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Soci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5, 2020년, pp.47 - 67  

김소라 (이화여대 아동학과) ,  신나나 (이화여대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preschoolers'executive function on three types of social behavior, prosocial, aggressive and withdrawn behavior. Methods: A total of 299 mothers and their presc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 299명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실행기능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 종합하면, 유아기는 보육/교육기관에서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를 경험하는 등 사회적 범위가 확장되면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행동이 더 빈번하게, 그리고 더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시기이다.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개인적 특성인 실행기능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사회적 행동의 일부를 살펴본 반면,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사회적 행동인 친사회적 행동과 부정적 사회적 행동인 공격적 행동과 위축행동을 포함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실행기능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 위축된 행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지만, 이와 유사한 연구로 어머니의 거부적이고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통해 불안 및 위축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cLeod, Wood, & Weisz, 2007).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실행기능에 의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실행기능을 통하여 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유아기 사회성 발달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특히, 과거에는 유아의 부정적 사회적 행동에 보다 초점을 두었지만, 최근에는 긍정적인 특성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이 제안되고 있다(Seligman, Steen, Park, & Peterson, 2005).
  • 둘째, 많은 연구들에서 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능력을 혼재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유아가 사회적 관계 속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타나는 행동양식으로 정의하고 친사회적 행동, 공격적 행동, 위축된 행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특히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실행기능과 위축된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행동의 다양한 측면에 미치는 실행기능의 영향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 뿐만 아니라 유아의 개인적 특성인 실행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유아의 실행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개인적 특성인 실행기능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사회적 행동의 일부를 살펴본 반면,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사회적 행동인 친사회적 행동과 부정적 사회적 행동인 공격적 행동과 위축행동을 포함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실행기능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주) 측정변인의 오차항과 내생 잠재변인의 잔차항은 그림의 간결성을 위하여 생략하였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긍정적 사회적 행동인 친 사회적 행동에만,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 행동은 부정적 사회적 행동인 공격적 행동과 위축된 행동에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이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해보면,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은 긍정적 사회적 행동인 친사회적 행동에만,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은 부정적 사회적 행동인 공격적 행동과 위축된 행동에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모델링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유아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했던 방식대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며 특정한 사회적 행동을 표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Vinden(2001)은 유아가 사회적 관계에서 다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예측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에서의 모방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사회적 행동이란? 사회적 행동은 다양한 환경에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보이는 개인의 행동양식을 의미하는 것으로(박명호, 2000),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뿐 아니라 부정적인 사회적 행동을 포함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유능성과 유사한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인 공격적 행동, 그리고 비사회적 행동인 위축된 행동을 사회적 행동에 포함하였다(LaFreniere & Dumas, 1996).
유아기의 특징은?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그 안에 속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 유아기는 사회적 능력이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로(Green & Baker, 2011), 바람직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데 요구되는 다양한 사회적 기술과 상호작용 방식을 습득하는 것이 이 시기 핵심적인 발달과업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많은 유아들이 과거보다 더 이른 시기에 더 오랫동안 가정 외 보육을 경험하는 현대 사회에서 또래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위한 사회적 행동 및 기술을 익히는 것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강기숙, 이경님 (2001).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4), 115-132. 

  2. 권수진, 오새니, 이상희 (2016).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변인 연구: 유아변인, 어머니 변인, 또래관계변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385-406. doi:10.22155/JFECE.23.4.385.406 

  3. 권연희 (20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해결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공영숙, 임지영 (2012). 유아의 기질, 어머니 양육태도, 유아의 정의적 실행기능, 문제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아동교육, 21(4), 135-152. 

  5. 김녹현, 정영주, 차선희 (2014).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24(2), 89-121. 

  6. 김종훈, 성지현 (2014).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가정 및 기관에서의 문제행동 개인차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6), 391-410. doi:10.18023/kjece.2014.34.6.017 

  7. 김혜정 (2014). 만 4-5세 유아의 문제행동 예측 변인 연구; 가족특성, 유아기질, 어머니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나지혜 (2012). 어머니 및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문지현, 신나나 (2017).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8(6), 17-33. doi:10.5723/kjcs.2017.38.6.17 

  10. 박남심, 송승민, 엄희경 (202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온정적 양육행동 및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2), 161-178. doi:10.14698/jkcce.2020.16.02.161 

  11. 박명호 (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미진, 강지현 (2012). 유아의 기질, 부부갈등, 부모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 연구, 28(4), 331-352. 

  13. 서소정 (2006).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의 요구전략, 언어발달, 어머니의 친사회성에 관련된 양육신념 및 사회화전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287-310. 

  14.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2(1), 99-127. 

  15. 신은수 (2005). 3, 4, 5 세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가장놀이, 언어의 표상 능력, 실행기능, 그리고 중앙통합 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1), 65-90. 

  16. 우수정 (2016).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2), 41-55. doi:10.14698/jkcc3.2016.12.02.041 

  17. 유란희, 김선희 (2017).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유아의 실행기능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8(2), 67-79. doi:10.5723/kjcs.2017.38.2.67 

  18. 유숙경, 이승희 (2012). K-CBCL 1.5-5와 Gottman의 양육방식 유형에 의한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와 어머니의 양육방식과의 관계. 정서행동장애연구, 28(2), 1-22. 

  19. 이미현 (2009).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친사회적 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0(2), 89-101. 

  20. 이선희 (2012). 학령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윤정, 공영숙, 임지영 (2014).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3-26. doi:10.7466/JKHMA.2014.32.1.13 

  22.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doi:10.22257/kjp.2016.06.35.2.327 

  23. 장영애, 이영자 (2009). 취학전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619-629. 

  24. 정경화 (200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인기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차기주 (2015).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과 모의 상호작용 양상 및 특성 간 관계. 유아교육연구, 35(2), 117-141. 

  26. 홍계옥 (2001). 어머니의 자기-지각, 양육행동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22(2), 181-194. 

  27.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8. 황혜련, 송현주 (2013). 아동기 실행기능과 부모양육태도. 재활심리연구, 20(2), 149-167. 

  29. Bayer, J. K., Sanson, A. V., & Hemphill, S. A. (2006). Parent influences on early childhood internalizing difficultie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7(6), 542-559. doi:10.1016/j.appdev.2006.08.002 

  30. Bernier, A., Carlson, S. M., Deschenes, M., & Matte-Gagne, C. (2012). Soci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early executive functioning: A closer look at the caregiving environment. Developmental Science, 15(1), 12-24. doi:10.1111/j.1467-7687.2011.01093.x 

  31. Bernier, A., Carlson, S. M., & Whipple, N. (2010). From external regulation to self-regulation: Early parenting precursors of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81(1), 326-339. doi:10.1111/j.1467-8624.2009.01397.x 

  32. Blair, C., & Razza, R. P. (2007). Relating effortful control, executive function,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o emerging math and literacy ability in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78(2), 647-663. doi:10.1111/j.1467-8624.2007.01019.x 

  33. Blandon, A. Y., Calkins, S. D., Grimm, K. J., Keane, S. P., & O'Brien, M. (2010). Testing a developmental cascade model of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and early peer accepta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2(4), 737-748. doi:10.1017/S0954579410000428 

  34.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doi:10.1177/0049124192021002005 

  35. Christopher, C., Saunders, R., Jacobvitz, D., Burton, R., & Hazen, N. (2013). Maternal empathy and changes in mothers' permissiveness as predictors of toddlers' early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A parenting intervention stud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2(6), 769-778. doi:10.1007/s10826-012-9631-z 

  36. Clark, K. E., & Ladd, G. W. (2000). Connectedness and autonomy support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Links to children's socioemotional ori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36(4), 485-498. doi:10.1037/ 0012-1649.36.4.485 

  37.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pp. 17-59).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Diamond, A. (2013). Executive func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4, 135-168. doi:10.1146/annurev-psych-113011-143750 

  39. Eisenberg, N., Fabes, R. A., & Spinard, T. L. (2006). Prosocial development. In W. Damon, R. M. Lerner, & N. Eisenberg (Eds.),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Vol. 3.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646-718). New York: Wiley. doi:10.1002/9780470147658.chpsy0311 

  40. Eisenberg, N., & Valiente, C. (2002). Parenting and children's prosocial and moral development.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5.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2nd edition) (pp. 111-142). Mahwah, NJ: Erlbaum. 

  41. Espy, K. A., Sheffield, T. D., Wiebe, S. A., Clark, C. A., & Moehr, M. J. (2011). Executive control and dimensions of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2(1), 33-46. doi:10.1111/j.1469-7610.2010.02265.x 

  42. Fay­Stammbach, T., Hawes, D. J., & Meredith, P. (2014). Parenting influences on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A review.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8(4), 258-264. doi:10.1111/cdep.12095 

  43. Gioia, G. A., Isquith, P. K., Guy, S. C., & Kenworthy, L. (2000). Test review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Child Neuropsychology, 6(3), 235-238. doi:10.1076/chin.6.3.235.3152 

  44. Graziano, P. A. (2009).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hot" executive functions across early childhood: Contributions on maternal behavior and tempera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North Carolina, USA. 

  45. Graziano, P. A., Calkins, S. D., & Keane, S. P. (2011). Sustained attention development during the toddlerhood to preschool period: Associations with todd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maternal behaviour.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20(6), 389-408. doi:10.1002/icd.731 

  46. Green, S., & Baker, B. (2011). Parents' emotion expression as a predictor of child's social competence: Children with or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5(3), 324-338. doi:10.1111/j.1365-2788.2010.01363.x 

  47. Hart, C. H., Newell, L. D., & Olsen, S. F. (2003). Parenting skills and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e in childhood. In J. O. Greene, & B. R. Burleson (Eds.), Handbook of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skills (pp.753-797).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8. Hughes, C. (1998).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Links with theory of mind and verbal ability.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2), 233-253. doi:10.1111/j.2044-835X.1998.tb00921.x 

  49. Hughes, C. H., & Ensor, R. A. (2009). How do families help or hinder the emergence of early executive function?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2009(123), 35-50. doi:10.1002/cd.234 

  50. Isquith, P. K., Gioia, G. A., & Espy, K. A. (2004).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 children: Examination through everyday behavior.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6(1), 403-422. doi:10.1207/s15326942dn2601_3 

  51. Joussemet, M., Vitaro, F., Barker, E. D., Cote, S., Nagin, D. S., Zoccolillo, M., et al. (2008). Controlling parenting and physical aggression during elementary school. Child Development, 79(2), 411-425. doi:10.1111/j.1467-8624.2007.01133.x 

  52. Izard, C., Stark, K., Trentacosta, C., & Schultz, D. (2008). Beyond emotion regulation: Emotion utilization and adaptive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2(3), 156-163. doi:10.1111/j.1750-8606.2008.00058.x 

  53.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54. Kolb, B., Mychasiuk, R., Muhammad, A., Li, Y., Frost, D. O., & Gibb, R. (2012). Experience and the developing prefrontal cortex.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9(2), 17186-17193. doi:10.1073/pnas.1121251109 

  55. Ladd, G. W., & Burgess, K. B. (2001). Do relational risks and protective factors moderate the linkages between childhood aggression and early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72(5), 1579-1601. doi:10.1111/1467-8624.00366 

  56. LaFreniere, P. J., & Capuano, F. (1997). Preventive intervention as means of clarifying direction of effects in socialization: Anxious-withdrawn preschoolers cas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9(3), 551-564. doi:10.1017/S0954579497001302 

  57. LaFreniere, P. J., & Dumas, J. E. (1996).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in children ages 3 to 6 years: The short form (SCBE-30). Psychology Assessment, 8(4), 369-377. doi:10.1037/1040-3590.8.4.369 

  58. Lucassen, N., Kok, R., Bakermans-Kranenburg, M., van Ijzendoorn, M. H., Jaddoe, V. W. V., Hofman, A., et al. (2015). Executive functions in early childhood: The role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practice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33(4), 489-505. doi:10.1111/bjdp.12112 

  59. McLeod, B. D., Wood, J. J., & Weisz, J. R. (2007).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nd childhood anxiety: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2), 155-172. doi:10.1016/j.cpr.2006.09.002 

  60. Perry, D. G., Kusel, S. J., & Perry, L. C. (2010). Victims of peer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4(6), 807-814. doi:10.1037/0012-1649.24.6.807 

  61. Rubin, K. H., & Burgess, K. (2002). Parents of aggressive and withdrawn children. In M.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2nd edition). Volume 1 (pp.383-41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2. Seligman, M. E.,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doi:10.1037/0003-066X.60.5.410 

  63. Spinrad, T. L., Eisenberg, N., Gaertner, B., Popp, T., Smith, C. L., Kupfer, A., et al. (2007). Relations of maternal socialization and toddlers' effortful control to children's adjustment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43(5), 1170-1186. doi:10.1037/0012-1649.43.5.1170 

  64. Steiger, J. H. (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2), 173-180. doi:10.1207/s15327906mbr2502_4 

  65. Sulik, M. J., Blair, C., Mills­Koonce, R., Berry, D., Greenberg, M., Family Life Project Investigators, et al. (2015). Early parenting and the development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Longitudinal mediation through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Child Development, 86(5), 1588-1603. doi:10.1111/cdev.12386 

  66. Toren, P., Sadeh, M., Wolmer, L., Eldar, S., Koren, S., Weizman, R., et al. (2000). Neurocognitive correlates of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4(3), 239-247. doi:10.1016/S0887-6185(99)00036-5 

  67. Toplak, M. E., West, R. F., & Stanovich, K. E. (2013). Do performance­based measures and ratings of executive function assess the same construc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4(2), 131-143. doi:10.1111/jcpp.12001 

  68. Vinden, P. G. (2001).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mind: A comparison of Korean American and Anglo-American families. Cognitive Development, 16(3), 793-809. doi:10.1016/S0885-2014(01)00059-4 

  69. Williams, L. R., Degnan, K. A., Perez-Edgar, K. E., Henderson, H. A., Rubin, K. H., Pine, D. S., et al. (2009). Impact of behavioral inhibition and parenting style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7(8), 1063-1075. doi:10.1007/s10802-009-9331-3 

  70. Zelazo, P. D., & Muller, U. (2002). Executive function in typical and atypical development. In U. Goswami (Ed.),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pp. 574-603). Malden, MA: Wiley-Blackwell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