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 어머니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과 모아 애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Attachment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5 no.1, 2019년, pp.25 - 33  

김은숙 (삼성서울병원.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이영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이은정 (삼성서울병원) ,  이정윤 (삼성서울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attachment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is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validation of an ex...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숙아 어머니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과 모아 애착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미숙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시차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 어머니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 감과 모아 애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미숙아의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돕기 위해서는 아기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전 기간 동안 부모가 직접 아기 돌봄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아기와의 애착 증진과 더불어 퇴원 후 가정에서 아기 돌보기 등의 부모의 역할 수행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가 부모에게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록 미숙아의 부모 모두에게 교육이 필요 하나 미숙아의 중환자실 재원 기간 동안 실제적으로 지속적인 면회를 통해 아기 돌봄이 가능한 어머니를 중심으로 직접 미숙아 간호에 참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미숙아 어머니의 역할 수행 자신감과 모아 애착 증진을 위한 중재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중재는 무엇인가? 출생 직후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위한 간호만큼이나 아기와 분리된 상태에 있는 부모가 아기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애착을 형성하고 부모로서의 역할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중재 역시 매우 중요하다.
모아 애착이 형성되는 과정은 무엇인가? 신생아의 어머니는 신생아에게 심리적,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환경으로 아기가 건강하게 성장발달 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준다. 특히 신생아는 어머니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를 알아가며 역동적인 조절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를 통해 모아 애착이 형성된다[9]. 하지만 신생아중환자실에 있는 미숙아는 어머니와의 애착 형성에 필수적인 초기 민감 시기에 어머니와 분리됨으로써 어머니로부터 자연스러운 신체 접촉과 애정 표현을 받지 못함으로 인해 모아 상호작용을 발전시킬 기회가 감소된다[10,11].
어머니의 역할 적응에 관한 분석 중 자신감에 대한 효과 분석시 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후에 대하여 기존 연구결과들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점들이 있었는가?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살펴보면, 우선 미숙아 어머니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은 프로그램 적용 전 실험 군은 44.58점, 대조군은 46.98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동일한 도구로 이용하여 신생아 어머니의 자신감을 조사한 Lee [21] 의 연구에서 나타난41.88점보다 높은 것으로, 미숙아 어머니의 경우 작고 연약해 보이는 아기로 인해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이 오히려 낮으리라는 예상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이런 자신감 정도를 고려할 때 아기 돌보기에 대한 정보 제공과 지지 간호를 통해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 능력을 충분히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 적용 후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은 두 군 모두에서 높아졌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자신감 증가는 미숙아에게 캥거루 케어를 적용했던 Lee 등[25]의 연구와 촉각 접촉이 자신감을 증가시킨다는 Moon과 Koo [2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본 프로그램을 통해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실험군 어머니가 실제 아기 돌봄에 참여하여 경험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또한 신생아를 돌본 경험이 있는 경우 자신감이 높았다는 Lee [21]와퇴원 전 지속적인 지지와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 받은 후 양육 자신감이 높아진 Choi와 Shin [27]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한편 대조군에서도 사후 조사에서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 감이 높게 나타난 것은 본 연구대상 신생아중환자실은 면회 자율화를 시행하고 있어 대조군도 원하는 시간에 아기를 볼 수 있으며 캥거루 케어를 비롯한 피부 접촉이나 수유 연습 등은 제한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ooten A, Hoffenkamp HN, Hall RA, Braeken J, Vingerhoets AJ, van Bakel HJ. Parental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fter childbirth: A comparison between mothers and fathers of term and preterm infants. Birth. 2013;40(3):164-171. https://doi.org/10.1111/birt.12052 

  2. Treyvaud K, Lee KJ, Doyle LW, Anderson PJ. Very preterm birth influences parental mental health and family outcomes seven years after birth. The Journal of Pediatrics. 2014;164(3):515-521. https://doi.org/10.1016/j.jpeds.2013.11.001 

  3. Guarini A, Sansavini A, Fabbri M, Alessandroni R, Faldella G, Karmiloff-Smith A. Basic numerical processes in very preterm children: A critical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school age. Early Human Development. 2014;90(3):103-111. https://doi.org/10.1016/j.earlhumdev.2013.11.003 

  4. Howe TS, Sheu CF, Wang TN, Hsu YW. Parenting stress in families with very low birth weight preterm infants in early infanc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4;35(7):1748-1756. https://doi.org/10.1016/j.ridd.2014.02.015 

  5. Jeon CS. Family stress, resiliency, and adaptation perceived by parents of the hospitalized prematurity in NICU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p. 1-92. 

  6. Petit AC, Eutrope J, Thierry A, Bednarek N, Aupetit L, Saad S, et al. Mother's emotional and posttraumatic reactions after a preterm birth: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is at stake 12 months after birth. A peer-reviewed, Open Access Journal. 2016;11(3);e015109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811536/ 

  7. Ahn YM, Lee SM.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NICU hospitalization education on maternal attachment, maternal self-esteem,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mothers of high-risk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3):340-349. 

  8. Hall RAS, Hoffenkamp HN, Braeken J, Tooten A, Vingerhoets AJJM, van Bakel HJA.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preterm birth: Disruptive or adaptiv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17;49:272-280. 

  9. Rahkonen P, Heinonen K, Pesonen AK, Lano A, Autti T, Puosi R, et al. Mother-child interaction is associated with neuro-cognitive outcome in extremely low gestational age children.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2014;55(4):311-318. 

  10. Aagaard H, Hall EO. Mothers' experiences of having a preterm infant in the neonatal care unit: A meta-synthesi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8;23(3):e26-e36. https://doi.org/10.1016/j.pedn.2007.02.003 

  11. Fletcher L, Pham T, Papaioannou H, Spinazzola R, Milanaik R, Thibeau S. Parental perception of risk associated with their premature infant. Advaced in Neonatal Care. 2017;17(4):306-312. https://doi.org/10.1097/anc.0000000000000378 

  12. Lee Y, Kim E, Park S, Kim AN, Lee J, Lee KM, et al. The visitation conditions, parents' anxiety and nurses' attitudes of open visita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vidence and Nursing. 2014;2(1):29-36. 

  13. Lee H, Lee K, Shin M. Analysis of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s in Korea: Perspective of the premature infa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1):81-87. https://doi.org/10.4094/jkachn.2009.15.1.81 

  14. Kim JS, Shin HS. Effect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on-line community for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4):344-351. https://doi.org/10.4094/jkachn.2010.16.4.344 

  15. Mundy CA. Assessment of family need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merican Journal of Crinical Care. 2010;19(2):156-163. https://doi.org/10.4037/ajcc2010130 

  16. Lee JM, Oh SJ, Kim KA, Lee EJ, Lee JY, Hwang MS, et al. Effects of a home-based discharge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oxygen therapy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2):144-155 

  17. Peyrovi H, Mosayebi Z, Mohammad-Doost F, Chehrzad MM, Mehran A. The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perceived readiness for discharg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 Neonatal Medicine. 2016;29(5):752-757. https://doi.org/10.3109/14767058.2015.1017461 

  18. Ra JS, Lim 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video discharg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mother-infant interaction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7):936-946. 

  19. Lee EJ, Kim ES, Lee YN, Park SH, Lee GM, Yi YH. Development of the kangaroo care protocol and its effect o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3):312-324. https://doi.org/10.22650/JKCNR.2014.20.3.313 

  20. Pharis ME. Age and sex differences in expectations for infants, and the parenting role among couples in a first pregnancy and among university students [dissertation]. Austin, TX: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78. p. 1-198. 

  21. Lee HJ, Lee SA, Kim MH, Kim YH, Park NH. A study of parental knowledge and confidence in newborn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3):262-271. 

  22. Muller ME. A questionnaire to measure mother to infant attachmen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4;2(2):129-141. 

  23. Han KE.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self-esteem and maternal sensitivity with mother-to-infant attachment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1. p. 1-75. 

  24. Ahn YM, Kim JH. Comparison of maternal self-esteem, postpartal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normal and of low birth-weight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5):580-590. https://doi.org/10.4040/jkan.2003.33.5.580 

  25. Lee JW, Eo YS, Han JH. Effects of kangaroo care on physic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external environment of prematurity,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2):128-137.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128 

  26. Moon YI, Koo HY. The effects of kangaroo care on anxiety and confidence and gratification of mothering role in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0;6(3):291-290. 

  27. Choi HS, Shin YH. Effects on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3):207-215. https://doi.org/10.4094/chnr.2013.19.3.207 

  28. Sung MH, Choi MR, Um OB. Effects of early contact on maternal infant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2):177-185. https://doi.org/10.4069/kjwhn.2010.16.2.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