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소년 태권도 선수들의 골밀도 및 심폐기능과 스포츠 손상과의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Analysis of the betweenBone Mineral Density, Cardiorespiratory Functional Capacity and sports injury of youth Taekwondo Athlet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125 - 131  

김준철 (텍사스 A&M 대학교) ,  박기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엘리트 유소년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골절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고, 골다공증의 조기진단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골밀도와 운동 수행능력을 판단하는 지표인 심폐기능, 그리고 선수들에게 최대의 적인 스포츠 손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골밀도와 심폐기능 그리고 스포츠 손상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골밀도가 심폐기능 및 스포츠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 선형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골밀도는 환기량(r=.388) 및 최대산소 능력(r=.478) 그리고 스포츠 손상과 상관관계가 있었다(r=-.292). 또한, 골밀도가 .002, 및 .006씩 증가하면 환기(p=.001) 및 최대 산소능력은(p=.006) 1씩 높아진다. 또한, 골밀도가 .016씩 감소하면, 스포츠 손상의 발생이 1씩 증가한다(p=.044). 선수들의 골밀도 향상으로 스포츠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향후 스포츠 손상 예방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ought to reduce the risk of fractures in elite youth taekwondo athlet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which are used as indicators of early diagnosis of osteoporosis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al capacity which is an indicator of performance and sports inj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Yang[2]과 Park[3]는 골밀도와 심폐기능은 스포츠 활동을 통하여 증가할 수 있기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나, 이들의 연구는 일반 대학생 및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주기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엘리트 선수들과 골밀도 및 심폐기능 그리고 신체 조성의 차이가 있기에[17], 엘리트 선수들까지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소년 엘리트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골절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고, 골다공증의 조기진단을 평가하는 지표로도 사용되는 골밀도와 운동 수행능력을 판단하는 지표인 심폐기능, 그리고 선수들에게 최대의 적인 스포츠 손상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고, 골밀도가 심폐기능 및 스포츠 손상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유소년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 수행능력 향상 및 스포츠 손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 마지막으로, 스포츠 손상은 선수들의 경기력은 물론 선수 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최대의 적이다[15]. 본 연구는 선수 생활에 필요한 요소들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이는 유소년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 수행능력 향상 및 스포츠 손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유소년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심폐기능, 그리고 스포츠 손상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골밀도가 심폐기능과 스포츠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소년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심폐기능, 그리고 스포츠 손상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골밀도가 심폐기능과 스포츠 손상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소년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의 골밀도는 심폐기능의 분당 환기량과 최대산소섭취량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포츠 손상 발생과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포츠 손상은 무엇인가? 따라서, 태권도 선수들의 스포츠 손상은 자연스러운 연속물이다. 스포츠 손상이란, 선수들이 스포츠 활동 과정에서 발생 된 손상으로 최소 하루 이상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의학적 진단을 의미한다[9]. 스포츠 손상은 선수들의 경기력에 악영향을 미치며 최악의 경우, 은퇴까지 이어지기 때문에[10], 선수들에겐 최대의 적이라 할 수 있다.
태권도 선수들의 스포츠 손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한편, 태권도는 비무장 투기 스포츠로 상대 선수와의 완전한 접촉이 허용된다[1]. 따라서, 태권도 선수들의 스포츠 손상은 자연스러운 연속물이다.
유소년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의 골밀도는 어떤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유소년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심폐기능, 그리고 스포츠 손상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골밀도가 심폐기능과 스포츠 손상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소년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의 골밀도는 심폐기능의 분당 환기량과 최대산소섭취량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포츠 손상 발생과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각 골밀도가 각각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 J. Park & B. B. Song. (2018). Injuries in female and male elite taekwondo athletes: a 10-year prospective, epidemiological study of 1466 injuries sustained during 250 000 training hour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2(11), 735-740. DOI : 10.1136/bjsports-2017-097530 

  2. Y. K. Yang. (2013). Relationship of Cardiorespiratory Function, Muscular Strength and Bone Mineral Dens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2(3), 1205-1214. 

  3. W. H. Park. (1997). Relationship of Maximal Oxygen Uptake to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Society of Sports Medicine, 15(2), 319-325. 

  4. Y. S. Huh & D. H. Yoo. (2015).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mbat Sports Athlet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4(5), 1447-1157. 

  5. W. L. Risser, E. J. Lee, A. LeBlanc, H. B. Poindexter, J. M. Risser & V. Schneider. (1990). Bone density in eumenorrheic female college athlet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2(5), 570-574. DOI : 10.1249/00005768-199010000-00005 

  6. H. C. Kim & K. J. Park. (2020).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inspiratory capacity of the National softball players and the bone density, bone mass, muscle power, muscle endur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5(1), 95-104. DOI : 10.13066/kspm.2020.15.1.95 

  7. K. U. Yoo & S. Y. Cho. (2005). Exercise Therapy and Health care. Seoul: a pedagogic researcher. 

  8. G. M. Kang, S. S. Park, S. G. Park, K. T. Kim, H. Y. Cho, Y. J. Sim & S. L. Lee. (2012). The Effects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Maximal Aerobic Exercise Performance in Amateur Soccer Player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8(2), 815-824. 

  9. R. Dick, J. Agel & S. W. Marshal. (2007).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Injury Surveillance System Commentaries: Introduction and Method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42(2), 173-182. 

  10. K. Steffen & L. Engebretsen. (2010). More data needed on injury risk among young elite athlete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4(7), 485-459. DOI : 10.1136/bjsm.2010.073833 

  11. K. T. Lee, H. S. Kim & B. O. Choi. (2006). Analysis of seasonal injuries in professional football player. Korean Orthopa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5, 135-140. 

  12. T. Ohya, M. Hagiwara, K. Chino & Y. Suzuki. (2016). Maximal inspiratory mouth pressure in Japanese elite male athletes. Respir Physiol Neurobiol, 230, 68-72. DOI : 10.1016/j.resp.2016.05.004 

  13. C. J. Ji, J. S. Park & S. H. Kim. (2016). Effect of Altitude Training on Inspiratory Muscles and Performance of Swimmers in the Korea National Team.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2, 853-862. 

  14. A. Junge, L. Engebretsen, M. L. Mountjoy, J. M. Alonso, P. A. Renstrom, M. J. Aubry & K. Dvorak. (2009). Sports injuries during the Summer Olympic Games 2008.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7(11), 2165-2172. DOI : 10.1177/0363546509339357 

  15. G. D. Palmer, C. Fuller & R. Jaques. (2013). The Injury/Illness Performance Project (IIPP): A Novel Epidemiological Approach for Recording the Consequences of Sports Injuries and Illnesses. Journal of Sports Medicine, 27, 1-9. DOI : 10.1155/2013/523974 

  16. L. Engebretsen et al. (2013). Sports injuries and illnesses during the London Summer Olympic Games 2012.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7(7), 407-414. DOI : 10.1136/bjsports-2013-092380 

  17. S. H. Kim & K. S. Son. (2002).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Level between Professional and Amateur Golfer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8(2), 999-1007. 

  18. R. Bahr et al. (2020).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consensus statement: methods for recording and reporting of epidemiological data on injury and illness in sport 2020 (including STROBE Extension for Sport Injury and Illness Surveillance (STROBE-SII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4(7), 372-389. DOI : 10.1136/bjsports-2019-101969 

  19. D. Marshall, O. Johnell & H. Wedel. (1996). Meta-analysis of how well measures of bone mineral density predict occurrence of osteoporotic fractures. BMJ, 31, 1254-1259. DOI : 10.1136/bmj.312.7041.1254 

  20. H. C. Kim & K. J. Park. (2019). Correlation Analysis of Sports injuries and Body Composition and Bone Density in National Water Pool Play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4(3), 134-141. DOI : 10.13066/kspm.2019.14.3.134 

  21. H. Suominen. (2006). Muscle traning for bone strength.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8, 85-9. DOI : 10.1007/BF03327422 

  22. W. K. Cho et al. (1997). Assessment of Effect of Pulmonary Rehabilitation on Skeletal Muscle Metabolism by 31P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44(5), 1040-1050. DOI : 10.4046/trd.1997.44.5.1040 

  23. J. R. Minotti et al. (1990). Training induced skeletal muscle adaptations are inde1049pendent of systemic adaptation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8(1), 289-294. DOI : 10.1152/jappl.1990.68.1.289 

  24. J. W. Park & B. D. Hwang. (2017). Analysis of Effects of Regional Air Pollutants(PM10, O3, CO) on Respiratory Diseas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3(3), 53-56. DOI : 10.22900/kphr.2017.43.3.005 

  25. H. Plotkin, M. Nunez, M. L. Alvarez Filgueira & J. R. Zanchetta. (1996). Lumbar spine bone density in Argentine children.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58, 144-149. DOI : 10.1007/BF02526879 

  26. A. M. Boot, M. A. J. de Ridder, A. P. H Pols, E. P. Krenning & S. M. de Muinck Keizer-Schrama. (1997).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elation to puberty, calcium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2(1), 57-62. DOI : 10.1210/jcem.82.1.3665. 

  27. B. S. Na & W. K. Kim. (2005).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Knee Joint Strength of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4(4), 317-324. 

  28. S. Cheng, H. Suominen, R. Sakari-Rantala, P. Laukkanen, V. Avikainen & E. Heikkinen. (1997). Calcaneal bone mineral density predicts fracture occurrence: a five-year follow-up study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2, 1075-1082. DOI : 10.1359/jbmr.1997.12.7.1075 

  29. Y. J. Jeon, B. H. Kim & J. I. Kim. (2016).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9(11), 842-846. DOI : 10.5124/jkma.2016.59.11.842 

  30. C. Snow-Harter, M. L. Bouxsen, B. T. Lewis, D. R. Carter & R. Marcus. (1992). Effects of resistance and enduranceexercise on bone mineral status of young women: arandomized exercise intervention trial.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7(7), 761-769. DOI : 10.1002/jbmr.5650070706 

  31. T. A. Wren, S. A. Yerby, G. S. Beaupre & D. R. Carter. (2001). Influence of bone mineral density, age, and strain rate on the failure mode of human Achilles tendons. Clinical Biomechanics, 16(6), 529-534. DOI : 10.1016/s0268-0033(01)00033-x 

  32. B. L. van Meer et al. (2014). Bone mineral density changes in the knee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Osteoarthritis Cartilage, 22(1), 154-161. DOI : 10.1016/j.joca.2013.11.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