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도 비교 및 증진방안
Analysis 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Betwee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5, 2020년, pp.173 - 200  

송예희 (구립 목련어린이집) ,  조윤경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settings, and to investigate support needs of both teacher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PBS. Methods:...

주제어

표/그림 (1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 유아와 장애 유아가 함께 생활하는 일과 내에서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이 가져오는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여러 유형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수가 증가하면서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교육인적자원부, 2007)에 따라 만 3-5세 발달지체 유아에 대한 의무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일반 유아와 장애 유아가 함께 생활하는 일과 내에서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은 활동 참여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일반 유아들의 활동 참여 그리고 장애 유아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연정, 조윤경, 2014; 최문지, 2008). 이에 따라 유아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이 통합 환경 안에서의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노진아, 박현주, 2009; Campbell, Spieker, Burchinal, Poe, & the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6).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 기법 중 1차원 보편적 지원은 무엇인가? 세 가지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학급 내에 일반유아와 더불어 문제행동의 위험성 보이는 유아, 심각한 양상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함께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노진아, 2014; 정숙이, 2010; 차재경, 김진호; 2007). 1차원 보편적 지원은 학교·학급 안에서 모든 아동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거나 중재하는 것이고(김미선, 송준만, 2006), 2차원 소집단 지원은 1차원 중재에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패를 경험한 아동들에게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더 큰 실패를 예방하기 위한 사회·정서적 지원 전략을 계획하여 실행하는 것이다(전국장애아동통합어린이집협의회, 2016). 3차원 개별적 지원은 가장 심각한 문제행동들을 집중적으로 중재함으로써 유아의 삶 전체의 실패를 막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별화 중재 방법이다(조윤경 등, 2017).
우리나라의 경우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유아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활발한 발달과 변화 시기인 유아기 과정에서 연령과 장애의 유무에 상관없이 문제행동은 흔히 나타날 수 있다(이효신, 김은영, 2012; 조윤경 등, 2017; 조은경, 조윤경, 2017; 홍성호 등, 2016). 우리나라의 경우 급변하는 현대 사회 구조와 환경, 가족 구성원의 변화, 개인 가치관의 변화 등의 영향으로 일상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유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유세영, 조윤경, 2019). 문제행동에 관한 보고는 일반 유아도 많지만, 장애 유아의 경우 문제행동은 더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권소영, 이지효, 강수연, 2018; 김미선, 송준만, 2006; 박은수, 김은경,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2)

  1. 강혜원, 홍성호, 정기섭 (2018). 어린이집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유아와 장애위험유아의 문제행동,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지중심교과교육연구, 18(1), 439-467. doi:10.22251/jlcci.2018.18.1.439 

  2. 고동희, 이소현 (2003). 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수업시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19(2), 1-21.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 권소영, 이병인 (2017). 통합학급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유아의 행동 및 태도와 발달지체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7(2), 23-54. doi:10.21214/kecse.2017.17.2.23 

  5. 권소영, 이지효, 강수연 (2018).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장애위험 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8(3), 85-108. doi:10.21214/kecse.2018.18.3.85 

  6. 권회연, 박중휘, 김미선 (2017).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적용 실태 및 효과성 인식. 학부모연구, 4(2), 1-18. 

  7. 김경숙 (2008).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 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경숙, 최민숙, 진현자 (2001). 유아특수교육기관의 부모참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요구 조사. 특수교육학연구, 36(3), 77-94. 

  9. 김경윤 (2012).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와 발달지체유아 및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미선, 박지연 (2009). 다차원적인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8(2), 135-160. doi:10.18541/ser.2009.09.8.2.135 

  11. 김미선, 송준만 (2006).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학교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1(3), 207-227. 

  12. 김미진 (2013). 긍정적행동지원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상희, 이병인 (2019). 통합학급에서 보편적 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6(2), 49-80. doi:10.22874/kaba.2019.6.2.49 

  14. 김성숙, 김진호 (2012).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지적장애연구, 14(3), 133-156. 

  15. 김영아 (2018).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운영실태 및 문제행동 지도관련 요구도 조사. 유아특수교육연구, 18(1), 55-76. doi:10.21214/kecse.2018.18.1.55 

  16. 김영아, 정대영 (2013).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5(1), 355-374. doi:10.21075/kacsn.2013.15.1.355 

  17. 김예리, 박지연 (2017).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표적집단 중재 실행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3(3), 297-324. doi:10.33770/JEBD.33.3.15 

  18. 김태인 (2014).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유아교육학논집, 18(3), 237-255. 

  19. 노진아 (2014).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과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의 관계.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3), 159-183. doi:10.20971/kcpmd.2014.57.3.159 

  20. 노진아 (2018).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0(3), 271-291. doi:10.21075/kacsn.2018.20.3.271 

  21. 노진아, 박현주 (2009). 장애 유아 교육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태 조사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9(3), 23-39. 

  22. 도명애, 서석진, 이수진 (2018). 개별화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분석: 초등학생 대상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2018(1), 169-174. 

  23. 박은수, 김은경 (2014).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1(1), 59-81. 

  24. 박현주, 노진아 (2009).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현황. 특수아동교육연구, 11(3), 279-295. doi:10.21075/kacsn.2019.11.3.279 

  25. 배성현, 이병인 (2014).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4(1), 69-95. 

  26. 배정윤 (2002). 중립반응범주 유무에 따른 Likert형 척도의 양호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배지희, 봉진영, 조미영 (2010).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종일반 교사들의 인식 및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4(2), 77-100. 

  28. 석숭, 전혜인 (2019). 초임 특수교사들의 행동중재 경험과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0), 11-20. doi:10.5392/JKCA.2019.19.10.011 

  29. 손유니, 박지연 (2015). 특수학교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교사효능감, 학급관리기술, 교사상호작용행동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50(2), 197-224. 

  30. 안영미 (2016).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전문성 발달 수준이 영아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양소오 (2011). Likert형 척도의 반응 형식에 따른 양호도 비교: 범주의 수와 중립반응범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오혜정, 김미선 (2011).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3), 85-100. doi:10.20971/kcpmd.2011.54.3.85 

  33. 유세영, 조윤경 (2019). 어린이집 재원 만 3, 4, 5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3), 275-304. doi:10.22590/ecee.2019.23.3.275 

  34. 유영희 (2002). 유치원교사의 장애유아 사회적 기술 중요도 선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윤예니 (2009). 학급차원의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윤차민 (2010).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시간 중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수정 (2015). 유치원 통합학급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50(2), 167-196. 

  38. 이수정, 이소현 (2011).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 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개별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6(1), 197-222. 

  39. 이연정, 조윤경 (2014). 국공립 어린이집 재원 유아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현재 교수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5-29. 

  40. 이제화 (2010).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1), 359-383. 

  41. 이제화, 이상복 (2010). 학급수준의 보편적 지원이 통합학급 유아들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6(2), 51-75. 

  42. 이화영, 이소현 (2004). 가족이 참여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3(1), 103-123. doi:10.18541/ser.2004.02.3.1.81 

  43. 이효신, 김은영 (2012).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8(4), 63-90. 

  44. 이효신, 김현숙 (2005). 기능평가를 통한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40(1), 91-111. 

  45. 임하라 (2018).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영아 문제행동 대처전략 관계에서 교사 행복감의 매개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임혜원 (2015). 일반 유치원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특수교육논총, 31(1), 77-99. 

  47. 장소아 (2009). 초등학교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태 및 지원요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전국장애아통합어린이집협의회(2016). 영유아 문제행동지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지침서. 경기도: 공동체 

  49. 정길순, 노진아 (2011).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분석:1997년에서 2010년까지의 국내 특수교육 관련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3(1), 103-124. doi:10.21075/kacsn.2011.13.1.103 

  50. 정선아, 이영애 (2019).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9(6), 247-268. doi:10.18023/kjece.2019.39.6.011 

  51. 정숙이 (2010).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조윤경 (2007).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훈련이 교사 교수 행동 및 장애유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7(1), 131-155. 

  53. 조윤경 (2.016). 사례 중심 현직 연수가 보육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123-146. doi:10.22155/JFECE.23.4.123.146 

  54. 조윤경, 김형미, 유연주, 장지윤 (2017). 특수아행동지도: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경기도: 공동체. 

  55. 조윤경, 장혜성 (2002). 유아교사 현직교육을 통한 통합된 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적용가능성. 특수교육, 1(1), 111-131. 

  56. 조은경, 조윤경 (2017). 3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중요도 실행도 분석. 특수교육, 16(4), 63-87. doi:10.18541/ser.2017.11.16.4.63 

  57. 종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010. 10). 긍정적 행동지원(PBS). 종로구 서울형 어린이집 자율장학워크숍 자료집, 서울. 

  58. 진현주 (2012). 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현직교육의 필요성 인식 및 요구: 사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차재경 (2013). 세 가지 차원에 다른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과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0. 차재경, 김진호 (2007).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문헌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3(3), 51-74. 

  61. 차어진, 권연희 (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인식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 수산해양교육학회, 25(1), 53-64. 

  62. 최문지 (2008).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통합 학급에서의 문제행동 및 학업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최미점 (2014).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중재 고찰: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 유아특수교육연구. 14(4), 81-104. 

  64. 최민숙 (2004). 장애유아의 가족을 위한 가족지원 실행 모델. 유아특수교육연구, 4(2), 159-173 

  65. 최봉란 (2013).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경험과 지원요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최지혜, 조윤경 (2013).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5(1), 129-151. doi:10.21075/kacsn.2013.15.1.129 

  67. 허수연, 이소현 (2019). 학급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5(2), 1-30. doi:10.33770/JEBD.35.2.1 

  68. 홍성호, 강혜원, 정기섭 (2016). 보육교사의 영유아문제행동 인식 및 지원전략과 실행수준. 교육문화연구, 22(1), 173-201. doi:10.24159/joec.2016.22.1.173 

  69. 황혜정 (2017).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문제점과 개선방안. 우석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Bamnara, L. M. & Kern, L. (2016). Individualized support for students problem Behavior: Designing positive behavior plans,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 행동지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계획 및 실행(이소현, 박지연, 박현옥, 윤선아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8). 

  71. Campbell, S. B., Spieker, S., Burchinal, M., Poe, M. D., & the Nl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6). Trajectories of aggression from toddlerhood to age 9 predict academic and social functioning through age 12.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8), 791-800. doi:10.1111/j.1469-7610.2006.01636.x 

  72. Downer, J. T., Kraft-Sayre, M. E., & Pianta, R. C. (2009). Ongoing, web-mediated professional development focused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educators' usage rates and self-reported satisfactio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0(2), 321-345. doi:10.1080/10409280802595425 

  73. Fantuzzo, J., Childs, S., Stevenson, H., Coolahan, K. C., Ginsburg, M., Gay, K., et al. (1996). The Head Start Teaching Center: An evaluation of an experiential, collaborative training model for Head Start teachers and parent volunt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1), 79-99. doi:10.1016/s0885-2006(96)90030-7 

  74. Fukkink, R. G., & Lont, A. (2007). Does training matter?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caregiver training stud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3), 294-311. doi:10.1016/j.ecresq.2007.04.005 

  75. Glaser, J. & Laudel, G. (2012). Experteninterviews und qualitative Inhaltsanalyse. 3th edition. VS verlag Fur Sozialwissenschaften: GWV Fachverlage GmbH, Wiesbaden, 전문가 인터뷰와 질적내용분석: 재구성 연구 방법론(우상수, 정수정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원판 2009). 

  76. Kaiser, B., & Rasminsky, J. K. (2013).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유.아동기 문제행동 예방 및 지도(제3판)(이병인, 윤미경, 이지예, 강성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11). 

  77. Landry, S. H., Anthony, J. L., Swank, P. R., & Monseque-Bailey, P. (2009). Effectiveness of comprehensiv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at-risk preschoole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2), 448-465. doi:10.1037/a0013842 

  78. Lewis, T. J., & Sugai, G. (1999). Effective behavior support: A systems approach to proactive schoolwide management.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31(6), 1-24. 

  79. Lohrmann, S., Martin, S. D., & Patil, S. (2012). External and internal coaches’ perspectives about overcoming barriers to universal interventions.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15(1), 26-38. doi: 10.1177/1098300712459078 

  80. Hienman, M., Nolan, M., Presley, J., De Turo, L., Gayler, W., & Dunlap, G. (1999). Facilitator's guide: Posivite bahavioral support. Tallahassee, FL: Flroida Department of Education. 

  81. Schmidt, H. M., Burts, D. C., Duham, R. S., Charlesworth, R., & Hart, C. H. (2007). Impact of the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of Teacher Guidance Strategies on Kindergarten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1(3), 290-301. doi:10.1080/02568540709594595 

  82. Zaslow, M., Tout, K., Halle, T., Whittaker, J. V., & Lavelle, B. (2010). Toward the identification of features of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Literature review. ERIC, ED527140, 1-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