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중·장년층의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및 직업역량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areer movement path of middle-aged Korean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491 - 499  

이수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김윤정 (한서대학교 보건상담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직업이동의 경험이 있는 한국의 중·장년층(만 40세~64세)을 대상으로 하여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및 직업역량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020년 2월 한 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1,224명의 자료 중, 최근 5년 이내에 직업이동을 한 중·장년 845명을 선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첫째, 직업이동을 한 경우는 69.0%였고, '고용→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을 한 경우가 48.2%로 가장 많았고, '실업→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은 28.4%로 2순위였다. 둘째, 모든 집단에서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비율이 높은 가운데, '가사(육아)→고용상태'의 경우에는 80.6%가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지 않았다. 셋째, '고용→고용상태' 집단의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능력 유용성에 대한 인식 및 구직기술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 '실업 상태와 가사(육아)에서 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을 한 중·장년층의 직업역량이 다른 집단에 비해 직업역량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 집단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differenc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areer movement path, targeting middle-aged Koreans (ages 40 to 64) who have experience in vocational mo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for a month in February 2020, a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지, Schimid[4]의 이론적 틀에서는 ‘고용’ 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중·장년층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본 연구에서는 재취업에 한정된 ‘고용’만이 아니라 창업도 중요한 일자리이기 때문에 ‘직업이동’을 재취업과 창업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시키고자 한다.
  • ‘고용’ 의 의미에는 재취업만이 아니라 창업도 포함되어 있음을 명기하였다. 또한, 5년 이내에 직업이동이 여러 번 있을 가능성이 있어, 가장 최근 경험한 직업이동 유형에 답하게 하였다. 직업교육훈련현황은 최근 5년 내 직업교육훈련 참여 경험 여부, 직업교육훈련 참여목적, 직업교육훈련 참여 후 변화의 3문항으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40~64세의 직업이동의 경험이 있는 한국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직업이동경로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의 차이를 파악하고, 셋째,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역량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40~64세의 직업이동의 경험이 있는 한국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직업이동경로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의 차이를 파악하고, 셋째,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역량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 절에서는 직업이동의 5가지 경로별로 직업교육훈련과 직업역량의 특성을 논의하면서 제언을 하도록 하겠다.
  • 비자발적 직업이동이 좀 더 보편적인 중·장년층에게 요구되는 직무능력은 유사 직무로 이행하는 데 필요한 직무수행능력보다는 어느 직업, 어느 직무로 이동했을 때도 사용 가능한 직업기초능력이 더 우선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의 직업기초능력에 초점을 두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40~64세의 직업이동의 경험이 있는 한국의 중·장년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Schimid[4]의 이행노동시장 모델에 기반하여 직업이동 경로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의 차이를 파악하고, 셋째,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역량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의 5가지 유형의 직업이동경로와 직업교육훈련 및 직업역량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chimid[4]가 제시한 이행노동시장의 유형인 5가지 직업이동경로는 무엇인가? 직업이동경로를 밝히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Schimid[4]가 이행노동시장(Transitional Labour Market; TLM) 모델에서 제시한 5가지 직업이동경로를 분석의 준거 틀로 삼았다. Schimid[4]가 제시한 이행노동시장의 유형 즉, 직업이동경로는 고용→고용(유형 I), 실업→고용(유형 Ⅱ), 교육·훈련→고용(유형 Ⅲ), 가사(육아)→고용(유형 Ⅳ), 은퇴·퇴직→고용(유형 Ⅴ)이다. 이 모델은 전 생애적 맥락에서 어떤 시점에서든 노동시장으로의 진·출입이 가능한 지속적인 노동시장 이행 가능성, 즉 직업이동의 유연성(flexibility)을 제시하는 강력한 이론적 틀이다.
중·장년층 근로자의 고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 대책은? 중·장년층 고용의 불안정성은 여러 가지 이유로 파생되는 것이나, 비자발적 퇴직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장년층 근로자의 고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 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책 중 하나가 바로 전생애에 걸친 직업교육훈련이다[5-7]. 이미 고령화가 진행된 EU[8]에서는 직업이동을 위해서는 유연한 환경조성, 일과 삶의 조화와 더불어 인적자원 개발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9].
중·장년의 실직은 우리 사회 전반에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가? 4%가 근무 기간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사를 하고 있어, 재취업과 실업 상태가 반복되는 것으로 보인다[2]. 중·장년의 실직은 개인과 가족의 삶의 문제뿐 아니라 숙련 노동력의 유출로 인한 노동 생산성과 기업경쟁력 약화, 취약계층으로 전락에 따른 사회적 비용 증대, 장기적으로는 이들의 노후 빈곤까지도 이어질 수 있어, 우리 사회 전반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3]. 따라서 중·장년층이 어떤 경로로 직업을 이동하는지를 파악하고, 직업이동경로와 관련된 변수들을 파악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경제적인 삶을 위한 직업이동의 유연성을 밝힐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 (2019). Global and Korea's Population Status and Prospect Press Release Reflecting the 2019 Special Estimate of Future Population(2019.9.2.) Name of Web Site. http://www.kostat.go.kr 

  2. Center for Large and Small Business Cooperation. (2018). 2018 Survey on Job-hunting Activities for Middle-aged People press release(2018.10.16.) Name of Web Site. http://www.fkilsc.or.kr 

  3. Y. M. Son, C. Y. Son. J. H. Chung & S. M. Shin. (2015). Research on How to Revitalize adult-specific Traini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jong. 

  4. G.. Schimid, (1998). Transitional Labour Market: A New European Employment Strategy. WZB discussion paper, FS I 98-206. 

  5. T. Y, Kim. (2013). A Country without Retirement. Take Double-cropping the National Economy. Seoul: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6. M. H. Lee. (2018). Path of Inclusive Growth. Seoul: KCERN. 

  7. H. S. Choi & J. I. Bahn.. (2020). A Study on the Socio-philosophical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in the Aging Society for the Future.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10(1): 35-56. DOI: 10.26734/JFE.2020.10.01.02 

  8. EU(2007). Flexicurity: Getting more People into Good Job. European Commission publishing, Brussels. 

  9. J. H. Kum. (2017). Research of the Future of Work and Labor Market Strategy. Korea Labor Institutr, Sejong 

  10. G. M. Bae & G. S. Yoo. (2015). Training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Job Skill Curriculum in Specialize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40(2), 44-71. DOI: 10.35140/kiiedu.2015.40.2.44 

  11. M. G. Lee, Y. H. Lee, C. Y. Jyung, J. H. Bae, A. K Choi, J. S. Lee, T. H Jung & S. I. Na. (2015). A Policy Study for Adotpion of the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 System.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16(2), 109-129. 

  12. M. S. Jin, S. Y. Lee, C. K. Chae, H. G Yoo, C. S. Park, S. Lee, D. S. Choi & J. P. Ok. (2007). A Study on Selection of Basic Vocational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Development of Question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oul. 

  13. V. M. Latham. (1984).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 Job Search Proces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western Psychological Association. 57th, Chicago, II, May 2-4, 1985 ED259247. 

  14. H. S. Lee.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New Middle-aged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Will to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Seeking Skill. Graduate School of Ka-Chun University, Seongnam. 

  15. Y. S. Lee, T. Park & S. W. Kim. (2013). Job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the Medium & Old-Aged Retire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oul. 

  16. W. Y. Lee, M. S. Lee, Y. H Lee, S. Y. Jang & S. G. Song. (2013). Research on Middle-aged Lifetime Re-design and Career Resumption.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 Education, Cheonan. 

  17. B. S. Kim, S. H. Kang, S. J. Kim, J. R. Park & J. H Yoon. (2014). The Government's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Plan for 30 years after Retirement. Korea Vocational Counselling Association. 

  18. Y. S. Choi, J. H. Chung & D. M. Na. (2015).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Job-offer and Job-seeking to Improve Mismatch between Job-offer and Job Seeker for the Elderl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jong. 

  19. H. H. Park, H. T. Eom & M. H. Jang. (2017). Middle-aged Job Change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Re-employment Services.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uwon. 

  20. I. Y. Kim, J. W. Kim & K. M. Song. (2017). a Research on Work and Learning among the Middle-age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jong. 

  21. H. N. Moon, Y. S. Choi & S. O. Park. (2019). Facilitating Outplacement Assistance: Exploring the Role and Function of Regional Skills Councils and Industry Skills Council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jong. 

  22. K. H. Kim. (2014). Analysis on Occupational Transition Path of Worker, 2014 Collection of Presentations for the Autumn Conference of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p. 11-31).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3. J. Y. Lim, Y. M. Lee. (2016). A Study on Job Mobility of Korean Baby Boome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3), 223-230. 

  24. J. Y. Chang. (2003). Career Transitions of the Older Workers: Part-time Work and Self-employment as an Alternative Retirement Proces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7(2), 95-121. 

  25. Statistics Korea. (2020). KOSIS 100 Indicators. Name of Web Site. http://kosis.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