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제시대 정림사지 5층석탑의 조형적 디지털 융복합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Digital Convergence Analysis of the 5-story Stone Pagoda at Jeongnimsaji in the Baekje Perio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429 - 435  

신미영 (대전보건대학교 주얼리디자인과) ,  박승철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초록

역사는 현대인들의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고, 이를 토대로 우리 미래에 대한 실천의지를 찾아야 한다. 한 나라의 사상을 살피려면 그 나라의 종교사상과 그에서 비롯된 문화유산을 통해 그 나라의 문화 양상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백제시대의 석탑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고자 한다. 정림사지 5층석탑의 자료 수집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정림사지 박물관 방문과 국내외 전문서적, 선행논문, 참고문헌 등을 숙지하여 정림사지5층석탑의 조형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story is bound to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modern people, and based on this, we must find the will to practice for our future. In order to examine the ideology of a country, we can know the cultural aspect of that country through its religious ideology and its cultural heritage. 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백제시대의 탑 중에서 유일의 석재탑으로 알려진 미륵사지석탑과 정림사지 5층석탑을 언급하였으나 이중 부여의 정림사지 5층석탑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였으며 석탑의 배치 방식을 되짚어 보았다.
  • 본 필자는 백제양식석탑의 정석인 정림사지 5층석탑에 대한 자료의 연구와 발굴이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간절히 바라며 본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 정림사지 5층석탑의 자료 수집을 위해 선인들의 연구를 토대로 정림사지 박물관 방문과 국내외 전문서적, 선행논문, 참고문헌 등을 숙지하여 정림사지오층석탑의 건축 기술력을 바탕으로 조형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제시대의 탑 중에서 석재탑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백제시대의 탑 중에서 유일의 석재탑으로 알려진 미륵사지석탑과 정림사지 5층석탑을 언급하였으나 이중 부여의 정림사지 5층석탑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였으며 석탑의 배치 방식을 되짚어 보았다.
삼국 중 어느 나라가 가장 빨리 불교를 수용하였는가? 그러나 구체적으로 이러한 증거는 어디에서도 확인된 바가 없다. 다만 삼국 중에서 고구려가 (전진왕 부견이 372년) 제일 먼저 불교를 수용하였다고 전래되고 있다.
국보 제9호인 정림사지 5층 석탑의 구조는? 국보 제9호로 지정된 것으로 현재 남아있는 2기의 백제 석탑 중 하나이다[13]. 정림사지 5층석탑은 상륜부가 손실된 가운데 남아있는 전체 탑의 높이는 8.33m이며, 일반적인 석탑에서 보이는 구조와 같이 지대석(地臺石)을 쌓아 올리고 여러 장의 돌을 사용해 낮은 기단부를 조화롭게 조성하여 안전감을 준 뒤 그 위에 탑신부(塔身部)를 구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Y. Jang. (2019). A Study of Temple Construction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D. J. Kim. (2006). Baekje's Spirtual World. Seoul: Juryuseong Press. 

  3. Y. S. Choi. (2011).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tudies in Late Baekje. Buddhist Studies. Vol.28No. 189-224 

  4. J. H. Jeon. (2019). A Study of Baekje-style Stone Pagoda. Doctoral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5. J. H. Jeon. (2009). A Study of Baekje-style Stone Pagoda.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6. J. H. Park. (2015). Features and Backgrounds of Baekje-Style Stone Pagoda.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7. K. S. Shin. (2005). Baekje's Cultural Heritage. Seoul: Juryuseong Press. 

  8. E. K. Cho. (2011). Structural Systems and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of Mireuk Saji Stone Pagoda.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9. K. H. Jang. (1991). Construction of Baekje Temple. Seoul: Yekyeong Industrial History. 

  10. D. H. Lee, G. P. Eom, E. W. Jung, W. K. Lee, D. U. Lee. (2006). Sabiseong, Baekje, the Land of Buddhism. Seoul: Juryuseong Press. 

  11. Yoneda Miyoji; Y, H, Shin. (1976). A Study of Korea's Relative Architecture. Seoul: Dongsan Cultural History 

  12. H, S, Kim. (2011). Evaluation of mechan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structure type of 5-story stone pagoda in Jeongrimsaji. Journal of Industrial science researches. Vol.29No.1, 121-128(8쪽) 

  13. N, S, Lee. (2007). Understanding Baekje's Culture. Seoul: Namkyung Culture History 

  14. Buyeo County Governor. (2016). Jeongnimsaji Museum. Buyeo: Buyeo County Office, Jeongnimsaji Museum 

  15. Buyeo Jeongrimsaji.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ttp://search.cha.go.kr/srch_org/search/search_top.jsp 

  16. I, G, Maeng. (2019). Baekje-style Stone Pagoda, Shilla-style Stone Pagoda. https://blog.naver.com/dbfg6t9p/221599366524 

  17. J, H, Jeon (2009). A Starting Point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Baekje-style Stone Stupa. Cultural Heritage. 42(4), 172-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