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지 개발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Health Impact Assessment of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5, 2020년, pp.391 - 402  

신문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공학과) ,  동종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공학과) ,  하종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법적 근거를 가진 건강영향평가(Health Impact Assessment)는 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위생공중보건 항목에서 작성 수행되고 있다. 택지개발 등 주거지 개발사업들은 「환경보건법」 제13조에 따른 건강 영향평가 대상사업은 아니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협의회 단계에서 인근 산업단지 등 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물질 중 건강영향평가 대상물질을 확인하여 위해도(발암·비발암 포함)를 산정하여 제시하라는 심의내용에 근거하여 부분적인 건강영향평가로 수행하고 있다. 주거지 개발사업은 특정대기유해물질 등 오염물질 배출시설 계획이 없지만 주변 산업단지와 같은 대기오염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향후 입주하는 계획지구 주민들에게 건강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도시개발사업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에 입주하는 계획지구 입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미래에 영향 검토 시 주변지역에 대한 문헌을 통한 예측 case1, 대기확산모델(AERMOD)을 이용한 발암성물질 노출농도예측과 기여도 분석 case2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계획지구 인근 산업단지 등의 오염원에 대한 수용체를 고려한 건강영향평가 방법으로는 현황조사와 대기확산모델(AERMOD)을 이용한 노출농도예측 및 기여도분석을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lth Impact Assessment based on municipal law is performed and written in the sanitary and public health part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housing site development etc., are not subject to health impact assessment under Article 13 of the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사례연구에서 현지조사 자료는 계획지구에 인접한 측정지점을 분포시키고 대상물질 중 발암성 물질에 대한 자료 분석이 가능하였지만 측정망 자료는 물질별 측정지점 및 측정횟수 등이 서로 다른 것이 한계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주거지개발사업의 입지예정지 주변의 발암성 물질을 조사하고 대기 확산모델링을 통해 수용체 내에서의 주변 배출원에 대한 오염물질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용체 주변 산업단지는 지속적으로 대기 중에 오염물질을 배출한다는 가정의 가우시안 연기모델(Gaussian Plume Model)인 AERMOD가 수용체 노출농도 예측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는 실제 주거지 개발사업 사례분석을 통해 주거지 계획대상지 주변의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수용체인 향후 입주하는 계획지구 입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발암성물질에 대한 주변 현지조사 및 국가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예측과 AERMOD에 따른 노출을 예상할 수 있는 농도 예측, 오염원별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입주 완료하여 운영 중인 산업단지인 a지구 및 b지구의 배출량 산정을 통한 예측으로 기여도를 산정하여 계획지구 주변 배출원에서 계획지구 내부, 즉 수용체로의 발암위해도 기준 1.0E-06에 얼마나 기여를 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Case 2 AERMOD를 이용한 발암위해도 값보다 Case 1의 발암위해도 값이 높은 것은 현재 입주 완료하여 운영중인 산업단지 a지구 및 b지구의 현황치가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지 개발사업 등 택지개발사업은 유해오염물질 배출 시설계획이 없으므로, 사례 분석을 통해 주거지 대상지 주변의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수용체인 향후 입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실제 개발사업 추진 시 건강영향을 고려한 평가 방법론과 적용 방안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 기여도 분석은 계획지구 내부에 예측된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별 기여도 산정으로 수행하였다. 주거지 개발 부지 주변에 특정화될 수 있는 오염원 각각에 의해서 해당 계획지구 내부 농도에의 기여정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주거지 개발을 전제하기 위한 오염원 관리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 주거지 개발 시 계획지구 주변의 대기오염물질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수용체인 향후 입주하는 계획지구 입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평가 시 현황조사와 계획지구 인근 산업단지에서 산정된 배출량을 이용하여, case1: 주변지역에 대한 문헌을 통한 예측, case2: 대기확산모델링 (Atmospheric Diffusion Model; 이하 AERMOD)을 통한 예측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평가 시 현황조사와 계획지구 인근 산업단지에서 산정된 배출량을 이용하여, case1: 주변지역에 대한 문헌을 통한 예측, case2: 대기확산모델링 (Atmospheric Diffusion Model; 이하 AERMOD)을 통한 예측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예측된 농도에 대해서는 향후 입주민이 평생동안 노출된다는 가정 하에 발암위해도(Cancer risk)를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IA의 정의는 무엇인가요?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밝혀지면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국제영향평가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IAIA), 세계은행(World Bank) 등 국제기구에서는 1980년 초반부터 건강영향평가(Health Impact Assesment:이하 HIA)의 실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WHO의 Gothenburg 합의서에는 “HIA는 어떠한 정책, 전략, 프로그램, 프로젝트에 의한 인체 건강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적인 모든 영향들의 인구 내에서의 분포도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는 절차, 방법 및 도구들의 조합이다.”라고 정의되어 있다(WHO, 1999). HIA는 정책, 계획, 프로그램, 프로젝트 등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여 의사결정권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제도이며, WHO, 영국, 캐나다, 호주, 미국, EU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IAIA와 WHO는 무엇을 강조하고 있나요? 사회학, 통계학, 생태, 위해성평가 chapter와 함께 건강영향평가를 한 chapter에 포함하였다. IAIA와 WHO는 2001년 12월 인체 건강과 개발을 공동 관심사로 상호협력을 목적으로 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현행 매체중심의 환경영향평가가 인간중심의 환경영향평가로 확대 전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WHO, 2001, Health Impact Assessment in Development Policy and Planning).
평가방법론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건강영향 항목의 추가·평가 매뉴얼을 따르고 있는데 이것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하지만 주거지 개발사업에 대한 건강영향 항목의 추가·평가는 매뉴얼상의 평가대상이 아니라서 사전예방적인 측면에서 법제도적인 한계가 있다. 즉 산업 단지 또는 폐기물처리시설 등 특정대기유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시설 인근에 계획 중인 택지개발, 도시 건설 등은 「환경보건법」에 따른 건강영향평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당해 사업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평가하는 데 미흡함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7. CalEnvironScreen 3.0. 

  2. Baek S. 2019.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Toxic Chemicals in Yeongnam Region - Focusing on Health Risks, J Korean Soc. Atmos. Environ., Vol.35, No.4, August 2019, pp.461-475. [Korean Literature] 

  3. EIAS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rpport System [Internet]. Available from : https://eiass.go.kr. 

  4.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5. Guidance for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Factors -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Industrial and Sensitive Land Uses. 

  5. Ha J. 2018.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otential Exposed Population for a Receptor-oriented Health Impact Assessment, J Environ Impact Assess, 27(2): 194-202. [Korean Literature] 

  6. Kim H, Roh S. 2016.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district and heat-related quality of life in Chungnam industrial complex area,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31. 

  7. Kim S. 2018. Quantitative Assessment on Contributions of Foreign NOx and VOC Emission to Ozone Concentrations over Gwangyang Bay with CMAQ-HDDM Simulations, J Korean Soc. Atmos. Environ., Vol.34,No.5, October 2018, pp.708-726. [Korean Literature] 

  8. Kim S. 2019. A Case Study on Health Impact Assess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lan, J Environ Impact Assess, 28(6): 616-625. [Korean Literature]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5. 2015 Environment Assessment - Basic teaching materials for education programs. [Korean Literature] 

  1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7. Improvement of Risk Assessment in Health Impact Assessment. [Korean Literature]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Manual for Assessment of Health Impact Items. [Korean Literature]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Regulations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a. Integrated Guidelines for Development and Loc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7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Exposure and Health Impact Monitoring Projects for Local Residents in the Country's Mountain Area.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7b.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Impact Assessment Method.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Impact Assessment System on the receptor's demand. [Korean Literature] 

  17.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Internet]. Available from : https://icis.me.go.kr/prtr/main.do 

  18. Shi J et al. 2018. A method to determine the protection zone of chemical industrial park considering air quality, health risk and environmental risk: a case study.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40(2): 915-922. 

  19. Shin M. 2020. A Study on a Plan Adequacy Evaluation for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Considering Health Impact, J Environ Impact Assess, 29(2): 93-111.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