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 Study on the Upper Body Shape of High School Boys to Develop Uniform Shirt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10, 2020년, pp.103 - 113  

Cha, Su-Joung (Dept. of Fashion & Cloth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Wee, Hye-Jung (Major of Fashion Makers, ChungKang College of Cultural Industries)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이즈코리아의 제7차 인체치수조사 자료 중 16-18세 고등학교 남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맞음새가 우수한 교복 셔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상반신 관련 치수를 분석하여 상반신 체형을 분류하고 체형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복셔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고등학교 남학생은 높이항목은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너비, 두께, 길이, 둘레, 어깨경사각, 몸무게 항목에서는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반신 체형은 어깨길이가 길고 상반신 둘레와 너비가 작은 '긴 어깨 마른 체형', 상반신길이가 길고 상반신 둘레와 너비가 큰 '긴 상체 비만 체형', 어깨길이가 짧고 상반신 두께와 너비가 중간인 짧은 어깨 보통 체형, 어깨길이가 길고 둘레와 너비는 중간 정도인 '긴 어깨 보통 체형' 등 4개로 유형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사이즈 자료를 바탕으로 패턴 개발 및 사이즈 체계 구축을 통해 실질적인 맞음새가 우수한 교복 셔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 uniform shirt for high school boys aged 16-18 in the 7th Human Dimension Survey data of Size Korea. The upper body was analyzed to classify the upper body shape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by type. Through this, we wanted to obtai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맞음새가 우수한 고등학교 남학생의 교복 셔츠 개발을 위하여 사이즈코리아의 제7차 인체치수조사 중 16-18세 남학생의 치수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여 고등학교 남학생의 상반신 체형을 분류하고 체형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 남학생의 교복 셔츠 개발을 위하여 16-18세 연령대의 남학생에 국한하여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일반화하는 데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추출된 사이즈 자료를 바탕으로 패턴 개발 및 사이즈 체계 구축을 통해 실질적인 맞음새가 우수한 교복 셔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맞음새가 우수한 교복 셔츠 개발을 위하여 16-18세 고등학교 남학생의 자료를 분석하여 상반신체형 유형을 분류하고 체형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복 셔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맞음새가 우수한 교복 셔츠 개발을 위하여 16-18세 고등학교 남학생의 자료를 분석하여 상반신체형 유형을 분류하고 체형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복 셔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자료를 분석하여 고등학교 남학생의 상반신 체형을 분류하고 체형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교복 셔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맞음새가 우수한 고등학교 남학생의 교복 셔츠 개발을 위하여 사이즈코리아의 제7차 인체치수조사 중 16-18세 남학생의 치수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여 고등학교 남학생의 상반신 체형을 분류하고 체형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교복 셔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복 구입 후 가장 많이 변형하는 부위는? 청소년들은 교복을 착용할 때 체형 결점 커버와 몸매 강조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실루엣, 색상, 디테일, 소재 순으로 디자인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교복 구입 후 가장 많이 변형하는 부위로는 상의의 품과 길이를 가장 많이 변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교복의 치수에 있어서는 목, 어깨, 가슴 등의 상체 부분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의길이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청소년기의 심리가 불안정한 이유는? 교복을 줄여 입는 또래문화를 공유함으로써 소속감과 안정감을 가지려고 하는 것이 자아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기의 특징이다. 청소년기에는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생리적 변화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이다. 청소년기는 이성의 관심을 끌고 싶어하고 외모를 가꾸고자 하는 흥미가 높은 시기로, 의복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유행 추구나 의복 관심이 매우 높아져 의복이 인간 행동과 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커지는 시기이다[2-3].
선행 연구에서 청소년들이 교복을 수선하는 이유는? 교복의 치수에 있어서는 목, 어깨, 가슴 등의 상체 부분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의길이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수선을 하는 이유는 디자인에 대한 불만족과 치수에 대한 불만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8].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며, 고등학교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Kim, "Skirts and pants are repaired according to your taste...'wearing out-of school uniform' separately," Chosun ilbo,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016040301220.html 

  2. M. Horn, & L. Gurel,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rghton Miffin Co, 1981. 

  3. S. Kim, J. Lee, & S. Kim,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s from the relationship in adolescentson their conspicuous consump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1(5), pp. 564-573, October, 2019. 

  4. M. Ryan,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New York, 1966. 

  5. J. Hwang, M. Ahn, Y. Yong, S. Yoo, "A Comparison of school unform image preferences and modfications of school uniform i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rn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4(3), pp.243-247, June, 2002. 

  6. H. Jung, I. Jung, "Focused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Evaluative Criteria and Modification of Girls' School Uniform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7(2), pp.179-186, April, 2005. 

  7. M. Han, & E. Lee, "The evaluation for the design & satisfaction of the school uniform in girls' high school-focusing on Ulsan, "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4), pp.177-188, August, 2014. 

  8. C. Kwon, & D. Kim, "A Study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and perceived fit of high school girls' uniform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4), pp.399-416, August, 2016. DOI : 10.29049/rjcc.2016.24.4.399 

  9. S. Cha, "Lower body shape classification of adolescent men's studer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3(9), pp. 97-105, Semtember, 2018. DOI : 10.9708/jksci.2018.23.09.097 

  10. S. Cha, "A Study on somatiometric characteristics of upper body late adolescent boys," Korean Society of Basice Design & Art, 21(3), pp. 353-367, June, 2020. 

  11. Wiki Dictionary, "School Uniform," https://ko.wikipedia.org/wiki/%EA%B5%90%EB%B3%B5 

  12. M. Han, "A Study related to adolescent students' appearance related behavior and alteration of school uniform(unpublished master's thesis), " Wonkwang University, August, 2008. 

  13. Daum dictionary, "School Uniform,"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05480 

  14. S. Park, "I wear shorts and hoodies and go to school"...School uniforms are changing," https://www.yna.co.kr/view/AKR20180710039900797?input1179m 

  15. J. Seo, "Decreased fertility? School uniform industry looking for a way to global/children's premium,"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3736176 

  16. J. Park, "Sigh at'Online Opening'...School uniform industry bankruptcy'fear',"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93629 

  17. S. Kim, "'Subtracting the amount of school uniforms', brand uniforms still dominate," https://imnews.imbc.com/replay/2016/nwdesk/article/3892088_30244.html 

  18. J. Park, "Hyungji Elite, 'non-face-to-face school uniform ordering system' from next year's freshman," https://www.etnews.com/20200818000471 

  19. S. Park, "Hyungji Elite, launched a global student wear brand beyond Korea,"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81912111 

  20. Yeonhap News, "Smart school uniform, eco-friendly new material school uniform released... "Activity.Wearing $\uparrow$ "," https://www.yna.co.kr/view/AKR20200729102600848?input1195m 

  21. Yeonhap News, "Smart school uniform, achieved first place in the brand power of student uniform for 18 consecutive years," https://www.yna.co.kr/view/AKR20200402142302848?input1195m 

  22. Yeonhap News, ""A lot of additional purchases among school uniforms are expensive"," https://www.yna.co.kr/view/AKR20200803022100001?input1195m 

  23. E. Choi, & W. Do, " Study on Sizing System and Wearing Conditions with School Uniform Pants for Highschool Girl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2), pp. 286-293, April, 2012. 

  24. Kyobok.com, http://www.gyoboc.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303&cate_no1&display_group3 

  25. D. Kim, ""I want a comfortable, fit and pretty school uniform" Conducted a survey on smart school uniforms and comfortable school uniforms," http://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29482 

  26. S. Park, ""School uniform should be comfortable" As early as the second semester, wear a hanbok and go to school.,"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50813344046302&type1 

  27. E. Hong, "A Study on the slacks basic pattern and the lower sizing system for lower garments according to lower body types of adolescent boys(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August, 2005. 

  28. K. Kim, & M. Seo,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dy Shape for Early Adolescent Boy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3), pp. 344-360, June, 2005. 

  29. S. Cha, "A Study on the types upper body shape of adolescent boys," The Korean Societyof Design Culture, 24(3), pp. 367-650, September, 2018. DOI : 10.18208/ksdc.2018.24.3.637 

  30. S. Cha, "A Study on Somatometric Characteristicsof Upper Body of Late Adolescent Boy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1(3), pp.353-367, June,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