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EMFC의 고분자막에서 지지체가 고분자전해질 막 성능 및 전기화학적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ort on the Performance and Electrochemical Durability of Membrane in PEMFC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8 no.4, 2020년, pp.524 - 529  

오소형 (순천대학교 화학공학과) ,  임대현 (순천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대웅 (순천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권필 (순천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기계적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고분자막에 지지체를 넣은 강화막이 사용되고 있다. 지지체는 주로 e-PTFE를 사용하는데 소수성이고 이온전달이 안되므로 성능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e-PTFE 지지체가 PEMFC 성능과 전기화학적 내구성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연구에서는 지지체가 들어간 강화막과 들어가지 않은 단일막(비강화막)을 비교하였는데, 지지체의 소수성 때문에 강화막의 물 확산계수가 단일막보다 낮았다. 강화막은 물확산 계수가 낮아 이온의 막 이동 저항이 단일막보다 높았다. 지지체의 낮은 수소투과도 때문에 강화막의 OCV가 단일막보다 높았다. 지지체가 수소투과도를 감소시킴으로서 라디칼 발생속도를 감소시켜 강화막의 전기화학적 내구성도 향상시킴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a reinforced membrane in which a support is placed in the polymer membrane is used. The support mainly uses e-PTFE, which is hydrophobic and does not transfer ions, which may cause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is stu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지지체는 기계적 내구성(Mechanical durability)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만 인식되어 지지체가 고분자막의 전기화학적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다. 따라서 지지체의 유무에 따른 고분자 막의 전기화학적 내구성을 비교하여 지지체가 전기화학적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불소계 막을 단일막과 e-PTFE를 지지체로 사용하는 강화막을 직접 제조하여, 두 막의 성능 및 확산, 수소투과도 및 막의 물리적 물성을 비교함으로써 지지체가 PEMFC 고분자막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리고 지지체는 기계적 내구성(Mechanical durability)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만 인식되어 지지체가 고분자막의 전기화학적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MFC의 햄심 요소인 고분자 막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최근에 국내외에서 수소에너지 시대를 맞이하여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실용화 및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1-5]. PEMFC의 핵심 요소인 고분자 막은 이온전도체, 양쪽 전극의 가스 차단, 양쪽 전극 간 직접 전자이동 저지 등의 역할을 한다. PEMFC의 고분자막의 연구개발 동향은 고분자막의 두께를 얇게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비전도성 지지체는 기계적 강도 증가로 얇은 막이 가능하여 수소이온 저항이 큰 지지체가 들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분자 막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비전도성 지지체는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얇은 막이 가능하게 하여 수소이온 저항이 큰 지지체가 들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분자 막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공성 e-PTFE 매트릭스 기공 중에 이오노머가 채워져 수소이온 전달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e-PTFE 강화막의 내구성 평가에서 e-PTFE가고분자막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시킴을 많은 연구에서 보였다[7-11].
얇은 고분자막의 장점은? PEMFC의 고분자막의 연구개발 동향은 고분자막의 두께를 얇게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얇은 고분자막의 장점은 고가인 불소계 이오노머양의 감소에 따른 가격 감소의 효과가 있고, 이온전도도 증가에 의한 성능을 향상시키고, 스택 부피를 감소시켜 출력밀도를 높이는 효과 때문이다. 고분자막이 얇아지면 성능이 향상되지만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Wang, G., Yu, Y., Liu, H., Gong, C., Wen, S., Wang, X., Tu, Z., "Progress on Design and Development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Systems for Vehicle Applications: A Review," Fuel Processing Technology, 179, 203-228(2018). 

  2. Department of Energy, https://wwwenergygov/(2016). 

  3. 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http://wwwnedogojp/english/indexhtml(2016). 

  4. Hydrogen and Fuel Cell Technology Platform in the European Union, www.HFPeurope.org(2016). 

  5.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mostgovcn/eng(2016). 

  6.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Ion Conducting Membrane Having High Hardness And Dimensional Stability," PCT/US2002/027338. 

  7. Lai, Y. H., Mittelsteadt, C. K., Gittleman, C. S., Dillard, D. A., "Viscoelastic Stress Analysis of Constrained Proton Exchange Membranes Under Humidity Cycling," J. Fuel Cell Sci. Technol., 6(2), 021002, https://doi.org/10.1115/1.2971045(2009). 

  8. Spernjak, D., Mukherjee, P. P., Mukundan, R., Davey, J., Hussey, D. S., Jcobson, D. and Borup, R. L.,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Using High Resolution Neutron Imaging," ECS Trans., 33(1), 1451-1456(2010). 

  9. MacKinnon, S. M., Fuller, Coms, F. D., Schoeneweiss, M. R., Gittleman, C. S., Lai, Y., Jiang, H. R., Brenner, A. M., "Fuel Cells-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Membranes: Design and Characterization," Encyclopedia of Electrochemical Power Sources, Elsvier, Amsterdam, 2009, 741-754. 

  10. Craig, S., Gittleman, C. S., Coms, F. D., and Lai, Y. H.,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Degradation-Chapter 2 - Membrane Durability: Physical and Chemical Degradation," Academic Press, Boston, 2012, Pages 15-88. 

  11. Crum, M. and Liu, W., "Effective Testing Matrix for Studying Membrane Durability in PEM Fuel Cells: Part 2. Mechanical Durability and Combined Mechanical and Chemical Durability," ECS Trans. 3(1), 541-550(2006). 

  12. Tang, Y., Kusoglu, A., Karlsson, A. M., Santare, M. H., William, S. C., and Johnson, B., "Mechanical Properties of a Reinforce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Its Simulated Performance in PEM Fuel Cells," Journal of Power Sources, 175(2), 817-825(2008). 

  13. Khattra, N. S., Lu, Z., Karlsson, A. M., Santare, M. H., Busby, F. C., and Schmiedel, T., "Time-dependent Mechanical Response of a Composite PFSA Membrane," Journal of Power Sources, 228, 256-269 (2013). 

  14. Kusoglu, A., Santare, M. H., Karlsson, A. M., Cleghorn, S. and Johnson, W. B., "Numerical Investigation of Mechanical Durability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57(5), B705-B713(2010). 

  15. Kusoglu, A., Karlsson, A. M., Santare, M. H., Cleghorn, S. and Johnson, W. B., "Mechanical Behavior of Fuel Cell Membranes Under Humidity Cycles and Effect of Swelling Anisotropy on the Fatigue Stresses," Journal of Power Sources, 170(2), 345-358 (2007). 

  16. Lee, H. R., Lee, S. H., Hwang, B. C., Na, I. C. and Park, K. P., "Characteristic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PEMFC) 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MEA) Using 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Membran," Korean Chem. Eng. Res., 54(2), 181-186(2016). 

  17. Marchi, C. S. and Somerday, B. P., "Technical Reference for Hydrogen Compatibility of Materials," SANDIA REPORT, Sandia National Lab., SAND2012-7321, Printed September 2012. 

  18. Schalenbach, M., Hoefner, T., Paciok, P., Carmo, M., Lueke, W. and Stolten, D., "Gas Permeation through Nafion. Part 1: Measurements," J. Phys. Chem. C., 119, 25145-25155(2015). 

  19. Kocha, S. S., Yang, J. D., and Yi, J. S., "Characterization of Gas Crossover and Its Implications in PEM Fuel Cells," AIChE Journal, 52(5), 1916-1925(2006). 

  20. Hwang, B. C., Oh, S. H., Lee, M. S., Lee, D. H. and Park, K. P., "Decrease in Hydrogen Crossover through Membran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at the Initial Stages of an Acceleration Stress Test," Korean J. Chem. Eng., 35(11), 2290-2295(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