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명의료윤리와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장기기증 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iomedical Ethic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401 - 407  

주세진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강균영 (경동대학교 간호대학) ,  박정희 (동아대학교 의료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명윤리의식과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1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7명에게는 생명윤리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관한 지식이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F=35.21, p=.00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교육과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of nonequivalent groups and is design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f 2 group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one group who received the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and the other group who d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토론(1시간): 모둠별 토론을 통하여 장기이식에 대한 인식과 이해, 비판적 사고를 돕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생명의료윤리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생명윤리의식과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생명의료윤리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이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뇌사자 장기 기증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생명의료윤리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보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생명의료윤리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1) 도입(1시간): 국립장기이식혈액관리원에서 뇌사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제작된 홍보 동영상을 보며 관심을 유도하였다.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교육과 모둠별 토론을 통하여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이해와 비판적 사고를 돕고자 하였다. 토론 주제는 태아의 생명권, 인공 임신중절, 인공수정, 태아 진단, 신생아의 생명권, 안락사, 장기이식, 뇌사, 인간 생명공학 중 모둠별로 1가지 주제를 자유롭게 선정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
  •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확한 지식은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의식 확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생명의료윤리 관련 교육자료 개발 및 윤리관 확립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명의료윤리란? 생명의료윤리는 건강, 인간의 삶과 죽음 등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의사결정 과정의 도덕적 차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6], 생명의료윤리 범주에는 배아 복제, 낙태, 대리모, 연명의료, 장기이식, 임상시험 등 다양한 범주들이 포함된다. 최근 대학 교육에서는 지식, 술기뿐 아니라 인문학, 역사와 철학, 윤리, 심리학, 글쓰기 등과 같은 인문사회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생명의료윤리 범주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생명의료윤리는 건강, 인간의 삶과 죽음 등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의사결정 과정의 도덕적 차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6], 생명의료윤리 범주에는 배아 복제, 낙태, 대리모, 연명의료, 장기이식, 임상시험 등 다양한 범주들이 포함된다. 최근 대학 교육에서는 지식, 술기뿐 아니라 인문학, 역사와 철학, 윤리, 심리학, 글쓰기 등과 같은 인문사회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장기기증과 이식대기자를 비교하면 그 수는 어떠한가? 통계자료[1]에 의하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이식이 필요하여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에 등록된 이식대기자는 신장, 간장, 췌장, 심장, 폐, 소장 등 모두 합하여 13,540명이다. 장기기증은 뇌사, 사후, 생존을 합하여 2017년 2,810건, 2018년 2,855건, 2019년 3,137건으로 계속 증가 추세에 있지만 이중 뇌사자 장기기증은 2017년 515건, 2018년 449건, 2019년 450건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처럼 장기기증과 이식대기자를 비교했을 때 장기기증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NOS. (2019.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https://www.konos.go.kr 

  2. J. O. Lee & E. Y. Oh. (2018).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organ dona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im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289-297. DOI : 10.14400/JDC.2018.16.5.289 

  3. Y. J. Kim & M. N. Lee. (2011). Attitude on Nursing Ethical Values and on Brain Death Organ Donation of Hospital Nurs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10), 312-323. DOI : 10.5392/JKCA.2011.11.10.312 

  4. M. K. Cho.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4), 311-320. DOI : 10.14400/JDPM.2013.11.4.311 

  5. S. Y. Kim. (2014). Effect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using Movies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7), 281-290. DOI : 10.5392/JKCA.2014.14.07.281 

  6. S. J. Kwon. (2003).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 Focused on Daegu city and Gyeongsangbuk Do.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7. H. Y. Jung & K. I. Jung. (2012).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Freshmen Nurs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4), 37-48. DOI: 10.12811/kshsm.2012.6.4.037 

  8. Y. H. Kwon. (2009).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 262-272. 

  9. H. K. Chang, S. M. Noh, S. Y Park, M. J. Kim. & H. Y. Han. (2014).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Among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12(2), 47-70. DOI : 10.14729/converging.k.2014.2.2.47 

  10. J. S. Kim & I. S. Jang. (2016). The effect of an organ donation education on Undergraduat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ill to organ donatio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2(2), 104-112. DOI : 10.14370/jewnr.2016.22.2.104 

  11. Y. H. Shon & C. M. Cho. (2002). Public's Attitude to Organ Transplants and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2), 279-287. 

  12. M. E. Rykhoff et al. (2010). A clinical group's attempt to raise awareness of organ and tissue donation. Progress in Transplantation, 20(1), 33-39. DOI : 10.1177/152692481002000106 

  13. E. A. Kim & S. E. Choi. (201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living and brain death organ donation inten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6), 802-811. DOI : 10.4040/jkan.2015.45.6.802 

  14. H. E. Seo & M. Y. Kim. (2016). Operation Room Nurses' Ethical value regarding their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in brain death.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4), 355-366. DOI : 10.7475/kjan.2016.28.4.355 

  15. H. S. Jeon. (2011).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18(3), 401-410. 

  16. J. A. Lee & S. Y. Kim. (2008).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2(1), 120-129. 

  17. S. Randunz, B. Juntermanns, M. Heuer, N. R. Frsshauf, A. Paul & G. M. Kaiser. (2012). The effect of education on the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wards organ donation. Annals of Transplantation: quarterly of the Polish Transplantation Society, 17(1), 140-144. DOI : 10.12659/AOT.882648 

  18. S. J. Byun, H. K. Kim, A. R. Kim, H. S. Ha & K. O. Joen. (2003). Task analysis of korean transplantation nurse practitioner.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3(2), 179-188. 

  19. H. R. Yoo. (2004).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regarding brain dead organ transplantation.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 H. J. Choi. (2013).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on attitude and practice will to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1. E. Y. Jung & J. H. Seo. (2016). The effect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7(1), 209-226. DOI: 10.22143/HSS21.7.1.11 

  22. H. S. You. (2009). The effect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 57-65. 

  23. M. H. Sung, E. Y. Son & S. E. Lee. (2006).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es regarding brain death organ dona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125-135. 

  24. H. Y. Kang. (1999). A study on nursing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organ transplant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5(1), 7-19. 

  25. P. Chrisham. (1981). Measuring moral judgement in nursing dilemmas. Nurs Res, 30(2), 104-110. 

  26. M. H. Im & C. S. Park. (2014).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7), 4423-44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