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 5세 반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이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Music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for a Class of Five-year-old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5, 2020년, pp.27 - 45  

안명옥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김진욱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making program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medium through the ADDIE model so that teachers can easily apply it to children, and to determine whether it affects children's musical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Meth...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이라는 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을 ADDIE 모형을 통해 개발하여 교사가 쉽게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의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음악 만들기의 수월성을 제고 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만 5세 반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가 체계적으로 가능하도록 ADDIE 모형의 5단계에 따라 음악의 요소인 리듬, 멜로디, 노랫말을 한 차시 안에 만드는 작사․작곡 개념의 음악 만들기를 적용하여 음악의 구조를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시각적으로 리듬과 멜로디의 변화를 볼 수 있도록 그림 악보를 제작하였다.
  • 우리나라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교육인적자원부, 보건복지부, 2019)에 기술된 음악적 경험은 예술 경험의 영역에서 아름다움 찾아보기, 예술적 표현하기, 예술 감상하기의 내용 범주로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유아들에게 능동적이고 직접적인 음악체험을 통해 음악적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도록 한 것이다. 유아를 위한 음악적 경험은 유아가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느낌에 따라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의미 있는 경험이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음악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 그러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음악적 경험을 위해 행해지고 있는 유아음악교육은 노래 부르기, 신체 표현하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감상하기와 같이 타인의 작품을 따라하거나 감상하는 수동적인 활동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유아의 능동적인 음악 표현활동이 될 수 있는 음악 만들기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김성윤, 김권일, 김영옥, 2015).
음악이 유아의 어떤 것과 관계가 있나? 유아의 모든 일상생활 속 밑바탕에 음악이 녹아들어 있기 때문이다. 음악은 유아의 정서, 사회, 신체, 언어, 인지발달과 관계가 있으며 모든 발달 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준다(Campbell & Scott-Kassner, 2010). 따라서 유아기에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하는 것은 발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음악교육자가 유아의 생활요소 중에서 음악이 가장 본질적인 요소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음악교육자 Greenberg(1979)는 ‘음악’과 ‘유아’의 연결고리로 경이로움, 기쁨, 웃음, 자유와 창의성 등을 꼽으면서 유아의 생활요소 중에서 음악이 가장 본질적인 요소라고 주장했다. 유아의 모든 일상생활 속 밑바탕에 음악이 녹아들어 있기 때문이다. 음악은 유아의 정서, 사회, 신체, 언어, 인지발달과 관계가 있으며 모든 발달 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준다(Campbell & Scott-Kassner,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보라 (2012).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지은 (2015). 음악 동화를 활용한 음악교육활동이 유아의 음악 인지능력과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4. 권오선 (2017). 음 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 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규식 (2002). 재미있는 오르프 1. 서울: 창지사. 

  6. 김미영 (2010). 유아 음악적 창의성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보라 (2018). 전래동화를 활용한 유아 극 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성윤, 김권일, 김영옥 (2015).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453-485. 

  9. 김한나 (2012). 창작 활동을 활용한 음악 감상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음악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문성숙 (2013).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5(1), 55-80. 

  11. 박미경, 엄정애 (2008). "새 노래 부르기"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 교사의 음악적 개념과 지도의 어려움. 아동학회지, 29(3), 93-113. 

  12. 박은영 (201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지현 (2011). 초등학생의 음악 창작 활동 과정 및 지도방안 연구. 아동교육, 20(2), 5-18. 

  14. 백지혜 (2009). 그림책을 이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5), 189-212. 

  15. 서영민 (2017). 패턴중심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패턴인지 및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신보영, 황은영 (2015). 시각적 지원 전략을 적용한 음악활동이 치매 노인의 인지 기능 재활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1(2), 41-62. 

  17. 양경여 (2017). 모차르트 작은 별 주제에 의한 12개의 변주곡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지도방안: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경우, 장영희, 이차숙, 노영희, 현은자 (1997).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서울: 양서원. 

  19. 이옥주, 정수진, 윤지영 (2015). 음악 요소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서울: 신정. 

  20. 임미경, 장기범, 함희주 (2004).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예종. 

  21. 임혜정, 김영연 (2004).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악곡 분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4(6), 193-211. 

  22. 장미현 (2012). 사운드 스케이프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은주 (2009). 유아 음악교육 : 유아교육과 음악교육의 통합에 기초한. 파주: 양서원. 

  24. 전경원 (2014).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5. 차영숙, 최정아 (2015). 유아 음악수업의 컨설팅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391-424. 

  26. 최예린, 이은형, 이하영 (2015).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5),117 -142. 

  27. Baltzer, S. W. (1989). A factor analytic study of musical creativity in children in the primary grad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State University, Bloomington, USA. 

  28. Calogero, J. M. (2002). Integrating music and children's literature. Music Educators Journal, 88(5), 23-30. doi:10.2307/3399822 

  29. Campbell, P. S., & Scott-Kassner, C. (2010). Music in childhood :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grades(3rd ed.). Boston, MA: Schirmer Cengage Learning. 

  30. Flohr, J. W. (2004). Musical lives of young childre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1. Glover, J. (2000). Children Composing 4-14. London, UK: Routledge. doi:10.4324/9780203134412 

  32. Gordon, E. E. (1970). Taking into account musical aptitude differences among beginning instrumental student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7(1) 41-53. doi.10.3102/00028312007001041 

  33. Gordon, E. E. (1990).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IL: GIA 

  34. Greenberg, M. (1979). Your children need music.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5. Gordon, E. E. (2004).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음악오디에이션의 초급측정과 중급측정(이헬렌 옮김). 경기: 새한기획출판부(원판 1979). 

  36. Moerk, E. L. (1985). Picture - book reading by mothers and young children and its impact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Pragmatics, 9(4), 547-566. doi:10.1016/0378-2166(85)90021-9 

  37. Olson, M. W., & Gee, T. C. (1988). Understanding narratives: A review of story grammar research. Childhood Education, 64(5), 302-306. 

  38. Rho, J. H. (2004).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music curriculum for South Korea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Philadelphia, USA 

  39. Swanner, D. L. (1985).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creativity and selected factors, including personality, motivation, musical aptitude, and cognitive intelligence as measured in third grade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leveland, USA 

  40. Webster, P. R. (1990). Creative thinking in music : Creativity as creative thinking. Music Educators Journal, 76(9), 21-28. doi:10.2307/34010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