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307 - 315  

박종덕 (청연우리병원) ,  정현주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소병원 내 환자안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 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00-300명 미만 중소병원 5곳에 근무하는 총 191명의 간호사이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및 자기효능감은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결과,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태도(β=.39, p<.001), 자기효능감(β=.25, p<.001), 및 환자안전문화인식(β=.17, p=.006)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1.8%였다. 따라서,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을 위해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fy the factors affecti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91 nurses in 5 hospitals with less than 100-300 people and collected data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형병원과 비교하여 환자안전 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간호 인력마저 부족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 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높일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 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 개발 및 교육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은 기혼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고, 병원 경력이 많을수록, 통상근무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환자안전태도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다. 중소병원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차이를 파악한다.
  • 가. 중소병원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마.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 라.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 및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든 환자는 어떠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가? 모든 환자는 안전한 보건의료를 제공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1]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와 가족들은 안전이 보장된 환경에서 치료를 받기를 기대한다. 최근 건강과 안전한 의료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커지고 의료서비스의 제공도 증가되고 있으나 의료 제공과정은 점점 복잡해지고 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와 가족들은 어떤 기대를 하는가? 모든 환자는 안전한 보건의료를 제공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1]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와 가족들은 안전이 보장된 환경에서 치료를 받기를 기대한다. 최근 건강과 안전한 의료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커지고 의료서비스의 제공도 증가되고 있으나 의료 제공과정은 점점 복잡해지고 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일부 간호사들은 환자안전에 대해 낙상과 관련된 부상, 환자 안위에 위협적인 사고나 화재 등과 같이 매우 제한적인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는 이유는? 일부 간호사들은 환자안전에 대해 낙상과 관련된 부상, 환자 안위에 위협적인 사고나 화재 등과 같이 매우 제한적인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안전사고를 간접적으로 경험하지만,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주의와 문제인식이 낮아서라고 볼 수 있다[5]. 사회 전반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의료기관의 의료사고나 의료분쟁 등은 증가하고 있어, 의료기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 G. Ha. (2016). Patient safety act. http://www.mohw.go.k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OI:http://www.law.go.kr/lsInfoP.do?lsiSeq 

  2. B. S. Lee, S. R. Kang, & H. O. Kim. (2007). Experience of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 Application of Focus Group Methodology. J Korean Acad Nurs 37 (1), 114-124. DOI : G704-000229.2007.37.1.012 

  3. S. J. Ha & M. J. Lee. (2019). A Study on Patient Safety Culture, Incident Reporting and Safety Care Activities of Clinical Nurses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26(1), 35-45. DOI : 10.5953/JMJH.2019.26.1.35. 

  4. S. J. Park, J. Y. Kang & Y. Y. Lee. (2012).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1), 44-55. DOI : JAKO201219240566954&dbt 

  5. Y. L. Son. (2016). (The)impact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3), 509-517. DOI : 10.5762/KAIS.2016.17.3.509 

  6. V. E. O'Halloran, S. E. Pollock, T. Gottlieb & F. Schwartz. (1996). Improving Self-Efficacy in Nursing Research, Clinical Nurse Specialist, 10(2), 83-87. DOI : 10.1097/00002800-199603000-00009 

  7. S. H. Lee.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 10-20. DOI : JAKO200823352963335&dbt 

  8. P. R. Pintrich & E. V. De Groot.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DOI : 10.1037/0022-0663.82.1.33 

  9. H. H. Park & S. Y. Kim. (2019).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J Korean Acad Adm., 25(2), 63-72. DOI : 10.11111/jkana.2019.25.2.63 

  10. N. J. Lee & J. H. Kim. (201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Adm. 17 (4), 462-473. DOI : 10.11111/jkana.2011.17.4.462 

  11. M. H. Nam & J. H. Lim.(2013).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 349-359. DOI : 10.14400/JDC.2013.11.1.349 

  12. E. J. Kim. (2016).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Attitude and Safety Control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7), 564-572. DOI : 10.5762/KAIS.2016.17.7.564 

  13. H. Y. Kim & H. S. Kim. (2011).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13-422. UCI : G704-001792.2011.17.4.009 

  14. J. E. Jang. (2013). Impact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ontrol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DOI : 200000263971_20200618111709.pdf 

  15. AHRQ.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AHRQ Publication. DOI : 10.1037/t34515-000 

  16. J. E. Kim, M. A. Kang, K. A. Ann & Y. H. Seong.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69-179. DOI : KINX2008048315 

  17. M. J. Park, I. S. Kim & Y. L. Ham. (2013).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for Hospital Employe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2(5), 332-341. DOI : 10.5392/JKCA.2013.13.05.332 

  18. H. Y. Kim. (2016). Effect of Awareness of Medical Accreditation System on the Safety Attitude fo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 DOI : 000002233725_20200618111938.pdf 

  19. M. Sherer, J. E. Maddux., B. Mere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 Con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DOI : 10.2466/pr0.1982.51.2.663 

  20. A. S. Jung.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http://dcollection.hanyang.ac.kr/public_resource/pdf/ 

  21. G. O. Lee. (2009). Th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http://khu.dcollection.net/public_resource/pdf/ 

  22. Y. J. Lee. (2011).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ieved by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http://eulji.dcollection.net/public_resource/pdf/ 

  23. S. D. Cho, S. E. Heo & D. H. Moon. (2016). A Convergence study on the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1), 125-136. DOI : 10.15207/JKCS.2016.7.1.125 

  24. J. Choi & H. J. Park. (2009).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in Schoolwork, J Korean Acad Nurs Admin, 15(1), 37-44. DOI : KINX2009069555 

  25. A. L..Han & S. H. Gweon. (2016).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8(1), 12-21. http://www.riss.kr/link?idA10366770 

  26. Y. E. Kim, G. H. Suh, S. H. Choi & S. Park. (2020).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Crisisotomy(KRCEM), 16(4), 33-44. 

  27. G. Y. Gwoen & B. J. Oh. (2019). Effects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Self-efficacy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J Korean Acad Nurs Admin, 25(2), 106-114.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