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지속을 위한 자기효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A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the Continuation of Breastfeeding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7 no.2, 2020년, pp.90 - 98  

이부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among preterm mother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repeated measure,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comprised 46 preterm mothers recruited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미숙아는 흡철능력, 호흡 능력 등이 부족하여 모유를 유축하여 젖병으로 수유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미숙아 어머니들은 젖병수유에서 직접수유로 전환하는 것에 있어 요구도가 높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에서 젖병수유에서 직접수유로 전환하는 것을 돕기 위해 퇴원 전 수유 연습 시, 수유 시 서맥, 무호흡 등의 문제가 없는 미숙아에게서 직접수유 연습을 시행하였다. 본 결과로 퇴원 전 직접수유 경험이 퇴원 후 직접수유를 시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의 정서적 각성은 이완을 위해 시각적 심상요법의 이완요법을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심상요법을 본 프로그램 책자에 제공하고, 교육 시 유축 전에 시행하게끔 지시하고 교육 시 직접 따라해 보도록 시행함으로써 모유유축에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 시 개별적인 면담 시, 어머니의 미숙아의 상태에 따른 걱정, 모유수유 수행 시 나타날 수 있는 걱정과 우려, 어머니의 현재 기분 상태에 대해 경청하고 공감하여 정서적으로 불안함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의 대리경험은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시범을 보이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었던 경험자들로부터 성공수기를 들려줌으로써 모델링 기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숙아의 입원기간 동안 면회시간 방문 시, 모유 유축 이행 시 어려운 점에 대해 상담과 대안에 대해 교육하고 격려하며 모유수유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였다.
  •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은 미숙아의 특성과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본 연구자가 국제모유수유 전문가와 소아과 의사, 간호학교수의 자문을 받아 개발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미숙아를 분만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효능이론을 바탕으로 효능기대를 증가시키는 4가지 자원을 토대로 모유수유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킴으로써 급성기인 미숙아 출산 직후에 모유수유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퇴원 후에도 모유수유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중재 교육 프로그램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구체적인 교육방법은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는 모유수유 교육을 받은 미숙아 어머니와 모유수유 교육을 받지 않은 미숙아 어머니의 모유 관련 태도와 모유지속을 비교 분석한 비동등성 대조군 반복 측정 시차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언어적 설득은 미숙아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인 미숙아의 특성과 NICU에 대해 소개하여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며, 추후에 모유수유에 대한 의지를 심어 줄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미숙아의 모유수유 장점을 설명하고 모유수유의 시작과 퇴원 후에도 지속될 수 있도록 필요한 모유수유 지식과 기술, 유방관리, 마사지 방법 등의 교육 내용을 포함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대상자에게 수행할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격려하고 칭찬해 줌으로써 결과에 대해 기대감을 가지게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공경험을 위해 출산 후 2일 이내에 교육을 실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유방 마사지, 모유유축수행 등을 직접 시행하도록 하고, 출산 후부터 퇴원할 때 까지 모유수유 일지 작성을 함으로써 모유수유에 대한 자신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퇴원 전 수유연습 시 무호흡, 서맥 등의 문제가 없는 직접수유를 시행할 수 있는 미숙아는 직접수유를 직접 수행 해 봄으로써 젖병에서 직접수유로 전환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정서적 각성의 이완은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성공적인 모유수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유도하게끔 한다. 본 연구에서의 정서적 각성은 이완을 위해 시각적 심상요법의 이완요법을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심상요법을 본 프로그램 책자에 제공하고, 교육 시 유축 전에 시행하게끔 지시하고 교육 시 직접 따라해 보도록 시행함으로써 모유유축에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 시 개별적인 면담 시, 어머니의 미숙아의 상태에 따른 걱정, 모유수유 수행 시 나타날 수 있는 걱정과 우려, 어머니의 현재 기분 상태에 대해 경청하고 공감하여 정서적으로 불안함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모유수유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모유량, 그리고 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효능 증진 프로그램에 기초한 미숙아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미숙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자기효능감과 수유 지속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직전 측정한 모유량과 퇴원 후 4주에 측정한 모유양이 많을 것이다.
  • •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직전 측정한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점수와 퇴원 후 4주에 측정한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직전 측정한 모유수유 태도 점수와 퇴원 후 4주에 측정한 모유수유 태도점수가 높을 것이다.
  • •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후 4주에 모유수유와 직접수유를 지속하는 어머니가 더 많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CW. Hangug sinsaenga yeokhak - tonggyewa imsang jaryo [Korean neonatal epidemiology-Statistics and clinical data]: Seoul: Shinheung MedScience; 2012. 468 p. Korean. 

  2. Kim MS, Kim JU, An YM, Bae SM, Kim MJ. The research on the breast feeding and its related factors of premature infant.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3 Jul;9(3):272-84. 

  3. Nyqvist KH. Early attainment of breastfeeding competence in very preterm infants. Acta Paediatr. 2008 Jun;97(6):776-81. https://doi.org/10.1111/j.1651-2227.2008.00810.x 

  4. Chang YS. Nutritional support in Premature infants. Hanyang Med Rev. 2010 Nov;31(4):246-53. https://doi.org/10.7599/hmr.2011.31.4.246 

  5. Meedya S, Fahy K, Kable A.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breastfeeding duration to 6 months: a literature review. Women Birth. 2010 Dec;23(4):135-45. https://doi.org/10.1016/j.wombi.2010.02.002 

  6. Flacking R, Ewald U, Wallin L. Positive effect of Kangaroo Mother Care on long-term breastfeeding in very preterm infants.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011 Mar-Apr;40(2):190-7. https://doi.org/10.1111/j.1552-6909.2011.01226.x 

  7.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Guiding principles for complementary feeding of the breastfed child. Washington D.C.: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2003. 37 p. Available from: http://iris.paho.org/xmlui/handle/123456789/752 

  8. Pineda R. Direct breast-feed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s it important?. J California Perinat Assoc. 2011 Aug;31(8):540-5. https://doi.org/10.1038/jp.2010.205 

  9. Baek YM. Breastfeeding practices and related factors for premature infants following discharg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58 p. 

  10. Kim HS. Analysis of the content of telephone counseling with breastfeeding mothers. J Korean Acad Nurs. 1995 Mar;25(1):17-29. https://doi.org/10.4040/jnas.1995.25.1.17 

  11. Dennis CL. Breastfeeding initiation and duration: a 1990-2000 literature review.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002 Jan- Feb;31(1):12-32.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2.tb00019.x 

  12. Bandura A. The self-system theory in reciprocal determinism. Am Psychol. 1978 Apr;33(4):344-58. https://doi.org/10.1037/0003-066X.33.4.344 

  13. Jeong GH.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133 p. 

  14. Wheeler BJ, Dennis CL. Psychometric testing of the modified breastfeeding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 among mothers of ill or preterm infants.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013 Jan-Feb;42(1):70-80. https://doi.org/10.1111/j.1552-6909.2012.01431.x 

  15. Lee MH. The effect of handwashing practices improving program types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8. 78 p. 

  16. Yoo YS, Cho OH, Park SK, Jung HS, Kim SI. Developing of a web-based hypertensive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pilot study. J Korean Clin Nurs Res. 2005 Aug;11(1):57-70. 

  17. Boo, EH.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the new staff nurse'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utcome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123 p. 

  18. Jang SH. The effect of a breastfeeding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among primiparous mothers of premature babies [master's thesis]. Busan (KO):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4. 145 p. 

  19. Yun S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reastfeeding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primipara [dissertation]. Gongju (KO):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2. 135 p. 

  20. Kucukoblu S, Celebioglu A. Effect of natural-feeding education on successful exclusive breast-feeding and breast-feeding self-efficacy of low-birth-weight infants. Iranian J Pediatr. 2014 Feb;24(1):49-56. 

  21. Ertem IO, Votto N, Leventhal JM. The timing and predictors of the early termination of breastfeeding. J Am Acad Pediatr. 2001 Mar;107(3):543-8. https://doi.org/10.1542/peds.107.3.543 

  22. Yang HJ, Seo JM. Concept analysis of effective breastfeeding.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1;17(4):317-27. https://doi.org/10.4069/kjwhn.2011.17.4.317 

  23. Cronenwett LR, Reinhardt R. Support and breastfeeding: a review. Birth. 1987 Dec;14(4):199-203. https://doi.org/10.1111/j.1523-536X.1987.tb01493.x 

  24. Jang, YS. Effects of a workbook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breast feeding practi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J Korean Acad Nurs. 2005 Apr;35(2)419-27. 

  25. Ravn IH, Smith L, Smeby NA, Kynoe NM, Sandvik L, Bunch EH, et al. Effects of early mother-infant intervention on outcomes in mothers and moderately and late preterm infants at age 1 yea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fant Behav Dev. 2012 Feb;35(1):36-47. https://doi.org/10.1016/j.infbeh.2011.09.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