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A Concept Map Study on Teacher Competency for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6, 2021년, pp.53 - 72  

이효빈 (삼정그린어린이집) ,  권연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안정은 (부경대학교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competency for ESD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1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 olds conducted statement writing, and then the importance of selected statement...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55)

  1. 고민수 (201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유아 환경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혁운 (2011).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24(2), 115-134. 

  3. 김경철, 김은혜 (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39(2), 125-151. doi:10.18023/kjece.2019.39.2.006 

  4. 김선경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12(5), 1473-1488. doi:10.15703/kjc.12.5.201110.1473 

  5. 김숙자, 이경혜 (2015).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영유아교육에 대한 보육교직원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435-463. 

  6. 김은정, 유영의, 박은혜 (2016).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409-432. 

  7. 김정숙 (2018).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역량 척도 개발.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현미 (2020).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경험과 의미.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류영규, 최류미, 김대현 (2014). 초등교사 수업의 획일화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열린교육연구, 22(4), 279-299. 

  10.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11. 박은혜 (2002).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12. 박은혜, 박세령 (2014).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교육의 과정과 의미. 교과교육학연구, 18(1), 1-26. doi:10.24231/rici.2014.18.1.1 

  13. 박지영 (2017).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와 유아의 환경태도 분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태윤, 성정희 (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통영RCE). 

  15. 배진오, 이연승 (2014).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33-354. 

  16. 백승관 (2003). 교사의 발달과정에 관한 탐색모형. 교육행정학 연구, 21(1), 29-50. 

  17. 백은주, 정미라, 허미화, 지옥정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어린이집 교사의 물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191-221. 

  18. 서윤희, 지옥정, 강지애, 정애경, 조부경 (2014).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교사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34(5), 249-273. doi:10.18023/kjece.2014.34.5.012 

  19.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1). 2011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개황.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2012). 2012 중등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역량 강화 직무연수 자료집.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21. 유선영 (2014). 수업사례를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유아교사의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유순이 (2003).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능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유연옥, 최윤지 (2021).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환경교육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인문사회21, 12(1), 2909-2924. doi:10.22143/HSS21.12.1.206 

  24.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 (2013).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한국의 교육정책 및 현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2), 319-341. 

  25. 이기용 (2015).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다문화와 평화, 9(2), 82-111. doi:10.22446/mnpisk.2015.9.2.004 

  26. 이상원, 최지연, 이태석, 황동국, 유동현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 컨설팅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 285-309. 

  27. 이송이, 손원경 (2012).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67-87. 

  28. 이연호 (2021). 지속가능발전관점에 기초한 유아의 동식물 돌봄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인선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실행 및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현옥, 최상순, 김정주 (2005).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교육과학연구, 36(2), 117-194. 

  31. 이효빈, 권연희, 안정은 (2020).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5), 105-126. doi:10.14698/jkcce.2020.16.05.105 

  32. 임효진 (2015).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고찰과 이를 통한 ESD 발전 방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전현수 (2016).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행.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전효정, 고은경 (2020).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의 영유아 관련 세부목표의 우선순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1-17. doi:10.14698/jkcce.2020.16.03.001 

  35. 정기섭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발도로프교육연구, 2(1), 65-96. 

  36. 조부경, 서현정 (2018).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본질과 실천방향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3(3), 407-418. doi:10.35873/ajmahs.2018.8.3.038 

  37. 지옥정 (2014). 환경기념일로 풀어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서울: 창지사. 

  38. 최하림 (2018).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Armstrong, C. M. (2011). Implemen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otential use of time-honored pedagogical practice from the progressive era of education. Journal of Sustainability Education, 2(2), 1-25. 

  40. de Haan, G. (2010). The development of ESD-related competencies in supportive institutional frameworks.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56(1), 315-328. 

  41. Fadeeva, Z., & Galkute L. (2012).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bologna process. Journ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6(1), 91-100. 

  42. Jackson, M. G. (2011). The real challenge of ESD. Journ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5(1), 27-37. doi:10.1177/097340821000500108 

  43.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Vol. 50).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44. Kruskal, J. B., & Wish, M. (1978). Multidimensional scaling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Beverly Hills, CA: Sage. 

  45.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doi:10.1037/h0034092 

  46. Mochizuki, Y., & Fadeeva, Z. (2010). Competen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Significance and challenges for ESD.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11(4), 391-403. doi:10.1108/14676371011077603 

  47. Novak, J. D., Bob Gowin, D., &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doi:10.1002/sce.3730670511 

  48.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 doi:10.1016/0149-7189(89)90016-5 

  49. UNECE (2008). Discussion paper on competence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ducation sector. Geneva, Swiss: UNECE. 

  50. UNESCO (2004).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Paris, France: UNESCO. 

  51. UNESCO (2005).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Paris, France: UNESCO. 

  52. UNESCO (2008).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Paris, France: UNESCO. 

  53. UNESCO (2012). Shaping the education of tomorrow: 2012 Full-length report on the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aris, France: UNESCO. 

  54. Wals, A. E. J. (2010). Mirroring, gestaltswitching and transformative social learning: Stepping stones for developing sustainability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11(4), 380-390. doi:10.1108/14676371011077595 

  55. WCED (1994). Our Common Future, 우리공동의 미래(조형준, 홍성태 옮김). 서울: 새물결(원판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