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수학의 메이커수업 요인이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ker Class Factors in University on Interest in Mathematics and Attitude to Mathematic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0, 2020년, pp.183 - 195  

김동률 (동명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 메이커수업 특성의 요인인 강사역량, 교육프로그램, 교육서비스, 물리적 교육환경 요인과 대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 및 태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이공계열 남녀 대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수학 메이커수업 특성 요인 중 강사역량(β=.349, t=6.380, p<.001), 교육프로그램(β=.361, t=5.650, p<.001), 물리적 교육환경(β=.196, t=3.281, p<.01) 요인이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흥미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수학 메이커수업에 대한 흥미(β=.349, t=6.380, p<.001) 요인은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 메이커수업 특성 요인 중 강사역량(β=.340, t=6.365, p<.001), 교육프로그램(β=.352, t=5.559, p<.001), 물리적 교육환경(β=.226, t=3.537, p<.01) 요인이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수학 메이커수업의 교육프로그램 수준과 강사역량이 높고, 물리적 교육환경이 뛰어날 때,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between lecturer's capability, education program, education service, and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and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in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 survey was conducted on 228 male and female 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동안 초중등 메이커 수업에 치중되었던 선행연구를 탈피하여 대학수업에 메이커 수업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있으며,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대학수학 교수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이커 교육이란? 이러한 메이커 교육은 만들기 주체로서의 학습자가 다양한 학습도구를 통하여 교육적 결과물을 산출하고, 이러한 결과물을 다른 학습자와 공유하고 논의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진행되는 교육을 뜻한다. 즉, 학습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사물 혹은 물건을 스스로 만들기 위하여 학습 환경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학습과정과 결과를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공유하며, 이러한 과정에 대해 다른 학습자들과 유기적으로 논의하고 소통하는 활동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말한다[15].
최근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들의 문제점은? 최근에 대학 이공계 신입생들의 대부분이 대학수학 과목을 이수할 수 있는 기초적인 수학 능력이 미흡하며, 더 나아가 대학수학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대학수학 성적의 편차가 같은 학과 내에서도 매우 크다[7]. 이러한 현상은 현 대학입시 정책에 따른 교차지원 등으로 고등학교에서 미적분학 II를 학습하지 않고 이공계 분야 학과로 진학한 대학생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이러한 성적편차를 해결하기 위해 각 대학에서는 고심하고 있다[8,9].
최근 대학 이공계 신입생의 기초수학 능력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에 대학 이공계 신입생들의 대부분이 대학수학 과목을 이수할 수 있는 기초적인 수학 능력이 미흡하며, 더 나아가 대학수학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대학수학 성적의 편차가 같은 학과 내에서도 매우 크다[7]. 이러한 현상은 현 대학입시 정책에 따른 교차지원 등으로 고등학교에서 미적분학 II를 학습하지 않고 이공계 분야 학과로 진학한 대학생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이러한 성적편차를 해결하기 위해 각 대학에서는 고심하고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 Schwab & R. Samans. (2016, January).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orld Economic Forum (pp. 1-32). 

  2. H. Bonin, T. Gregory. & U. Zierahn. (2015). Ubertragung der Studie von Frey/Osborne (2013) auf Deutschland (Kurzexpertise No. 57). Berlin: Bundesministerium fur Arbeit und Soziales. 

  3. S. Y. Kim. (2016), A study on the suggestion strategy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EDUCATIONAL RESEARCH, 66, 1-28. 

  4. J. Y. Yoon & J. D. Ohn. (2016),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in Terms of the Holistic Nature of Competenc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4(2), 19-45. 

  5. S. Mitra. (2014). The future of schooling: Children and learning at the edge of chaos. Prospects, 44(4), 547-558. DOI : 10.1007/s11125-014-9327-9 

  6. I. A. Kang, Y. S. Kim & H. J. Yoon. (2017). Fostering Entrepreneurship by Maker Education : A Case Study in a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3-35. DOI : 10.15207/JKCS.2017.8.7.253 

  7. Y. E. Ryu & I. A. Kang. (2018).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A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an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163-175. DOI : 10.15207/JKCS.2018.9.7.163 

  8. Y. S. Kang & Y. S. Kim. (2019). A Case of Operating College Mathematics Course using SRN,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22(3), 277-302. DOI : 10.30807/ksms.2019.22.3.006 

  9. S. K. Shim & A. Y. Ko.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llege General Mathematics by Changes of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Koreaa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3(4), 143-160. 

  10. J. O. Kim & J. Kim. (201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Artworks Using Open Source Hardware for STEAM Education. Journal of Adv Research in Dynamical & Control Systems, 10(1), 55-58. 

  11. J. O. Kim, T. W. Lee, J. S. Kim, H. S. Chung & E. Y. Jeong. (2019). Job Analysis of Teachers for Maker Education using the DACUM Method.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8), 1159-1181. 

  12.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13. J. H. Kim. (2019). Exploring of the Maker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4), 1-10. 

  14. D. Dougherty, (2012)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s: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 7(3), 11-14. 

  15. P. Blikstein. (2013), Digital favrication and 'making' 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 Transcript Publishers. 

  16. S. L. Martinez & G. Stager. (2013).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Publisher, CA. 

  17. H. J. Yoon, I. A. Kang, E. S. Kang. (2019). A Case Study of a Maker Education Outreach Program: Fostering Maker Mindset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2), 365-393. 

  18. Korea Science Foundation. (2016). Research on ways to activate the maker movement. Seoul: Korea Science Foundation. 

  19. J. R. Lee. (2015). A Study on Desirable Management of College Mathematics through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in Engineering Freshmen. E-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29(3), 513-532. DOI : 10.7468/jksmee.2015.29.3.513 

  20. Y. G. Lee. (2016). A Study on Learning Style of Level-Differentiated College Mathematics Classes: Focusing on College of Engineer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3), 373-379. DOI : 10.5762/KAIS.2016.17.3.373 

  21. B. H. Kim, J. W. Kim, J. Y. Kim. (2017). On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mathematics and the efficient methods of education. E-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31(1), 1-15. DOI : 10.7468/jksmee.2017.31.1.1 

  22. H. H. Kim et al. (2019). On Developments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Using Mobile Applications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Mathematics Education. E-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33(3), 207-229. DOI : 10.7468/jksmee.2019.33.3.207 

  23. William Tyler. (1973). Child on Organizational Structure. Sage journals, 7(1), 125-126 

  24. S. H. Park. (2010).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Korea Curriculum Evaluation Institute. 

  25. M. S. Hannula. (2002). Atitude toward mathematics: Emotions, expectations and alu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9(1), 25-46. DOI : 10.1023/A:1016048823497 

  26. P. D. Eggen & D. Kauchak. (2001). Educational psychology(Vol. 403). Prentice hall. 

  27. S. T. Kim (2017). Effects of smart learning mathematics class on academic achievement,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Thesis for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28. J. F. Herbart. (1806). Al lgemeine padagogik aus zueck der erziebung abgeleiter. 

  29. M. S. Yoon. (2006).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18(2), 139-15. 

  30. K. Peppler, E. Halverson & Y. B. Kafai, Makeology. (2016). Maker 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Vol. 1). Routledge. 

  31. Y. S. Kim. (2017). A study on developing the entrepreneurship through mak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Ph. 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32. C. K. Park. (2015). The Effect of Teaching Using Peer Instruction on Mathematical Interest of High School Student. Major in Educational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33. K. A. Kim. (2010), Relationship among teachers' Mathematics T eaching efficacy, students' A cademic self-efficacy and Mathem atical interests and attitud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Seoul. 

  34. Y. S. Han. (2017). Mathematical Self-Efficacy, Change in Interest and Attitude after Middle School Mathematics Club Activities with the Mathematics Gifted Progra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eou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