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인지 왜곡 청소년의 스트레스, 슬픔과 절망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tress, Sadness and Despair of Body Image Distortion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377 - 385  

권명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애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체를 왜곡되게 인지하고 있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정서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제 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전체 대상자 중 정상체질량 지수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체형을 살이 찐 편이라고 인지한 13-18세 청소년 9,635명으로 남자 3,640명과 여자 5,995명이었다. 주요 분석방법은 신체인지왜곡을 가진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정서와 일반적, 신체적 및 심리적 요인간의 관계는 복합표본통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패스트푸드를 많이 섭취할수록 남녀 모두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이 높았으며 대부분 유의하였다(p<.05). 또한 신체활동을 안하는 경우 남녀 모두 스트레스를 더 받았으며 슬픔과 절망감은 신체활동을 안하는 경우 더 적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결과는 신체인지 왜곡 청소년을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istorted body image in adolescents according to sex. The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9). The subjects included 9,635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body type as overweight, despite having a normal b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인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체인지 왜곡을 가진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녀 청소년의 성별에 적합한 신체인지 왜곡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도 연령별 체질량 지수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비만하다고 인지하는 신체인지 왜곡을 가진 청소년이 상대적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이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청소년 전체 대표성을 가진 자료를 통한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신체인지 왜곡을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의 영향요인을 대표성 있는 자료를 통하여 성별비교를 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 본 연구 결과 신체인지 왜곡을 가진 청소년의 정서 변인 중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졌다.
  •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영향요인들은 앞으로 신체인지왜곡을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상자 선정과정 및 자료수집과정을 통하여 대표성 있는 자료가 확보되어 해석됨에 있어서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표할 수 있는 결과로서의 가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신체 인지 왜곡과 제시된 요인과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상세하게 분석하지 못하는 이차데이터 분석의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제 15차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별에 따른 신체인지 왜곡을 가진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제 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로 성별에 따른 신체를 왜곡되게 인지하고 있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정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정상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비만하다고 인지하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슬픔, 절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영향요인들은 앞으로 신체인지왜곡을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현재까지 신체인지 왜곡을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의 영향요인을 대표성 있는 자료를 통하여 성별비교를 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인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체인지 왜곡을 가진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녀 청소년의 성별에 적합한 신체인지 왜곡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에 대한 바람직한 체형인식 기준을 갖지 못할 경우 어떻게 되는가? 신체 인지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감정이며[1] 신체인지 왜곡은 개인이 가지는 자신의 객관적인 외모에 대한 왜곡된 인식정도 이다[2]. 신체에 대한 바람직한 체형인식 기준을 갖지 못할 경우 자신의 체형을 왜곡되게 인지하게 되고 이러한 왜곡은 부적절한 체중 감소 시도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3]. 또한 객관적 데이터와 주관적인 신체인지가 일치하지 않는 신체인지 왜곡은 평균 체중 범위와 평균 체질량 지수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저체중 혹은 과체중으로 인지하는 것이다[4].
본 연구에서 신체인지 왜곡을 가진 청소년의 정서 변인 중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검증한 결과는? 정상 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비만하다고 인지하는 청소년들이 전반적으로 패스트푸드 섭취를 많이 할수록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을 더 인지하였다. 그러나 신체활동의 경우, 신체활동이 적을수록 스트레스는 많이 받았지만 슬픔과 절망감은 적게 받은 것으로 나타나 부정적 정서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부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체중조절 노력도 스트레스, 슬픔과 절망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신체활동도 체중조절도 유의한 정서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많은 종류가 신체활동과 연관되고 신체활동을 통한 다양한 이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신체 인지란? 신체 인지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감정이며[1] 신체인지 왜곡은 개인이 가지는 자신의 객관적인 외모에 대한 왜곡된 인식정도 이다[2]. 신체에 대한 바람직한 체형인식 기준을 갖지 못할 경우 자신의 체형을 왜곡되게 인지하게 되고 이러한 왜곡은 부적절한 체중 감소 시도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T. F. Cash. (2004). Body image: Past, present, and future. Body Image, 1, 1-5. 

  2. J. K. Thompson & R. M. Gardner. (2004). Measuring perceptual body image among adolescents and adults.. In: Cash, TF.; Pruzinsky, T., editors. Body image: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ew York : Guilford Press. 

  3. H. I. Park, S. Y. Kwon & C. H. Jung. (2010). The relationship among body weight,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in community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6(1), 23-32. 

  4. A. J. Blashull & S. Wilhelm. (2014). Body image distortion, weigh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 boys: Longitudinal trajectories into adulthood. Psychol Men Masc, 15(4), 445-451. doi:10.1037/a0034618. 

  5. H. S. Kim, J. H. Jang, K. M. Lee, S. P. Jung & S. H. Kum. (2015). Association between actual or perceptional weight status and mental health issues in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15(3), 129-135. 

  6. J. Y. Kim, S. J. Son, J. E. Lee, J. H. Kim & I. K. Jung. (2009). The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on obesity stress, weight control attitudes, and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4), 49-59. 

  7. H. W. Byeon.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weight perception and depression-like symptoms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2), 6317-6323 

  8. I. S. Kakeshita & S. S. Almeida.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body image in Brazilian adults. Psychology & Neuroscience, 1(2), 103 

  9. R. H. Striegel-Moore & D. L. Franko. (2004). Body image issues among girls and women: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ew York: Guilford Press4. 

  10. D. R. McCreary. (2007). The Drive for Muscularity Scale: Description, psychometrics, and research findings. Psychological, social, and medical perspectives. ;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 R. Olivardia, H. G. Pope, J. J. Borowiecki & G. H. Cohane. (2004). Biceps and body imag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arity and self-esteem,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5, 112-120. 

  12. H. J. Roh & E. Y. Kim. (2011). Effect of television drama exposure on adolescence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awarenes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5), 340-36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https://yhs.cdc.go.kr/new/pages/main.asp 

  14. T. F. M. ter Bogt, S. van Dorsselaer, K. Monshouwer, J. E. E. Verdurmen, R. C. M. E. Engels & W. A. M. Vollebergh. (2006). Body mass index and body weight perception as risk factors for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9(1), 27-34. 

  15. H. J. Yun. (2018). Effect of body image distortion on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J Health Info Stat, 43 (3), 191-199. Doi: 10.21032/jhis.2018.43.3.191 

  16. J. K. Ryu. (2019). Effects of body image distortion 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differences by parents' country of origin.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4 (2), 160-171. Doi:10.21032/jhis.2019.44.2.160 

  17. A. Khambaila, L. L. Hardy & A. Bauman. (2012). Accuracy of weight perception, life-style behaviour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48(3), 220-227. 

  18. C. M. Lenhart, B. P. Daly & D. M. Eichen. (2011). Is accuracy of weight perception associated with health risk behaviors in a diverse sample of obese adolescents?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7(6), 416-423. 

  19. M. H. Kim. (2012). Eating habit,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behavior by BMI in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sing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0 data-,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5(3), 579-589. 

  20. H. S. Kim, J. H. Jang, K. M. Lee, S. P. Jung & S. H. Kum. (2015). Association between actual or perceptional weight status and mental health issues in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15(3), 129-135. 

  21. J. W. Oh, Y. S. Kim, H. J. Kwon & D. H. Kim. (2016).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perception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55(1), 247-260. 

  22. L. Whestone, S. Morrissey & D. Cummings. (2007). Children at risk: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weight status and suicidal thoughts and attempts in middle school youth. The Journal of School Health, 77(2), 59-100. 

  23. S. H. Yun, D. H. Lim & K. W. Oh. (2018). Development of the 201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Weekly Report, 11(25), 813-820. 

  24. M. J. Shin., K. M. Chung. & E. S. Kim. (2012).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korean adolescents : onset and developmental chang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1), 93-114. 

  25. T. M. McGuinness, J. G. Dyer, & E. H. Wade. (2012).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Psychological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50(12), 17-20. 

  26. V. Kraaij, N. Garnefski, E. J. Wilde, A. Dijkstra, W. Gebhardt, S. Maes & L. Doest. (2003). Ne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Bonding and cognitive coping as vulnerability fact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2(3), 185-193. 

  27. S. Nolen-Hoeskma, L. E. Parker & J. Larson. (1994). Ruminative coping with depressed mood following lo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1), 92-104. 

  28. M. J. Kim & J. H, Jeong. (2019).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in Korean youth in subjective poverty. Korean J Health Educ Promot, 36(5), 53-62. https://doi.org/10.14367/kjhep.2019.36.5.53 

  29. S. H. Park, J. N. Yang & E. J. Choi. (2015).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residing in low-income area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5), 301-323. 

  30. B. J. Seo & W. H. Kim. (2017). Converged Influence of the Academic Stress Recognized by Teenagers on Mental Health: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83-293. https://doi.org/10.15207/JKCS.2017.8.7.283 

  31. W. E. Ansari, H. Adetunji & R. Oskrochi. (2014). Food and mental health: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Kingdom. Cent Eur J Public Health, 22(2), 90-97. 

  32. S. K. Park & J. H. Lee. (2020).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15th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3(3), 255-270. https://doi.org/10.4163/jnh.2020.53.3.255 

  33. S. J. Moon, J. W. Kim, H. J. Kim & D. K. Lee. (2017). Association between dietary habits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a study based on the 10th (2014)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Korean J Fam Pract, 7(1), 66-71. 

  34. A. Y. Kim, J. H. Kim & S. H. Kye. (2018).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1(5), 465-479. doi: 10.4163/jnh.2018.51.5.465. 

  35. J. E. Yoo, D. S. Oh & N. K. Kim. (2014). How does body-shape perception affect the weight control practice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14(1), 29-35. 

  36. J. Yost, B. Krainovich-Miller, W. Budin & R. Norman. (2010). Assessing weight perception accuracy to promote weight loss among U.S. female adolescents: A secondary analysis. BMC Public Health, 10, 465-475. 

  37. H. M. Son, H. Y. Lee & H. Y. Lee. (2015). Factors that Influence Body Image Disturbance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data from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4), 2251-2267. 

  38. Y. S. Hong & C. S. Kim. (2012). The effect of body fat percentage, self body image, and stress of exercise on exercise participation in obese children, Korean Journal of Obesity, 21(4), 203-212. 

  39. A. Khambaila, L. L. Hardy & A. Bauman. (2012). Accuracy of weight perception, life-style behaviour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48(3), 220-227. 

  40. J. Y. Kim & D. G. Sung. (2020).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of Physical Activity Guideline for Adolescents and Smartphone Problem Experi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6), 215-225. https://doi.org/10.15207/JKCS.2020.11.6.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