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온 변화에 따른 팔당호 수온 영향 및 이력현상
Effect of Air Temperature Changes on Water Temperature and Hysteresis Phenomenon in Lake Paldang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5, 2020년, pp.323 - 337  

유순주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임종권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이보미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최대 상수원인 팔당호를 대상으로 기온과 수온의 변화를 살펴보고 장기간 기온과 수온의 연속 자료를 활용하여 이력 현상을 살펴보았다. 계절 Mann-Kendall을 적용한 팔당호 인근 양평의 기온 변화 추세는 지난 47년간(1973~2019) 증가(0.048 ℃/yr)에 비하여 최근 27년간(1993~2019) 기온의 증가(0.060 ℃/yr)가 컸다. 팔당호와 유입 하천에서 수온은 기온과의 상관성이 높으나(R > 0.9, p < 0.005) 호소인 팔당댐앞 지점에서의 수온은 하천 수온 상승에 비하여 느리고 기온 하강기에 들어서 수온이 서서히 감소하였고 수심 평균 수온도 상승기와 하강기 모두 호소 표층보다 변화가 더디게 나타났다. 이는 호소가 하천보다 수체 규모 면에서 크고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감소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수온의 이력 현상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continuous data were used to investigate changes in air and water temperature and temperature hysteresis at Lake Paldang, the largest source of drinking water in South Korea. Based on the temperatures at Yangpyeong, near Lake Paldang, using a seasonal Mann-Kendall test, the rate of change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수온은 수질과 수생태계의 기본적인 영향 요소이므로 기온 변화와 그에 따른 수온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대 상수원인 팔당호를 대상으로 계절 맨-켄달(Seasonal Mann-Kendall) 방법을 적용하여 장기간의 기온 및 수온 변화와 함께 기온 상승과 하강에 따른 수온과의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절 Mann-Kendall을 적용한 팔당호 인근 양평의 기온 변화 추세는 어떠한가? 국내 최대 상수원인 팔당호를 대상으로 기온과 수온의 변화를 살펴보고 장기간 기온과 수온의 연속 자료를 활용하여 이력 현상을 살펴보았다. 계절 Mann-Kendall을 적용한 팔당호 인근 양평의 기온 변화 추세는 지난 47년간(1973~2019) 증가(0.048 ℃/yr)에 비하여 최근 27년간(1993~2019) 기온의 증가(0.060 ℃/yr)가 컸다. 팔당호와 유입 하천에서 수온은 기온과의 상관성이 높으나(R > 0.
106년간 측정된 연평균 기온에 대해 설명하시오. 우리나라도 1973년 이후 2016년의 기온이 가장 높았고, 2015년이 세 번째, 2017년은 일곱 번째로 기록되어, 최근 온난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다(NIMS, 2018). 1912년부터 관측된 6개 지점(서울, 인천, 강릉, 대구, 목포, 부산)의 106년간(1912~2017년) 연평균 기온은 0.18℃/10년으로 상승하였고 과거 30년(1912~1941년)에 비하여 최근 30년(1988~2017년)의 연평균 기온이 1.4℃ 더 높게 상승하여 점차 기온 상승률이 증가하고 있다(NIMS, 2018).
호소가 하천보다 수체 규모 면에서 크고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는 무엇인가? 060 ℃/yr)가 컸다. 팔당호와 유입 하천에서 수온은 기온과의 상관성이 높으나(R > 0.9, p < 0.005) 호소인 팔당댐앞 지점에서의 수온은 하천 수온 상승에 비하여 느리고 기온 하강기에 들어서 수온이 서서히 감소하였고 수심 평균 수온도 상승기와 하강기 모두 호소 표층보다 변화가 더디게 나타났다. 이는 호소가 하천보다 수체 규모 면에서 크고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감소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수온의 이력 현상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 JH, Lee KH. 2013. Correlation and hysteresis analysis of air-water temperature in four rivers: Preliminary study for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2(2): 17-32. [Korean Literature] 

  2. Boyce DG, Lewis MR, Worm B. 2010. Global phytoplankton decline over the past century. Nature. 466(29): 591-596. 

  3. Chang SH. 2010. The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Nam-Hangang Basin using statistics analysis - long term trend analysis of comprehensive water index. M.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4. Carter T, Hulme M, Lal M. 1999. IPCC-TGCIA Guidelines on the use of scenario data for climate impact and adaptation assessment, version 1. IPCC, Task Group on Scenarios for Impact Assessment. 

  5. Cha YC, Chung SW, Yoon SW. 2013. Forecasting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rmal stratification in Daecheong reservoir.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4): 329-343. [Korean Literature] 

  6. Choi JH, Ha JH, Park SS. 2008. Estimation of the effec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in Paldang La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Environmental Engineers. 30(12): 1225-1230. [Korean Literature] 

  7. Chung SW, Schladow SG. 2015.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of water temperature and internal waves in a large stratified la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4): 367-376. [Korean Literature] 

  8. Elliott JA. 2010. The seasonal sensitivity of cyanobacteria and other phytoplankton to changes in flushing rate and water temperature. Global Change Biology. 16(2): 864-876. 

  9. Han DH. 2010.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of streams and reservoirs in Kore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n Literature] 

  10. Han-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HRERC), NIER. 2018. Th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watershed of Lake Paldang 2000-2015. [Korean Literature] 

  11. Hirsch RM, Slack JR, Smith RA. 1982. Techniques of trend analysis for monthly water quality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18(1): 107-121. 

  12.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Summary for Policymakers, Technical summary and frequently asked question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3.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 881. 

  14. Kim JM, Jeong HG, Kim HR, Kim YS, Yang DS. 2020. A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using water environment network data in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9(1): 61-77. [Korean Literature] 

  15. Kim YH, Kim BC, Choi KS, Seo DI. 2001. Modelling of thermal stratification and transport of density flow in Soyang Reservoir using the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15(1): 40-49. [Korean Literature] 

  16. Korea Meteological Administration (KMA). Weather Data Open Portal. [cited 2020 June]. Available from https://data.kma.go.kr 

  17. Kong DS. 2019. Evaluating effect of density flow from upstream on vertical distribution of water quality at the Paldang Reservoi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ter Environment. 35(6): 557-566. [Korean Literature] 

  1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09.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trategy(I) : Response to climate change. [Korean Literature] 

  19. Lettenmaier DP, Hooper ER, Wagoner C, Faris KB. 1991. Trends in stream quality i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1978-1987. Water Resources Research. 27(3): 327-339. 

  20. Martin JL, McCutcheon SC. 1999. Hydrodynamics and transport for water quality modeling. CRC Press, Inc., New York, USA. 1-794. 

  21.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20.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cited 2020 June). Available from : http://water.nier.go.kr. 

  22.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8. Environment report of Special Measures Area in Lake Paldang.Daecheong for water quality conservation. 11-1480000-000865-10. [Korean Literature] 

  23. Moran XAG, Lopez-Urrutia A, Calvo-Diaz A, Li WKW. 2010. Increasing importance of small phytoplankton in a warmer ocean. Global Change Biology. 16: 1137-1144. 

  24. Na EH, Ahn KH, Park SS. 2002. A modeling study of seasonal overturn and vertical thermal profiles in the Paldang La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4(5): 901-910. [Korean Literature] 

  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8.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material transport in lake Paldang (II). NIER NO. 2008-48-998. 1-128. [Korean Literature] 

  26.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NIMS). 2018. Climate change of 100 years in Peninsula. 11-1360620-000132-01. [Korean Literature] 

  27. Oh SN, Kim YH, Hyun MS. 2004. Impact of urbanization on climate change in Korea, 1973-2002. Journal of the Korean Meteological Society. 40(6) 725-740. [Korean Literature] 

  28. Paerl HW, Paul VJ. 2012. Climate change: links to global expansion of harmful cyanobacteria. Water research. 46(5): 1349-1363. 

  29. Park BJ, Kim YH, Min SK, Kim MK, Choi YG, Boo KO, Shim SB. 2017. Long-term warming trends in Korea and contribution of urbanization : An updated assess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22, 10637-10654. 

  30. Sen PK. 1968. Estimate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based on Kendall’s tau.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3: 1379-1389. 

  31. Shin CM, Na EH, Kim DG, Kim K. 2014. Operational water temperature forecast for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HSPF watershed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6): 673-682. [Korean Literature] 

  32. Son JY, Park JR, Noh HR, Yu SJ, Im JK. 2020.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rmal and chemical stratification in Lake Palda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6(1): 1-13. [Korean Literature] 

  33. Stefan HG, Preud’homme EB. 1993. Stream temperature estimation from air temperature.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9(1):27-45. 

  34. Stefan HG, Sinokrot BA. 1993. Projected global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temperatures in five north central US streams. Climatic Change. 24: 353-381. 

  35. Stockle CO, Dyke PT, Williams JR, Jones CA, Rosenberg NJ. 1992. A method for estimating the direct and climatic effects of rising atmospheric carbon dioxide on growth and yield of crops: Part II-Sensitivity analysis at three sites in the Midwestern USA. Agricultural Systems. 38: 239-256. 

  36. Wetzel RG. 2001.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37. Yu JJ, Lee HJ, Lee KL, Lyu HS, Whang JW, Shin LY, Chen SU. 2014.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Nakdong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4): 247-257. [Korean Literature] 

  38. Yu SJ, Lee EJ, Park MJ, Kim KS, Im JG, Ryu IG, Choi HJ, Byeon MS, Noh HR. 2018. Changes in the water environment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in the lake Palda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6): 688-702. [Korean Literature] 

  39. Yu YS, Zou S, Whittemore D. 1993.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f rivers in Kansas. Journal of Hydrology. 150: 61-80. 

  40. Yun YJ, Park HS, Chung SW, Kim YD, Ohn IS, Lee SR. 2020. Long-term simulation and uncertainty quantific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Soyanggang reservoir due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6(1): 14-28.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