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Forensic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Nurse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3 no.3, 2020년, pp.24 - 40  

조나영 (부산지방경찰청 과학수사과) ,  김민혜 (인제대학교 간호대학)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orensic Nursing Competency Scale suitable to South Korea. Methods : The initial items were gener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Items were evaluated by experts for content and face validity. By conducting a pilot test, 74 measurement item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검정하고 예비조사를 시행 후 도구 문항을 선정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법의간호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법의 간호 역량 측정도구는 총 53문항으로 간호실무, 정보전달, 비판적 사고, 돌봄 및 관계, 증거관리, 능동적 정보수집, 전문성 개발, 지식통합의 8개 영역으로 국내 병원 간호사들의 의료 환경을 반영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의료환경에 적용하여 간호사가 법의 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법의간호 역량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이에 법의간호 역량 측정도구의 검정과 구성요소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환경에 맞는 간호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법의간호 역량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첫째, 타당도는 개발 도구가 측정하려는 개념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로, 신뢰도에 비하여 내용타당도의 검증을 간과해선 안되며 전문가를 통해 검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Kang, 2013; Lee & Shin, 2013). 본 연구에서는 임상 및 도구개발의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와 국내에서 법의간호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를 통하여 각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2차례 반복 검증하였으며, 1차 검증 후 임상경력 15년 이상의 간호사에게 안면타당도를 측정해 봄으로 문항으로서의 타당성과 대표성을 한층 높였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Lenburg (1999)의 Competency outcome and performance assessment (COPA) Model을 바탕으로 간호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법의 간호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의료환경에 적용하여 간호사가 법의 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법의간호 역량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이에 법의간호 역량 측정도구의 검정과 구성요소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원에서 외상, 손상, 사고, 학대, 방임, 착취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폭력범죄 등과 관련한 사건·사고의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DeVellis (2016)의 도구개발 지침을 근거로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9). Forensic nursing: Scope and standards of practice. Maryland: Silver Spring. 

  2. Bae, B. Y. (2011). AMOS 1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principles and practices. Seoul: Chungram Publisher. 

  3. Court of Korea. (2016). Supreme court of Korea sentenced 2011do15258. Retrieved January 15, 2016, from http://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060839&q2011%EB%8F%8415258 

  4. DeVellis, R. F. (2016).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4th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5. Eldredge, K. (2008). Assessment of trauma nurse knowledge related to forensic practice. Journal of Forensic Nursing, 4(4), 157-165. 

  6. Han, M. H., & Hong, H. S. (2012).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forensic nursing role in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4), 291-299. 

  7.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ing. (2012). Core competence for advanced practice, forensic nursing. Retrieved February 10, 2012, from http://c.ymcdn.com/sites/www.forensic-nurses.org/resource/resmgr/Education/APN_Core_Curriculum_Documente 

  8. Jo, M. S., Cho, Y. A., Kim, K. H., Kwon, I. G., Kim, M. S., & Lee, J. L. (2015). Development of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nurses: For tertiary care hospitals. Clinical Nursing Research, 21(3), 277-292. 

  9. Jo, N. Y. (2012). Forensic nursing performance and competency level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gue, Korea. 

  10. Jo, N. Y., Lee, Y. M., & Son, Y. (2018).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forensic nursing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1(2), 34-50. 

  11. Kang, H. C. (2013).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587-594. 

  12. Kang, Y. S., Lee, S. J., Kim, I. J., & Ahn, K. H. (2008). A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3), 219-228. 

  13. Kim, E. J. (2016).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ursing competence of nurse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4. Kim, G. R., & Sung, M. H. (2014). Influencing factors on forensic nursing role performanc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 64-74. 

  15. Kim, H. S.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tool for infection control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5), 622-635. 

  16.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 The criminal procedure code. Retrieved February 10, 2014, from https://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ion&tabNo&query 

  17.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2016). 2015 police criminal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30, 2016, from http://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441 

  18. Lee, E. O., Lim, N. Y., Park, H. E., Lee, I. S., Kim, J. I., Bae, J. I., . . . Lee, S. M.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9. Lee, K. H., & Shin, S. J. (2013).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6), 697-703. 

  20. Lee, K. R. (2006). Application of forensic nursing into Korean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gue, Korea. 

  21. Lenburg, C. B. (1999). The framework, concepts and methods of the competency outcom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COPA) model.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4(2), 1-12. 

  22. Lynch, V. A. (2006). Concepts and theory of forensic nursing. In V. A. Lynch & J. B. Duval (Eds.), Forensic nursing 1st ed. (pp. 19-29). St. Louis, MO: Elsevier Mosby. 

  23.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24. Mason, T., Lovell, A., & Coyle, D. (2008). Forensic psychiatric nursing: Skill and competency: Role dimension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118-130. 

  25. McGillivray, B. (2005). The role of victorian emergency nurse in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forensic evid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13(2), 95-100. 

  26.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27. Seong, T. J., & Si, G. J. (2007). Research methodology. Seoul: Hakjisa. 

  28. Song, J. J. (2013). SPSS/AMOS statistical methods for research. Seoul: 21th Century Publisher. 

  29. Statistics Korea. (2018a). 2018 child abuse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12, 2019,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TX_117_2009_HJ022&conn_pathI2 

  30. Statistics Korea. (2018b). 2018 elder abuse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12, 2019, from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17067&inputYear2018 

  31. Yoo, Y. S., Cha, K. S., Cho, O. H., & Lee, S. K. (2012). Emergency department nurses' recognition of and educational needs for forensic nurs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5), 499-5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