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파랑충격력에 의한 원형실린더구조물의 구조응답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Response of Cylindrical Structures Based on 2D Wave-Tank Test Due to Wave Impact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33 no.5, 2020년, pp.287 - 296  

이강수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플랜트에너지연구본부) ,  하윤진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플랜트에너지연구본부) ,  남보우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김경환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플랜트에너지연구본부) ,  홍사영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플랜트에너지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D 조파수조를 통해 수행된 모형시험결과를 기반으로 원형실린더에 분포하는 파랑충격압력을 시간에 따라 계측하고 이를 CFD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전산유체역학 해석을 통해 파랑충격력에 직접평가법에 관한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험으로부터 구한 파랑충격 시계열 데이터를 그대로 원형단면을 갖는 실제 해양구조물의 부재에 적용하였다. 실린더에 분포하는 변위 및 응력의 특성과 특이점이 바뀌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제 시계열을 적용하는 것이 해양구조물의 강도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수부에 요구되는 외판의 최소선급규정에 따른 두께 경험식들을 분석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재료 물성치를 갖는 강재에 관해 선수외판에 요구되는 구조물의 최소두께와 원형단면 부재에 요구되는 최소두께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NORSOK standard에 제시되어 있는 구조물의 손상기준을 활용하여 허용 두께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특히 해양구조물의 갑판충격력(wave in deck)의 경우 이와 관련된 경험식이나 최소두께 요구사항들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파랑충격력에 따라 요구되는 판재의 최소두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ave-impact load on offshore structures can be divided into green-water and wave-slamming impact loads. These wave impact loads are known to have strong nonlinear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wave impact loads are dealt with in the current classification rules in the shipping industry, their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응력분포의 경우 최대파랑충격이 발생하는 부위의 응력집중현상과 이종재료에 따른 상대적인 발생응력의 차이를 경계면을 따라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D 조파수조 모형시험은 주로 파랑충격압력 분포특성을 파악하는데 있어 아래의 구조적 파손관점에서가 아닌 동특성 파악에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구조해석은 상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 v19.
  • 이와 같이 파랑충격력의 경우 한번 발생할 경우 큰 손상을 발생시키므로 ULS(Ultimate Limit State) 또는 FLS(Fatigue Limit State)의 범주로 아닌 사고한계상태로 구분하고 있다(DNV-GL,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고주파 진동문제, 충격이후의 진동 또는 감쇠에 관해 다루지 않으므로 양방향 연성해석보다는 단방향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손상, 최소두께 등에 관해 연구를 집중하고자 하였다.
  • 실린더에 분포하는 변위 및 응력의 특성과 특이점이 바뀌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제 시계열을 적용하는 것이 해양구조물의 강도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수부에 요구되는 외판의 최소선급규정에 따른 두께 경험식들을 분석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외판에 보강재가 고려된 최소요구두께 관계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일판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강재두께를 산정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경험식을 시험을 통해 구한 하중분포를 수치모델에 작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조파수조 모형시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파랑충격압력 프로파일을 구조모델에 적용하여 비선형 구조해석을 수행하였고 보강된 선수외판의 최소요구 두께를 기준으로 원형부재에서 필요한 파랑충격에 관한 저항력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모형시험과 수치계산으로부터의 파도생성 결과를 검토해 보았다. Fig.
  • 동일한 두께조건에서 선수외판재에 비해 파랑 충격력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이 약1/2에서 1/3정도로 저항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료의 항복을 기준으로 단위면적당 저항할 수 있는 충격력을 기준으로 저항력의 범위를 나타낸 결과이며, 해양구조물의 경우 선박과는 달리 최종강도평가가 아닌 항복응력을 기준으로 원형부재의 사용성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추후 파랑충격발생 후 영구변형이 발생한 영역(dent)에 관해 잔존피로수명 재평가를 위한 결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영구변형량을 산정하였다.
  • 동일한 재료 물성치를 갖는 강재에 관해 선수외판에 요구되는 구조물의 최소두께와 원형단면 부재에 요구되는 최소두께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NORSOK standard에 제시되어 있는 구조물의 손상기준을 활용하여 허용 두께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특히 해양구조물의 갑판충격력(wave in deck)의 경우 이와 관련된 경험식이나 최소두께 요구사항들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파랑충격력에 따라 요구되는 판재의 최소두께를 제안하고 그 경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4m이다. 1995년 1월1일 북해의 Draupner 구조물에서 관측된 Freak wave인 New year wave 파고 25.6m와 근접한 파고 높이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여 수행하였다. 원형부재에 적용된 재료물성치는 탄성구간과 소성구간으로 구분하여 입력하였으며, 구간별 2개의 기울기를 갖는 Bilinear material model을 채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 이 길이는 영구변형이 발생한 면의 기울기가 발생한 점과 항복선이 모이는 꼭지점과의 경사각 발생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mm 이내의 영구변형이 발생하도록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는 최소요구두께 20mm를 기준으로 저항할 수 있는 단위면적당 파랑충격력은 5,000kN/m2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 파랑조건은 2차원 조파수조에서 주파수집중법을 이용하여 생성 가능한 쇄파의 최대파고로 설정하였다. 실린더구조물은 수심 70m의 북해에 설치된 Draupner 구조물에 대한 대표형상이라고 가정하였고 이때 최대파고 높이는 22.4m이다. 1995년 1월1일 북해의 Draupner 구조물에서 관측된 Freak wave인 New year wave 파고 25.
  • 이는 선박충돌 시 원형부재의 평평한 면(Flattened part)이 발생하고, 변형 시 기울기가 발생하는 부분을 항복선으로 가정하여 원형부재의 외경과 두께에 따른 함수로 표현되며 평평한면의 장변(Longitudinal length)가 길어질수록 큰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저항력은 식 (6)에 따라 계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선박의 거동은 무시하고 원형부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충돌영역 외에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부위의 변형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에서 해양구조물에 발생하는 가장 큰 하중은? 해양구조물의 경우 해상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바람, 조류, 파도 등에 의한 환경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해상에서는 파도에 의한 하중이 해양구조물에 가장 큰 하중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설계 시 파랑하중의 적절한 반영이 가장 중요하다. 쇄파와 같은 극한파는 국부적 손상을 야기하고 전체 구조물의 붕괴로 이어진다(Hong and Shin, 2007).
해양구조물은 어떻게 설계되어야하는가? 해양구조물의 경우 해상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바람, 조류, 파도 등에 의한 환경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해상에서는 파도에 의한 하중이 해양구조물에 가장 큰 하중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설계 시 파랑하중의 적절한 반영이 가장 중요하다.
파도에 의한 충격하중 예측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과거에는 Goda 등(1966)에 의하여 해석적인 방법으로 유체 충격하중을 추정하였지만 최근 컴퓨터의 발달로 CFD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유체충격하중을 직접 모사할 수 있다. 영국의 HSE(Health and Safety Executive)는 설계 기준 및 선급 규정들에는 해양구조물의 파랑 충격하중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 인식과 특별한 사항이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HSE,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BS (2011) Slamming Loads and Strenghth Assessment for Vessels. 

  2. Ahn, K.S., Kwon, S.H. (2017) Experimental Study on Wedge Slamming Considering Water Fluid-Structure Interaction, J. Ocean Eng. & Technol., 31(3), pp.22-27. 

  3. BV (2017) Structural Rules for Container Ship. 

  4. DNV-GL (2014) RP C205,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Loads. 

  5. DNV-GL (2017) DNVGL-RU-SHIP Pt.3 Ch.10 Special Requirements. 

  6. Goda, Y., Haranaka, S., Masahat, M., (1966) Study on Impulsive Breaking Wave Forces on Piles Report, Port and Harbour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7. Ha, Y.J., Kim, K.H., Nam, B.W., Lee, K.S. (2018) Experimental Study on Wave Impact Loads on a Vertical Cylinder in Breaking Waves,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droelasticity in Marine Technology, pp.1-10. 

  8. Hong, K.Y., Shin, S.H. (2007) Instability of Plunging Breaking Wave Impact on Inclined Cylinder, J. Korean Soc. Mar. Environ. Eng., 10(4), pp.187-192. 

  9. Hong, S.K., Lew, J.M., Jung, D.W., Kim, H.T., Lee, D.Y., Seo, J.S. (2017) A Study on the Impact Load Acting on an FPSO Bow by Steep Waves, Int. J. Nav. Archi. & Ocean Eng., 9, pp.1-10. 

  10. Health & Safety Executive(HSE) (2000) Review of Greenwater & Wave slam Design & Specification Requirements for FPSO/FSU's. 

  11. Kim, U.N. (2015) Bow Structure Design of the FPSO installed in the North Sea under the Flare Slamming Load, J. Soc. Nav. Archit. Korea, 52(5), pp.418-424. 

  12. KR (2018) Rules for the Fixed Offshore Structure. 

  13. Lee, D.H., Jeon, M.J. Nguyen, V.M., Yoon, H.K. (2016)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Impact of Green Water on Offshore Platforms with Green Water Protectors of Various Shapes, The 26th International Ocean and Polar Engineering Conference, International Society of Offshore and Polar Engineers, pp.136-149. 

  14. Lee, K.M. (2000)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Wave Load Acting on Offshore Structures, J. Ocean Eng. & Technol., 14(1), pp.6-10. 

  15. Lee, S.S., Lee, H.W., Park, C.H., Park, K.T. (2000) The Study of 3-Dimension Dynamic Characteristic of Gantry Crane, KSPE Autumnal Conferenc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708-712. 

  16. Li, L., Hu, Z., Jiang, Z. (2013) Plastic and Elastic Responses of a Jacket Platform Subjected to Ship Impacts, J. Math. Probl. Eng., 2013(790586), pp.1-15 

  17. LR (2016) Rules and Regulations for the Classification of Ship. 

  18. Nho, I .S., Ki, M.S., Kim, S.C., Le e, J.H., Kim, Y.W. (2017) Sloshing Impact Response Analysis for Insulation System of LNG CCS Considering Elastic Support Effects of Hull Structures, J. Ocean Eng. & Technol., 31(5), pp.357-363. 

  19. Park, T.H., Moon, J.S., Lee, I.H., Sim, W.S., Shin, H.S. (2011) Assessment of the Wave Impact Load on Offshore Structures, KAOST, pp.1501-15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