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철회]여성건강간호학 수업에 적용된 PBL 수업의 효과
[Retracted]A Comparative study of Lecture and PBL on the Learning effects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0, 2020년, pp.71 - 79  

서형은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지은주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에 PBL 수업을 적용하고, 학업열의, 인지적 유연성, 의사소통능력, 학업성취도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이다. 대상자는 G시 소재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87명이었으며, 실험군(42명)에게는 PBL 수업을 대조군(45명)에게는 강의식 수업을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4월부터 2019년 6월까지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인지적 유연성(t=2.75, p=.007), 의사소통능력(t=3.04, p=.003)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의 PBL 수업이 강의식 수업보다 간호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cognitive flexibilit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by applying PBL class to the Women's Health Nursing course fo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에 PBL 수업과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후 간호대학생의 학업열의, 인지적 유연성, 의사소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에서 PBL 교수학습방법과 기존의 강의식 교수학습방법 간 학업열의, 인지적 유연성, 의사소통능력,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PBL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학습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 운영에 있어 PBL 교수학습방법의 학습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다.
  •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 운영에 있어 PBL 교수학습방법의 학습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PBL 수업과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고, 이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학습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 운영에 있어 PBL 교수학습방법의 학습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여성건강간호학 교육에 PBL 수업과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고, 이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학습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의 PBL 수업과 강의식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열의, 인지적 유연성, 의사소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 팀별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한 팀당 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팀원들은 리더, 발표, 서기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각 문제마다 역할을 교대하며 변경하였다. 사례는 특정질병을 가진 대상자의 사정자료로 구성하였고, 진단명을 제시하지 않고,자료를 바탕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의 원인 및 해결안을 모색하는 맞춤형 간호계획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대조군의 강의내용과 연계하여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각 사례는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사례는 10년 이상의 산부인과 병동 근무 경력이 있는 전문가 2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 인지적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성의 원리가 강조되는데, 다양한 환경은 유연한 인지 구조와 관련[26]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험군이 PBL을 통해 새로운 사례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새로운 학습환경에 처해졌으며, 이러한 상황에 적응하고, 익숙해지기 위해 인지적 유연성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강의식 수업 내에서 교수자와의 의사소통 이외에는 어떠한 의사소통도 없었으며, 강의식 수업 환경 자체가 이미 익숙한 환경이기 때문에 대조군의 인지 구조를 자극하기에 부족[25]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가설 1“PBL 수업을 받는 학생(실험군)의 학업열의, 인지적 유연성, 의사소통능력 및 학업성취도는 PBL 수업을 받은 후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인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해왔나요? 기존의 전통적인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은 주입식 교육과 수동적 형태로 졸업 후 간호대학생의 부족한 대처능력으로 인해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사로 성장하기에 한계가 있다[4]. 이를 극복하고 임상현장에서 기대하는 신입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최근 20년 간 간호교육에서는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해왔다[5]. PBL은 보건의료 상황의 복잡성 증가와 다양한 지식의 요구 등의 변화에 있어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식과 태도와 기술이 통합되는 기회를 제공하고 간호사들로 하여금 이러한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알려져 있다[6].
임상현장에서 기대하는 신입간호사는 어떤 능력을 갖춰야 하는가? 임상현장에서는 환자안전과 권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일정 수준의 간호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간호교육의 목표 역시 임상현장의 요구를 충족하고자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1].
신입간호사가 갖춰야할 핵심역량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간호교육의 목표 역시 임상현장의 요구를 충족하고자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1]. 임상현장에서 기대하는 신입간호사는 지식과 기술, 임상간호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이며[2], 이러한 핵심역량에는 구체적으로 임상지식, 기술, 비판적 사고, 전문직관, 책임감, 감독,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직접간호, 컴퓨터 사용, 사례관리 역량 등이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P. Burns & E. C. Poster. (2008). Competency development in new registered nurse graduates: closing the gap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9(2), 67-73. DOI : 10.3928/00220124-20080201-03 

  2. Q. Utley-Smith. (2004). 5 Competencies needed by new baccalaureate graduat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5(4), 166-170. 

  3. S. Berkow, K. Virkstis, J. Stewart & L. Conway. (2009). Assessing new graduate nurse performance. Nurse Educator, 34(1), 17-22. DOI : 10.1097/01/nne.0000343405.90362.15 

  4. Y. S. Roh, E. S. Cho & W. S. Lee. (2010). Analysis of main instructional design factors for simulation integrated PBL nursing cours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6(1), 125-143. 

  5. A. Tiwari et al. (2006).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in the context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6(5), 430-438. DOI : 10.1016/j.nedt.2005.12.001 

  6. E. T. Morales-Mann & C. A. Kaitell. (2001). Problem-based learning in a new Canadian curriculu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3(1), 13-19. DOI : 10.1046/j.1365-2648.2001.01633.x 

  7. H. A. Lee. (2011). The Effect of Perfectionsism on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The Mediating Effects of Motives and Goal Process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8. M. S. Kang, Y. J. Park, S. Choi & S. J. Lee. (2018).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resili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6), 291-298. DOI : 10.5762/KAIS.2018.19.6.291 

  9. G. H. Hur.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10. J. H. Koo & J. Y. Yang. (2017).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n the accounting learning in the project-based learning(PBL). Korea Business Review, 21(4), 119-140. 

  11. H. O. Park. (2011). PBL experiences of fresh men in nursing college.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9(2), 101-110. 

  12. J. Y. Kim & E. Y. Choi. (2008). Learning element re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 receiving PBL with simulation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5), 731-742. 

  13. M. R. Yoo, Y. J. Choi & M. S. Kang. (2009).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46-55. 

  14. S. H. Yang, O. Lee, W. S. Lee, J. Yoon, C. S. Park & S. J. Lee. (2009). Critical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3 nursing colleges with different education method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149-158. DOI : 10.5977/JKASNE.2009.15.2.149 

  15. Y. Y. Hwang, C. S. Park & M. S. Chu. (2007). Correlations among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PB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146-155. 

  16. Y. J. Son & Y. A. Song. (2012).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43-52. DOI : 10.5977/jkasne.2012.18.1.043 

  17. J. A. Yoo. (2011).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 and teaching method preferenc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on, 28(2), 51-72. DOI : 10.24211/tjkte.2011.28.2.51 

  18. W. B. Schaufeli & A. B. Bakker. (2003). UWES-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Test manual. The Netherlands: Utrecht University. 

  19. J. P. Dennis & J. S. Vander Wal. (2010).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4, 241-253. DOI : 10.1007/s10608-009-9276-4 

  20. S. Heo. (2011). The Role of Cognitic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R. B. Rubin. (1985). The validity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ssessment instrument. Communication Monograph, 53, 173-185. DOI : 10.1080/03637758509376103 

  22. J. I. Choi & K. Y. Jang. (2010). Teaching PBl method. Hakjisa, Paju, Korea. 

  23. M. W. Kim & J. M. Park. (2017). Path analysis among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 347-362. DOI : 10.22251/jlcci.2017.17.10.347 

  24. I. R. Lim & I. Oh. (2016). Exploration of psychological, academic competence, and environmental/support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7(4), 285-309. 

  25. J. Lim, E. Jo, Y. Oh & W. Y. (2016). The effects of dispositional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7(2), 93-120. DOI : 10.1416/sky.2016.27.2.93 

  26. Y. Kim & J. Na. (2019). The effect of diverse experiences on prejudice against outgroup: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flexibility.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3(3), 1-20. 

  27. T. H. Kim, T. H. Yoon & Y. Kim. (2011). A study on the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1(1), 49-57. 

  28. J. Kim. (2014).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after experiences of problem-based learning in students of physical 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4), 83-90. DOI : 10.15268/ksim.2014.2.4.0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