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마트 신선편의식품 소비자의 구매 후 행동에 따른 식품 내·외부 온도 및 미생물학적 오염 변화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and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depending on Consumer Behavior after Purchase of Fresh-Cut Produ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5, 2020년, pp.459 - 467  

박현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정은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솔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화학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의식품을 구매한 뒤 집으로 귀가해서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섭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그에 따른 신선편의식품 내.외부의 온도변화와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판 중인 신선편의 식품에 대해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 병원성 미생물인 B. cereus, S. aureus,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신선편의식품을 구매 후 귀가 또는 섭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대 3시간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차량 트렁크 내에서 최대 3시간 동안 보관한 결과 차량 트렁크 내부 최고 온도가 봄(3월) 19℃, 여름(7월) 44℃, 가을(9월) 31.3℃, 겨울(2월) 17.6℃로 각각 확인되었으며, 차량 트렁크에서 보관한 신선편의식품의 품온은 최대 봄 18.5℃, 여름 42℃, 가을 29.2℃, 겨울 16.8℃로 확인되었다. 차량 트렁크에 최대 3시간 보관한 신선편의식품의 일반세균수는 봄 3.41 log CFU/g, 여름 4.32 log CFU/g, 가을과 겨울은 각각 3.81 log CFU/g, 3.36 log CFU/g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의 대장균군 및 대장균, B. cereus,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균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S. aureus는 여름과 가을철에는 신선편의식품을 1시간만 차량에 보관하더라도 검출되었고, 봄과 겨울은 2시간 이상 차량 트렁크에 보관하였을 때 검출되었다. 이동용기로 흔히 사용되는 종이박스와 스티로폼 박스 내부가 알루미늄필름으로 코팅된 종이 박스를 이용하여 얼음 첨가여부에 따른 이동용기 온도변화 실험과 이동 중 S. aureus의 증식여부를 확인한 결과 스티로폼 박스에서 내부 온도변화가 가장 낮게 유지되었고, 시간 경과에 따른 미생물의 증식도 가장 적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신선편의식품 소비자들에게 구매 후 안전한 섭취를 위해 보관 온도나 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이동용기를 이용한 신선편의식품의 온도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both ambient temperature and microbial contamination of fresh convenience foods (FCFs) caused by the behavior of consumers after purchase. According to consumer survey results, it took 0.5 to 3 h put the purchased FCF in a home refrigerator or consume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마트에서 판매 중인 신선편의식품을 구매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을 구매 후 자택에 보관 또는 섭취하기까지의 경과 시간과 교통수단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계절별 신선편의식품의 내·외부 온도 및 이에 따른 미생물 오염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편의식품의 식중독 예방을 위해 제안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하지만 최근 일회용품의 과다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스티로폼 박스의 보다는 위 실험에서 사용한 내부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박스를 이용하고, 얼음을 첨가해 준다면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신선편의식품의 소비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품 구매 후 자택으로 귀가나 섭취에 걸리는 시간이 최소 1시간 이상일 경우, 얼음을 첨가한 적절한 이동용기를 사용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사고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선편의식품이란 무엇인가? 최근 우리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건강 중심의 식품섭취 요구와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간편 식품의 소비가 유행하고 있다1). 이러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한 식품으로는 신선편의식품과 신선편이농산물등을 들 수 있으며 신선편의식품은 농산물이나 임산물을 세척, 박피, 절단 또는 세절 등의 단순 가공 공정을 거치거나, 단순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추가한 것으로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단순 가공식품을 말한다2). 신선편이농산물은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절단 가공하고 수확 당시의 신선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유통시키는 농산물을 말한다3).
신선편의식품이 미생물 오염에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샐러드와 새싹채소 등이 포함된 신선편의식품은 조리시간의 절약과 간편성 그리고 가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최소한의 가공공정만을 거치기 때문에 원료 농산물이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미생물에 노출되기 쉽다11). 또한, 유통 과정 중 다양한 외부 환경요인에 따라 미생물 증식과 사멸이 반복되며, 생육에 유리한 환경에 노출될 때는 식중독 사고를 일으킬 수 있고12), 유기농채소를 원료로 사용할 경우 아직까지 별도의 기준이 없으나 위해 미생물의 오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13). 또한 신선편의식품을 판매하는 마트나 소매업체에서는 신선편의식품 및 농산물을 냉장 보관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보고되고 있으며, 운송시 냉장 조건의 준수 미비 등 온도 관리에 대한 문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J.Y., Kwon, K.I., Ha, S.Y., Hong, C.H., Changes of contamination level of Listeria spp. during the processing environment in kimbaab restaurants. J. Food Hyg. Saf., 20, 232-236 (2005). 

  2. Doosan Corporation, (2020, May 8). Fresh-cut,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81217001599481. 

  3. kfreshcut, (2020, May 25). What is fresh convenience food?, Retrieved from http://www.kfreshcut.com/ 

  4. Lin, C.-M., Fernando, S.Y., Wei, C.-I., Occurr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and E. coil O157:H7 in vegetable salads. J. Food Cont., 7, 13-140 (1996). 

  5. Lee, Y.S., Kim, S., Kim, D.H., Current status of fresh-cut market in Korea and stimulus measur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port., 602, 16-19 (2009). 

  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February 10). Canadian Romaine lettuce O-157:H7 Inspection Directive,Retrieved from https://impfood.mfds.go.kr/CFCII02F02/getCntntsDetail?cntntsSn259387 

  7. Seo, J.E., Lee, J.K., Oh, S.W., Koo, M.S., Kim, Y.H., Kim, Y.J.,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fresh-cut cabbage processing: Focusing on the changes of air-borne microorganisms. J. Food Hyg. Saf., 22, 288-293 (2007). 

  8. Kim, S.Y., (2020, February 10). Do you know any pathogenic microorganisms?, Retrieved from https://www.mafra.go.kr/mafra/293/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bWFmcmElMkY2OCUyRjMxMzIwMCUyRmFydGNsVmlldy5kbyUzRg%3D%3D 

  9. Hong, C.K., Seo, Y.H., Choi, C.M., Hwang, I.S., Kim, M.S., Microbi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in Seoul. J. Food Hyg. Saf., 27, 24-29 (2012). 

  10. Kim, S.H., Kim, J.S., Choi, J.P., Park, J.H.,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J. Food Sci. Technol., 38, 594-598 (2006). 

  11. Bae, Y.M., Hong, Y.J., Kang, D.H., Heu, S.G., Lee, S.Y.,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J. Food Sci. Technol., 43, 161-168 (2011). 

  12.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G.S., Ha, S.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ood Hyg. Saf., 20, 43-47 (2005). 

  13. Park, H.J., Min, K.J., Park, N.Y., Cho, J.I., Lee, S.H., Hwang, I.G., Heo, J.J., Yoon, K.S., Estimation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with high consumer risk perception. J. Food Sci. Technol., 45, 59-69(2013). 

  14. Kim, H.J., Kim, D.W., Song, S.O., Goh, Y.G., Jang, A.R., Microbiological Status and Guideline for Raw Chicken distributed in Korea. Korean J. Poult. Sci., 43, 235-242 (2016). 

  15. Kim, J.W., Kim, S.H., Establishment of washing conditions for salad to reduce the microbial hazard. J. Food and Cook. Sci., 21, 703-708 (2005). 

  16. Mins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May 5).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food,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 jsp?idx63. 

  17. Mins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May 5). microbiological test method,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62? 

  18. Hsieh, Y.M., Sheu, S.J., Chen, Y.L., Tsen, H.Y., Enterotoxigenic profile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detection of Bacillus cereus group cells and B. cereus strains from foods and food-borne outbreaks. J. Appl. Microbiol., 97, 481-490 (1999). 

  19. Nierop, W.V., Duse, A.G., Marais, E., Aithma, N., Thothobolo, N., Kassed, M., Stewart, R., Potgieter, A., Femandes, B., Galpin, J.S., Bloomfield, S.F., Contamination of chicken carcasses in Gauteng South Africa, by Salmonella, Listeria monocytogenes and Campylobacter.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99, 1-69 (2005). 

  20. Rajeh, A., Kamal, A.A., Ayman, A.M., Mazen, S., Role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the detection of antibiotic-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Egyptian J. Medical Human Genetics., 15, 293-298 (2014). 

  21. Asmaa, S.M., Gad, E.W., Sabry, D.M., Mahmoud, E., Mona, A.E., Azza, S.M.A., Elgabry, E.A.,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enterotoxigenic strains in bovine raw milk by reversed passive latex agglutination and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Vet. World., 10, 843-847 (2017). 

  22. Prakash, V., Kumar, D., Singh, S., Nath, G., Bacterial profiling of healthy bone marrow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technique. Iraqi J. of Hematol., 6, 69-73 (2017). 

  23. Cho, S.K., Kwon, H.S., Park, J.H., Microbe and Quality Changes of Ready-to-Eat Lettuc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67-1872(2010). 

  24. Jo, M.J., Jeong, A.R., Kim, H.J., Lee, N.R., Oh, S.W., Kim, Y.J., Hyang, S.C., Koo, M.S.,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J. Food Sci. Technol., 43, 91-97 (2011). 

  25. Abadias, M., Usall, J., Anguera, M., Solsona, C., Vinas, I.,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minimally-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 and sprouts from retail establishments. Int. J. Food Microbiol., 123, 121-129 (2008). 

  26. Kim, S.A., Lee, J.E., Kim, G.W., Kim, S.H., Shim, W.B., Microbial Monitoring and Exploring Ways to Prevent or Minimize Microbial Contamination a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ges of Fresh Strawberries. J. Food Hyg. Saf., 32, 485-49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