 경우에는 이 법에 의해 특정 천체에 대한 주권이나 점유권, 사법권을 주장하거나 소유를 주장할 수 없다고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학자들이 미국의 CSLCA나 룩셈부르크 우주자원법의 OST의 비전유원칙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할지라도 이 두 국가의 우주자원개발을 막을 수는 없다. 그러나 한편 이렇게 비전유원칙이 국가나 기업체가 주권을 주장하지 않으면서 우주자원을 마음대로 활용하게 할 수 있다면 우주자원채취에 대한 선착순의 원리가 배제될 수 없기 때문에 국제사회는 우주자원의 확보에 대한 국제경쟁을 도모하고, 개발에서 얻어진 이익을 세대간 형평을 위해 배분하고, 지구와 우주의 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하여 조만간 새로운 국제 규제체제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우주자원개발에 관한 국제규제체제에는 인간의 거주가능성이 있는 달과 화성의 경우 그 면적을 고려하여 각 국가들이 어느 정도의 면적을 개발할 수 있으며, 언제까지 개발할 수 있는지 그 기간이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미래세대를 위하여 국가들이 선착순의 원리에 따라 우주와 천체를 자유롭게 전유하거나 무한정 소유하게 해서는 안 된다. 새로운 우주법(Corpus Juris Spatialis)은 1979년 달협정의 실패를 고려해 볼 때 우선 결의나 선언 같은 연성법의 채택이 경성법인 조약보다는 더 나을 것 같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was stipulated in the OST and the MA. However the MA, creating CHM in international law for the first time, attempted to further limit the prohibitions to include ownership of resources extracted from celestial bodies, its rejection by the U.S. and most of the inter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and Corpus Juris Spatialis for the activities of outer space by the states. The article seeks to prove that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is, as a restriction on sovereign claims to land, no obstacle to outer space resource extraction.
  •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and Corpus Juris Spatialis for the activities of outer space by the states. The article seeks to prove that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is, as a restriction on sovereign claims to land, no obstacle to outer space resource extrac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책임은 어디에 명시되어 있는가? 이러한 실체들이 우주활동을 할 때에는 관할권을 가진 각 당사국은 그 활동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책임은 OST 제6조와 제7조에 명시되어 있고, 1972년 책임협약은 이러한 문제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OST 제2조의 비전유원칙과 관련하여 미국의 2015년 CSLCA나 2017년 룩셈부르크의 우주자원의 탐사 및 활용에 관한 법은 OST 제2조를 위반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비전유원칙은 어디에 규정되어 있는가? 비전유원칙은 1967년 우주조약(OST) 및 1979년 달협정(MA)에 규정되어 있다. 2020년 2월 현재 OST가 109개국의 회원국을 확보한 반면, 국제법상 최초로 인류공동유산(CHM)개념을 도입한 MA는 우주의 천체에서 추출한 자원의 소유권을 가지지 못하도록 국제조약을 통해 국가들을 더욱 제한하려는 시도를 해 보았지만, 미국 및 대부분의 우주개발국기들의 MA채택 거부로 인해 18개국의 회원국만 확보한 상태이다.
'어느 국가이든, 사기업체이든, 개인은 우주와 천체의 비전유원칙을 존중하는 한 그것을 이용하고, 수익을 취할 수 있음'은 어떤 논리에서 나온 말인가? OST에 규정된 비전유원칙은 사실상 우주와 천체를 국제법상 국제공역(res extra commmercium)으로 선언한 것이다. 국제공역은 마치 공해상에서 각국이 생선을 잡아서 판매하는 것과 같은데, 어부들이 생선을 어획하고 판매하는 데 필요한 허가는 각 국가에서 얻지만 바다를 소유하지 않고도 어업행위와 판매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 논리에 따르면 어느 국가이든, 사기업체이든, 개인은 우주와 천체의 비전유원칙을 존중하는 한 그것을 이용하고, 수익을 취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lanchette-Seguin Virginie, Reaching for the Moon: Mining in Outer Space, 49 New York University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 Politics, 2017. 

  2. Cheng Bin, The 1967 Space Treaty, Journal du Droit International, 1968. 

  3. Cheng Bin, Studies in International Space Law, Clarendon Press Oxford, 1997. 

  4. Christol Carl Q, The Modern International Law of Outer Space. Pergamon Press, 1982. 

  5. von der Dunk Frans, Asteroid Mining: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gal Aspects, 26 Michigan State International Law Review, 2017. 

  6. Gorove Stephen, Interpreting Article II of the Outer Space Treaty, 37 Fordam Law Review, 1969. 

  7. Gruner Brandon C, Comment, A New Hope for International Space Law: Incorporating Nineteenth Century First Possession Principles into the 1967 Space Treaty for the Colonization of Outer Spa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35, The Seton Hall Law Review, 2011. 

  8. Jakhu Ram, Legal Issues Relating to the Global Public Interest in Outer Space, 32 Journal of Space Law, 2006. 

  9. Kim Han Taek, Fundamental Principles of Space Resources Exploitation: A Recent Exploitation of International and Municipal Law, 11 Journal of East Asia and International Law, Spring 2018. 

  10. Kim Han Taek, International Law on the Natural Resources Exploitation of the Ocean and Outer Space, 3 The Korean Journal of the Law of the Sea, 2018. 

  11. Kim Han Taek, Principles of Space Resources Exploitation under International Law(in Korean), 33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2018. 

  12. Landry Benjamin David, A Tragedy of the Anticommons: The Economic Inefficiencies of Space Law, 38 Brookly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2015. 

  13. Lee Ricky J, Article II of the Outer Space Treaty: Prohibition of State Sovereignty, Private Property Rights, or Both?, 11 Australi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2004. 

  14. Lefeber Rene, Relaunching the Moon Agreement, 41 Air and Space Law, 2016. 

  15. Lintner Andrew, Extraterrestrial Extraction: The International Implications of the Space Resource Exploration and Utilization Act of 2015, 40 Fletcher Forum of World Aff airs, 2016. 

  16. Lyall Francis & Larsen Paul, Space Law: A Treatise, Ashgate, 2009. 

  17. MacWhorter Kevin, Sustainable Mining: Incentivizing Asteroid Mining, 40 William & Mary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Review, 2016. 

  18. Masson Zwaan Tanja, Current Issues & Prospects of International Space Law, 25 The Korean Journal of Air and Space Law, 2010. 

  19. Murnane Austin C, The Prospector's Guide to the Galaxy, 37 Fordham International Law Journal, 2013, 

  20. Pop Virgiliu, Who Owns the Moon?-Extraterrestrial Aspects of Land and Mineral Resources Ownership, Springer, 2009. 

  21. Powell Mitchell, Understanding the Promises and Pitfalls of Outer Space Mining and the Need for an International Regulatory Body to Govern the Extraction of Space-Based Resources, XIX Journal of Technology Law & Policy, 2018-2019. 

  22. Su Jinyuan, Legality of Unilateral Exploration of Space Resources under International Law, 66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Quarterly, 2017. 

  23. Tennen Leslie, Enterprise Rights and the Legal regime for Exploitation of Outer Space Resources, 47 The University of the Pacific Law Review, 2015. 

  24. Trimble James J, International Law of Outer Space and its Effect on Commercial Space Activity, 11 Pepperdine Law Review, 1984. 

  25. Tronchetti Fabio, A legal regime to govern the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23 The Korean Journal of Air and Space Law, 2008. 

  26. Williams Sylvia Maureen, Celestial Bodies, 11 Encyclopedia of Public International Law, 1989. 

  27. Wrench John G, Non-Appropriation, No Problem: The Outer Space Treaty Is Ready for Asteroid Mining, 51 Case Western Reserve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201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