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하여 언컨텍트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됨에 따라 비대면 접촉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인 Rm_She(Remote Medical Smart Healthcare System)을 제안한다. Rm_She는 IoT를 기반으로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다양한 헬스케어 제품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결하여 여러 가지의 생체신호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폰에 실행되는 헬스체크 앱(HC_app)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생체신호 측정 장치와 무선랜으로 연결하고, 생체신호 값을 HC_app에서 전송 받아, 사용자에게 측정된 생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정보를 헬스케어관리서버로 전송한다. 헬스케어 서버에서는 측정값을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측정값은 의료진들이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로 제공한다.
Recently, as the uncontact service is activated in earnest due to the Corona 19 virus, the necessity of system development to provide non-face-to-face contact remote medical service has increas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smart healthcare system, Rm_She(Remote Medical Smart Healthcare System). Rm_She can collect and manage various vital signs information by connecting various healthcare products that detect bio-signals based on IoT to one application. The health check app (HC_app) is used to connect vital sign measurement devices to a wireless LAN and receive vital sign values from the HC_app. Then, the vital signs are output to the user on the smartphone,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ealthcare management server. The healthcare server receives the measured values and stores them in a database, and the stored measured values are provided as a web service so that medical staff can remotely monitor them in real tim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헬스케어장치 | 헬스케어장치의 역할은 무엇인가? |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말하며 블루투스 기능이 있어, 측정된 값을 스마트 폰으로 전달하는 역할
헬스케어장치는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말하며 블루투스 기능이 있어, 측정된 값을 스마트 폰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스마트 폰에 설치되는 HC-app은 헬스케어 측정 장치를 관리하고 생체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에 이용자가 본인의 생체정보를 볼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
ISO/IEEE 11073 PHD 표준 | ISO/IEEE 11073 PHD 표준 어디 프로토콜을 정의 하는가? |
5-7계층(응용층, 표현층, 세션층)
ISO/IEEE 11073 PHD 표준은 에이전트와 매니저 간에 데이터 포맷 컨버팅, 프로토콜 교환,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이 표준은 OSI 7계층에서 5-7계층(응용층, 표현층, 세션층)의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1-4계층(물리층, 데이터 링크층, 네트워크층, 전송층)의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Bluetooth), USB, 지그비 등의 다양한 전송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4-6]. |
스마트 헬스케어 | 스마트 헬스케어란? |
첨단의 IT기술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의료 및 건강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모든 기술
의료기기와 IT 융합기술은 e-Health에서 u-Health를 거쳐 스마트 모바일 환경의 m-Health까지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으며 이 기술의 발달로 인한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첨단의 IT기술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의료 및 건강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모든 기술을 의미한다[1].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바일 기기 및 커넥티드(connected) 의료기기와 원격의료 등이 ICT 기반의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 및 원격의료 산업의 활성화에 대한 기술이 진행되고 있다[2].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