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잔류농약 residue definition과 관련된 식이노출의 과소평가
Underestimation of Dietary Exposure to Pesticide Residues in Relation to Residue Definitio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5, 2020년, pp.452 - 458  

이미경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물성 식품에 대한 잔류농약의 국내와 코덱스의 residue definition 비교를 통해 국내에서 식이노출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있는 농약성분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식이노출 과소평가가 위해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농약성분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와 코덱스의 residue definition 정보로부터 식이노출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있는 44종의 농약성분이 파악되었다. 이들 성분 중 농약성분의 ADI값, 국내 MRL 정보 및 대사물질의 독성학적 정보에 근거하여 다음의 24종 농약성분이 식이노출 과소평가가 위해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cibensolar-S-methyl, chlorfenapyr, chlorothalonil, cyantraniliprole, cyclaniliprole, cyflumetofen, dithiocarbamates, fenamidone, fenpyroximate, fluazifop-P-butyl, fluopicolide, flupyradifuron, fluxapyroxad, glyphosate, hexythiazox, isoprothiolane, isopyrazam, myclobutanil, penthiopyrad, propiconazole, spinetoram, spiromesifen, spirotetramat, trifloxystrobin. 더 나아가 chlorfenapyr, chlorothalonil, dithiocarbamates, fenamidone은 대사물질의 독성이 더 커서 특히 우선적으로 검토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식품 중 잔류농약에 대한 국내 위해성 평가방법의 개선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out pesticide types with probability for underestimation of dietary exposure to pesticide residues in Korea by comparing the residue definitions between Korea and Codex standards. In addition, we sought to establish priorities regarding the necessity of review concer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식물성 식품에 대한 잔류농약의 국내와 코덱스의 residue definition 비교를 통해 국내에서 식이노출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있는 농약성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 성분 중 식이노출 과소평가가 위해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농약성분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잔류농약에 대한 국내 위해성 평가방법의 개선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식물성 식품에 대한 잔류농약의 국내와 코덱스의 residue definition 비교를 통해 국내에서 식이노출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있는 농약성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 성분 중 식이노출 과소평가가 위해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농약성분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류농약은 어떤 물질로 구성되는가? 일반적으로 재배기간 동안 사용되었던 농약은 수확한 농산물에 잔류한다. 이러한 잔류농약(pesticide residue)은 사용된 농약성분(pesticide chemical)인 모화합물(parent compound)뿐만 아니라 대사물질(metabolite), 분해물질(degradates)등의 여러 물질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잔류농약 규제에서는 식품 및 사료에 대한 농약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을 설정할 때 잔류물질의 종류를 명확히 하기 위해 “residue definition”을 설립한다.
residue definition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식품 및 사료에 대한 잔류농약의 안전관리를 위한 residue definition에는 MRL 운용을 위한 것(residue definition for monitoring/compliance with MRL)과 식이위해성 평가를 위한 것(residue definition for dietary risk assessment)이 있다(이 논문에서는 전자를 RD-MRL, 후자를 RD-DRA로 표기함)1). 그 목적에 맞게 RD-MRL은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에 따라 농약이 올바로 사용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잔류물질로 그리고 RD-DRA는 독성학적으로 우려되는 잔류물질로 설립되어야 한다.
residue definition 내 RD-MRL, RD-DRA는 어떤 목적에 맞게 설립되어야 하나? 식품 및 사료에 대한 잔류농약의 안전관리를 위한 residue definition에는 MRL 운용을 위한 것(residue definition for monitoring/compliance with MRL)과 식이위해성 평가를 위한 것(residue definition for dietary risk assessment)이 있다(이 논문에서는 전자를 RD-MRL, 후자를 RD-DRA로 표기함)1). 그 목적에 맞게 RD-MRL은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에 따라 농약이 올바로 사용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잔류물질로 그리고 RD-DRA는 독성학적으로 우려되는 잔류물질로 설립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6. Guidance Document on the Definition of Residue, Series on Testing and Assessment No. 63. OECD, Paris, pp. 17-23.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States (2020, July 1). Proposed residue definition and maximum residue limits. Retrieved from http://www.fao.org/pesticideregistration- toolkit/registration-tools/data-requirements-and-testing-guidelines/study-detail/en/c/1186791 

  3.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Guida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esidue definition for dietary risk assessment. EFSA J., 14, 1-129 (2016). 

  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20, July 10). Setting tolerances for pesticide residues in foods. Retrieved from https://www.epa.gov/pesticide-tolerances/setting-tolerances-pesticide-residues-foods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Principles of Standard Setting on Foods and Others. MFDS, Cheongju, Korea, pp. 13-14. 

  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2018 The R&D Annual Report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BSTRACT). MFDS, Cheongju, Korea, pp. 63.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Notification 2020-24, Appendix 4. MFDS, Cheongju, Korea, pp. 2-113.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Pesticide MRLs for Agricultural Commodities. MFDS, Cheongju, Korea, pp. 20-230. 

  9. FAO/WHO 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s, 2019. CCPR, Agenda Item 6. FAO/WHO, Rome, Italy, pp. 1-379. 

  10. Joint FAO/WHO Meeting on Pesticide Residues, 2014. Pesticide Residues in Food. FAO/WHO, Rome, Italy, pp. 117-120. 

  11. Joint FAO/WHO Meeting on Pesticide Residues, 2019. Pesticide Residues in Food. FAO/WHO, Rome, Italy, pp. 11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