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비사업을 통해 본 부여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
A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from Perspective of Maintenance Project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4, 2021년, pp.38 - 49  

김미진 (재)백제고도문화재단)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림사지 정비사업은 사찰을 구성하는 건물의 원형복원을 목표로 하였으나 점차 사역의 경관을 조성하는 조경 정비로 이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첫째, 문화재 조경은 문화재보호법상 지정된 문화재와 주변에 지정된 문화재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로 하여 경관을 조성, 유지, 관리하는 조경 행위로서 유구 보호 및 정비, 기능별 공간 배치와 동선계획, 문화재 보호를 위한 구조물 설치, 방문자 편의를 위한 시설물 도입, 식생경관 조성을 포함하는 작업이다. 둘째,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은 일제의 문화재 지정과 발굴조사로 사찰명이 밝혀진 '고적조사사업', 광복 이후 '백제탑공원 조성', 사적으로 지정된 '백제문화권 개발사업', 고증의 어려움으로 전각의 복원 대신 공원과 박물관 건립으로 이행된 '백제문화권 특정지역 종합개발사업', 백제 창건 당시 가람 배치를 회복하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정림사지 복원사업'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부여신궁(扶餘神宮) 외원(外苑)과 연계된 기념공원 조성, 일제강점기의 시가지계획 실현, 발굴 유구와 사역의 보호환경 조성, 가람 배치의 원형복원, 문화재의 진정성 회복과 활용이라는 정림사지 경관 변화의 배경을 확인하였다. 넷째, 정림사지 경관은 문화재 지정대상과 범위, 토지이용, 동선·포장, 유구정비 수법, 구조물, 시설물, 식생으로 결정되는데 이들의 정비 양상을 고찰한 결과, 문화재 영역의 시각적 차별화로 위계성 부여, 문화재 지정 범위 확장을 고려한 과정적 경관 조성, 가역성을 고려한 유구 정비로 진정성 확보, 역사문화경관에 어울리는 식생경관 조성, 오픈스페이스 제공으로 문화유산 향유가치 증진이라는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tenance project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started with the objective of restoring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temple, however, it was gradually transitioned to a landscaping maintenance project over time that constructs a landscape of the temple area. With paying attention to these fac...

주제어

참고문헌 (47)

  1. 국립문화재연구소(2010). 사적지 조경 정비 기준확립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2. 국립문화재연구소(2009). 사적정비편람. 

  3. 문화재청 예규 제173호. 사적종합정비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지침. 

  4. 신현실(2018). 발굴유적 외부공간의 유형별 경관계획 및 조경시공원칙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4) : 58-69. 

  5. 구글어스(https://earth.google.com/web). 

  6. 국립문화재연구소(2016). 1909년 「朝鮮古蹟調査」의 기억. 

  7. 靑木治市(1941), 부여시가지계획평면도, 「扶餘神道に就て」 ?劃]整理七卷第十? : 47. 

  8. 국립부여박물관(2015). 일제강점기 자료조사보고 제15집 「부여 정림사지」. 

  9. 藤澤一夫(1971), 「古代寺院の遺構に見る韓日の關係」, 「アジア文化」 18(2). 

  10. 성균관대학교 박물관(2012). 유리원판에 비친 한국의 문화유산. 

  11. 문화재관리국(1979). 백제고도문화권정비계획. 

  12.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 정림사지 발굴조사 결과보고(관리번호 BA0037464). 

  13. 윤무병(1981). 정림사지발굴조사보고서, 충남대학교. 

  14. 충남대학교(1987). 부여 정림사지 연지유적 발굴조사보고서. 

  15. 문화재청(1982). 1982년 제1분과 제4차 문화재위원회 회의록 '82 사지정비지침'. 

  1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6). 정림사지권역 정비기본계획 : 55-56. 

  17.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18.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 사적 제301호 정림사지 주변 추가사적 지정건의(관리번호 BA0807950). 

  19. 건설부(1991). 백제문화 특정지역 종합개발 기본계획. 

  20.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 충남 부여 1995 정림사지 정비공사(관리번호 BA0807990). 

  21. 백제세계유산센터(2020). 백제역사유적지구 단위유산 보존관리현황 연구(정림사지). 

  2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11). 부여 정림사지 발굴조사보고서. 

  23. 부여군(2018). 부여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 시행계획. 

  24.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관리번호 A169-001-006). 

  25. 부여군(2011). 부여 정림사지 정비공사(5차) 수리보고서. 4, 77. 

  2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고적 및 유물 등록대장(지방별)(관리번호 F024-007-002). 

  2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보물고적천연기념물지정 통지공(관리번호 H007-002-033). 

  28.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 부여 정림사지 사적 지정 및 지정구역 통보(관리번호 BA0607087). 

  29.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 부여 정림사지 추가지정 사적 제301호(관리번호 BA086950). 

  30. 문화재청고시 제2008-160호. 국가지정문화재 문화재 구역 일괄조정 및 지형도면. 

  31. 국토정보플랫폼 홈페이지(http://map.ngii.go.kr). 

  32. 이상해(1993). 건축역사문화환경의 보전과 복원의 과제. 문화재 26권: 336-337. 

  33. 1994년 문화재위원회 제1분과 제6차 '定林寺址中門復元'. 

  34. 김낙중(2009). 부여 정림사지 발굴조사 성과. 정림사복원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 115-126. 

  35. 부여군.백제고도문화재단(2016). 부여 정림사지 고증심화연구. 

  36. 충청남도(1999). 사진으로 본 충남 100년. 

  37. 부여군.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2010. 부여역사유적지구 가이드북II 정림사지지구 : 20~21. 

  38. 정림사지박물관 홈페이지(http://www.jeongnimsaji.or.kr). 

  39. 1985년 문화재위원회 제3분과 제1차 '정림사지 정비'. 

  40. 뉴시스, 2019. 7. 15. 기사 '부여 유네스코 정림사지 나성에 야간경관조명 설치'. 

  41. 권오영(2020). 일제강점기 부소산 영역의 인식과 공간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재)부여사적헌창회(1934). 부여고적명승안내도. 

  43. 국립공주박물관(2002). 사진으로 보는 금강. 

  44. 부여군 공보실 소장 1989~1990 사집첩(1). 

  45. 대전일보사. '옛 사진 공모전' 수록자료. 

  46. 재)백제고도문화재단 소장자료. 

  47. 윤준웅(1998). 사진으로 보는 부여 100년.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