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기증 교육이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의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n Organ Donation Education on Undergraduat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ill to Organ Donation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04 - 112  

김정숙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장인순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gan donation education on undergraduat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ill to organ donation. Methods: The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A total of 164 students from K university, Seoul, Korea were recruited; 74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이 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의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정규 교과과정이나 관련 교양수업에 장기기증 관련 교육이 포함되는 등 체계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기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장기기증은 장기가 망가져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해 기존의 치료법으로 회복이 어려워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 놓인 각종 말기질환자의 장기를 다른 사람의 장기로 대체·이식하여 그 기능을 회복시키는 의료행위로써 새 생명을 얻게 하는 치료법이다. 장기기증에는 뇌혈관질환·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뇌사자의 장기를 가족 또는 유족의 신청에 의하여 기증하는 경우의 뇌사기증과 사망한 후 안구를 기증하는 사후기증과 살아 있는 자 사이의 기증으로 세 가지 종류로 구분하고 있다[1]. 우리나라의 장기이식은 1969년생 체신장이식을 계기로 1979년에는 뇌사자로부터의 장기이식 수술을 성공하면서 꾸준한 의학적 발달과 함께 최근 2014년 보건복지부 나눔 실태 결과보고에 의하면[2], 장기 기증 뇌사자는 2011년 368명에서 2013년 416명으로 증가하였다.
장기기증은 무엇인가? 장기기증은 장기가 망가져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해 기존의 치료법으로 회복이 어려워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 놓인 각종 말기질환자의 장기를 다른 사람의 장기로 대체·이식하여 그 기능을 회복시키는 의료행위로써 새 생명을 얻게 하는 치료법이다. 장기기증에는 뇌혈관질환·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뇌사자의 장기를 가족 또는 유족의 신청에 의하여 기증하는 경우의 뇌사기증과 사망한 후 안구를 기증하는 사후기증과 살아 있는 자 사이의 기증으로 세 가지 종류로 구분하고 있다[1].
우리나라의 뇌사 기증자가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44 정도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3]. 이러한 배경에는 많은 요인들이 있겠지만 Kim [5]은 뇌사인정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고 있고, 전통적인 유교사상의 영향, 사체훼손에 대한 두려움, 가족 간의 장기기증에 대해서는 관대하나 타인에 대한 장기기증에 소극적인 가족 중심적인 사고방식 등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적, 윤리적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따라서 뇌사 장기기증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긍정적 사고 및 장기기증 문화 정착 및 확산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및 홍보 활동과 함께 관련 연구들도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2016 Homepage[Internet]. Seoul: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2016 [cited 2016 February 11]. Available from: https://www.konos.go.kr.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Domestic Sharing Status Results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16 [cited 2016 February 11]. Available from: http://129.go.kr/news/news02_view.jsp?n 8523. 

  3. Kim HC, Kim HW. The issues and suggestions of organ transplant in korea. Ewha Law Journal. 2013;17(4):225-251. 

  4. Kwon YM, Yeun EJ. Subjectivity on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6):1437-1454. 

  5. Kim DJ.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eople's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3;23(2):96-135. 

  6. Kim MO, Joo SJ, Choi JH, Kim KS, Yoo M, Kim HJ. Knowledge, attitude, and will for organ donation of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toward the brain death organ donation.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2012;15(2):231-243. 

  7. Lee JA, Kim SY.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08;22:120-129. 

  8. Oh NS, Park JY, Han CH. Knowledge and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 on brain death and organ donation.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06;32(2):85-93. 

  9. Park HH, Kim YJ, Kim JH, Park MH, Kim YG, Kim YB, et al.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organ donation in 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2015;3(1):299-310. http://dx.doi.org/10.15205/kschs.2015.3.1.299 

  10. Choi HJ.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on attitude and practice will to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3. p.1-88. 

  11. Shon YH, Cho CM. Public's attitude to organ transplants and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2;9(2):279-287. 

  12. McGlade D, Pierscionek B. Can education alter attitudes, behaviour and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A pretest-post-test study. BMJ. 2013;30(3):e003961. http://dx.doi.org/10.1136/bmjopen-2013-003961 

  13. Rey JW, Grass V, Galle PR, Werner C, Hoffman A, Kiesslich R, et al. Education in organ donation among students in Germany - results of an intervention study. Annals of Transplantation. 2013;16(18):23-30. http://dx.doi.org/10.12659/AOT.883794 

  14. Yilmaz TU. Importance of education in organ donation. Experimental and Clinical Transplantation. 2011;9(6):370-375. 

  15. You HS. The effect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2):57-65. 

  16. Kim HI, Cha H.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posthumous organ donation intentions: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0;54(6):173-198. 

  17. Kim EA, Choi 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living and brain death organ donation inten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6):802-811. http://dx.doi.org/10.4040/jkan.2015.45.6.802 

  18. Choi R, Hwang BD. The influence of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n intention to organ donation. The Journal of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2012;13(2):35-47. 

  19. Kim SY, Lee HO. A study on the persuasive effect of narrative in the context of organ donation. Speech & Communication. 2007;7:76-108. 

  20. Kim AH. Nurse's attitudes on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6;9(1):11-16. 

  21. Waterman AD, Rodrigue JR. Transplant and organ donation education: what matters?. Progress in Transplantation. 2009;19(1):7-9. 

  22. Yoo HR.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regarding brain dead organ transplantation.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04. p.1-64. 

  23. Kim YH.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civil servants at city, county, ward offices and health centers engaged in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upon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p.1-75. 

  24. Kang HY. A study on nursing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organ transplant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99;5(1):7-19. 

  25. Sung MH, Son EY, Lee SE.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es regarding brain death organ don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125-135. 

  26. Rykhoff ME, Coupland C, Dionne J, Fudge B, Gayle C, Ortner TL, et al. A clinical group's attempt to raise awareness of organ and tissue donation. Progress in Transplantation. 2010;20(1):33-9. 

  27. Lee JW. The ethical problems on defining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Chulhak-Ronchong,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2012;69(3):271-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