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5, 2020년, pp.105 - 126  

이효빈 (삼정그린어린이집) ,  권연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안정은 (햇빛유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Based on Kane and Trochim's(2007) procedure, 3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ducted brainstorming a...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단계 개념도 해석단계에서 범주화된 진술문의 차원과 군집을 명명하고, 중요도를 군집별, 진술문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 개념도 활용단계에서 개념도 해석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P지역에 위치한 2개의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중 연구에 동의한 33명을 대상으로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고 분류하는 과정을 통해 진술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개념도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수에 크게 영향받지 않으며(김경철, 김은혜, 2019), 충분한 아이디어 산출과 개발을 위해 초점질문에 관한 적절한 지식 및 경험을 가진 참여자가 좋다(이새별, 황희숙, 2018)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교육과정 중 유아환경교육과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유아사회교육 교과목을 이수하고 보육실습경험이 있는 예비유아교사 33명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가 유아환경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개념도란 어떤 주제와 관련하여 해당 주제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사람이 인식하고 있는 개념적 이해를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Novak, Bob Gowin, & Johansen, 198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환경교육에 대해 구성하고 있는 인식이 향후 유아교사로서 유아환경교육을 실천할 때 교육과정 운영의 의사결정에 주요한 근거로 작용한다는 관점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개념도 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보고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게 한다.
  •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개념도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제시하였다는 점과 예비유아 교사가 유아환경교육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가 유아환경교육의 방향, 필요성, 내용,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해 폭넓은 인식을 갖도록 돕기 위한 교사양성과정에서의 교과과정과 프로그램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4%에 불과하였다. 유아환경교육에 있어서 프로그램과 활동 개발에 초점을 둔 다양한 교재교구의 개발도 중요하나, 유아환경교육은 지식의 전달보다 가치, 태도의 형성, 행동의 변화유도가 더욱 중요하므로(김수경, 2004) 유아교사의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 환경에 대한 책임 의식이 환경교육의 실행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 즉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경교육이란 무엇인가? 환경교육이란 일상생활에서 환경에 관련된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해 환경에 관한 지식 및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교육이다. 환경교육은 예방적 차원의 교육 접근이 필요하며,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나 이해의 교육이 아니라 태도와 가치관을 배양하는 교육으로 평생 계속되어야 하는 생활교육이자 습관 형성을 통한 실천 교육이다(박지영, 2017).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모든 발달영역에서 기초가 형성되는 유아기에 적절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때 교육적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김혜진, 2013) 어린 시기부터 실시하는 체계적인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Spencer, 1995; Stapp, 1996).
어린 시기부터 실시하는 체계적인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환경교육은 예방적 차원의 교육 접근이 필요하며,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나 이해의 교육이 아니라 태도와 가치관을 배양하는 교육으로 평생 계속되어야 하는 생활교육이자 습관 형성을 통한 실천 교육이다(박지영, 2017).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모든 발달영역에서 기초가 형성되는 유아기에 적절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때 교육적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김혜진, 2013) 어린 시기부터 실시하는 체계적인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Spencer, 1995; Stapp,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곽은복 (2005). 생태지향적 관점에 근거한 유아 환경교육의 전망. 아동교육, 14(1), 83-96. 

  2. 구혜현, 김숙자 (2017).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유아 원예활동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37(6), 5-27. doi:10.18023/kjece.2017.37.6.001 

  3. 김경철, 김은혜 (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39(2), 125-151. doi:10.18023/kjece.2019.39.2.006 

  4. 김민경, 문상호 (2013). 환경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지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국가의 문화성향을 조절변수로 하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65-690. 

  5. 김선경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12(5), 1473-1488. 

  6. 김수경 (2004). 체험학습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숙자, 우신욱 (201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환경 관련 교육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1), 365-386. 

  8. 김은나 (2020).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영숙, 최석란 (2006). 유아환경교육을 위한 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311-328. 

  10. 김정원, 이지영 (2004).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가치관과 유아환경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2), 161-179. 

  11. 김혜순, 최준섭 (2001). 초등학교 6학년에서 수질환경교육을 위한 STS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실과교육연구, 7(1), 117-128. 

  12. 김혜진 (2013).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나정 (2005). 유치원실태조사보고. 보건복지포럼, 2005(9), 32-45. 

  14. 류덕연, 유연옥 (2016). 유아교사의 환경보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조사. 한국유아교육학회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1), 182-182. 

  15.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16. 박지영 (2017).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와 유아의 환경태도 분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태윤, 정완호, 최석진, 최돈형, 이동엽, 노경임 (2002). 환경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8. 박희숙, 신금호 (2008). 유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의 환경교육 인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1), 99-114. 

  19. 이새별, 황희숙 (2018).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인지발달중재학회지, 9(3), 91-104. doi:10.21197/JCEI.9.3.5 

  20. 이지영 (2003).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가치관과 환경문제 해결방안 및 유아환경교육에 관한 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임승렬 (2001). 유아교사 평가의 새로운 접근. 유아교육연구, 21(1), 87-116. 

  22. 장필경, 조부경 (2017).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9(2), 125-148. doi:10.15409/riece.2017.19.2.125 

  23. 정경수, 임부연, 김현령 (2015). 유아교사론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교육"에 관한 개념도와 면담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203-227. 

  24. 조하경 (2020). 현대미술감상을 통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환경보전태도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주수미, 신금호, 이수진, 정진희 (2017). 예비유아교사의 환경보전 지식, 환경친화적 태도, 환경보전행동이 환경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6), 102-125. 

  26. 지성애 (2012).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2), 5-29. 

  27. 최경순, 차미영 (2004). 유아교육기관의 환경보전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연구. 아동학회지, 25(4), 177-190. 

  28. 최돈형, 손현아, 이미옥, 이성희 (2007).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서울: 교육과학사. 

  29. 최윤정, 김계현 (2007). 진로상담: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Concept Mapping) 연구-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 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30. 최재천 (2020). 생태와 인간. 최재천, 장하준, 최재붕, 홍기빈, 김누리, 김경일 편, 코로나 사피엔스(pp. 14-43). 서울: 인플루엔셜. 

  31. 하시연 (2001). 인터넷 환경교육과 야외 환경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허유성, 정은희, 이우진 (2009). 예비 일반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교육관 비교 및 상호이해 수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311-337. doi:10.24211/tjkte.2009.26.3.311 

  33. 허정무, 박현진 (2016). 유아환경교육 관련 연구 경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01-127. 

  34. 환경부 (2002).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교육 추진전략 개발 연구. 서울: 환경부. 

  35. 환경부 (2006).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36. 환경부 (2007). 환경교육 효과 평가 연구-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경기도: 환경부. 

  37. 환경부 (2014). 국가 수준 환경교육 기준개발 연구. 세종: 환경부. 

  38. Beck, J., Czerniak, C. M., & Lumpe, A. T. (2000). An exploratory study of teachers' belief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constructivism in their classroom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4), 323-343. doi:10.1023/a:1009481115135 

  39. Brelet-Rueff, C. (2000). Helping children in the humid tropics: Water education. Eric, ED444865, 1-70. 

  40. Chawla, L. (1998).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revisited: A review of research on source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 11-21. doi:10.1080/00958969809599114 

  41.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2), 155-171. doi:10.1521/jscp.23.2.155.31021 

  42. Hsu, S., & Roth, R. E. (1998).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analysis of predictors of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ur held by secondary teachers in the Hualien area of Taiwa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4(3), 229-249. doi:10.1080/1350462980040301 

  43. Iozzi, L. A. (1989). What research says to the educat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0(3), 3-9. doi:10.1080/00958964.1989.9942782 

  44.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Vol. 50).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45. Kruskal, J. B., & Wish, M. (1978). Multidimensional scaling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Beverly Hills, CA: Sage. 

  46. Novak, J. D., Bob Gowin, D., &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doi:10.1002/sce.3730670511 

  47. Richardson, V. (1996). The role of attitudes and beliefs in learning to teach. In J. Sikula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nd ed. (pp. 102-119). New York: Macmillan. 

  48. Spencer, A. (1995). Phonology: Theory and description (Vol. 9). Malden, MA: Wiley-Blackwell. 

  49. Stapp, W. B. (1996).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mpowerment: Action research and community problem solving. Ann Arbor, MI: Kendall/Hunt Publishing. 

  50.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 doi:10.1016/0149-7189(89)90016-5 

  51. Wilson, R. A. (1996). Starting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during the early childhood years. ERIC, ED402147, 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