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우레탄과 개질된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난연성 방열 복합체
Flame Retardant and Heat Radiating Composite Consisting of Polyurethane and Modified Boron Nitrid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1 no.5, 2020년, pp.487 - 494  

김민규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이창록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조남주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방열필름의 연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oly(tetra methylene glycol) (PTMG),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MDI)와 유기인이 도입된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개질한 질화붕소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과 개질된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Fourier transform-infrared (FT-IR) 분광 분석을 통해 질화붕소의 개질과 복합체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측정을 통해 개질된 질화붕소의 함량에 따른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layser flash analysis (LFA)와 UL94 측정을 통해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합체의 열전도도가 1.19 W/m·K로 증가하였으며, 자기소화성이 없어 타기 쉬운 폴리우레탄의 난연성이 UL94 V-1 등급으로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urethane/modified boron nitride (PU/m-BN) composite was synthesized from the poly(tetra methylene glycol) (PTMG),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MDI), and modified boron nitride (m-BN). The modification of boron nitride and synthesis of PU/m-BN composite were confirmed by Fourier transfor...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방열필름의 연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난연성이 향상된 방열필름용 수지를 제작하였다. 유연하면서 가벼워 필름용 수지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우레탄(PU)을 매트릭스로 사용하였으며, PU에 부족한 열전도성과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유기인이 도입된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한 BN을 필러로 사용하였다.
  • 이처럼 난연성 방열소재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열전도도와 난연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결과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면 개질된 필러를 사용하여 방열필름에 적용 가능한 난연성 수지를 제작하고자 한다. 열전도성 필러인 boron nitride (BN)의 낮은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유기인이 도입된 실란 커플링제로 BN의 표면을 개질하여 사용하였고, modified BN (m-BN)과 PU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in situ 방법을 이용해 PU/m-BN 복합체를 제조하여 분산성 및 열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Figure 5. Mechanical properties of PU/m-BN composite according to (a) m-BN content and (b) soft segment content.
  • Figure 5. Mechanical properties of PU/m-BN composite according to (a) m-BN content and (b) soft segment cont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 소자가 고집적화되면 무엇이 발생하는가? 최근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 기기는 경량화, 박형화, 소형화, 다기능화가 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소자가 고집적화 될수록 더욱 많은 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방출 열은 소자의 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소자의 오작동, 기판 열화 등의 원인이 되고 있어 방출 열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
전자소자의 방출 열은 어떤 문제의 원인이 되는가? 최근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 기기는 경량화, 박형화, 소형화, 다기능화가 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소자가 고집적화 될수록 더욱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방출 열은 소자의 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소자의 오작동, 기판 열화 등의 원인이 되고 있어 방출 열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고분자 소재의 문제는 무엇인가? 이에 금속소재와 달리 가공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고분자 소재가 최근 방열 소재로써 각광받고 있다.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PU), 에폭시 수지 등 대부분의 고분자는 0.1~0.3 W/m⋅K 수준의 낮은 열전도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고열전도성 필러를 첨가한 복합소재 형태로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필러의 양이 많아질수록 비중이 높아지고 가공성 및 제품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필러의 양은 최소화 하면서 열전도도는 극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 R. Lee, S. M. Ha, Y. Yoo, and S. Lee, The latest research trend of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Polym. Sci. Technol., 24, 30-37 (2013). 

  2. G. W. Lee, M. Park, J. Kim, J. I. Lee and H. G. Yoon,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composites filled with hybrid filler, Compos. Part A Appl. Sci. Manuf., 37, 727-734 (2006). 

  3. K. Sanada, Y. Tada, and Y. Shindo,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composites with close-packed structure of nano and micro fillers, Compos. Part A Appl. Sci. Manuf., 40, 724-730 (2009). 

  4. N. K. Mahanta, M. R. Loos, I. M. Zlocozower, and A. R. Abramson, Graphite-graphene hybrid filler system for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epoxy composites, Mater. Res. Soc., 30, 959-966 (2015). 

  5. J. S. Park, Y. J. An, K. Shin, J. H. Han, and C. S. Lee,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epoxy/three-dimensional carbon hybrid filler composites for effective heat dissipation, RSC Adv., 5, 46989-46996 (2015). 

  6. Y. Kim, J. Jung, H. Yeo, N. You, S. G. Jang, S. Ahn, S. H. Lee, and M. Goh, Development of highly thermal conductive liquid crystalline epoxy resins for high thermal dissipation composites, J. Korean Soc. Compos. Mater., 30, 1-6 (2017). 

  7. S. Hwangbo and S. H. Cho, Thermal decomposition behavior of LCT composites using boron nitride filler, J. Text. Eng., 55, 35-40 (2018). 

  8. J. C. Zhao, F. P. Du, X. P. Zhou, W. Cui, X. M. Wang, H. Zhu, X. L. Xie, and Y. W. Mai, Thermal conductiv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hyperbranched poly (urea-urethane)-graf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composites, Compos. Part B Eng., 42, 2111-2116 (2011). 

  9. E. Cakmakci, C. Kocyigit, S. Cakir, A. Durmus, and M. V. Kahraman,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polyurethane/h-BN nanocomposites, Polym. Compos., 35, 530-538 (2014). 

  10. M. Li, H. Cui, Q. Li, and Q. Zhang, Thermally conductive and flame-retardant polyamide 6 composites, J. Reinf. Plast. Compos., 35, 435-444 (2016). 

  11. K. Kim, M. Kim, and J. Kim, Fabrication of UV-curable polyurethane acrylate composites containing surface-modified boron nitride for underwater sonar encapsulant application, Ceram. Int., 40, 10933-10943 (2014). 

  12. J. Lee, J. Jun, W. Na, J. Oh, Y. Kim, W. Kim, and J. Jang, Fabrication of sinter-free conductive Cu paste using sub-10 nm copper nanoparticles, J. Mater. Chem. C, 5, 12507-12512 (2017). 

  13. J. Vasiljevic, I. Jerman, G. Jaksa, J. Alongi, G. Malucelli, M. Zorko, B. Tomsic, and B. Simoncic, Functionalization of cellulose fibres with DOPO-polysilsesquioxane flame retardant nanocoating, Cellulose, 22, 1893-1910 (2015). 

  14. A. K. Mishra, D. K. Chattopadhyay, B. Sreedhar, and K. V. S. N. Raju, FT-IR and XPS studies of polyurethane-urea-imide coatings, Prog. Org. Coat., 55, 231-243 (2006). 

  15. T. Oh, K. Lee, K. Kim, and C. Choi, Comparison of the nano-structure due to CO and CC double bond, J. Korean Phys. Soc., 45, 705-708 (2004). 

  16. T. W. Pechar, G. L. Wilkes, B. Zhou, and N. Luo, Characterization of soy-based polyurethane networks prepared with different diisocyanates and their blends with petroleum-based polyols, J. of Appl. Polym. Sci., 106, 2350-2362 (2007). 

  17. Y. Lu, and R. C. Larock, Soybean-oil-based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s: effects of polyol functionality and hard segment content on properties, Biomacromolecules, 9, 3332-3340 (2008). 

  18. D. Cai, K. Yusoh, and M. So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a graphite oxide nanoplatelet/polyurethane composite, Nanotechnology, 20, 1-5 (2009). 

  19. H. Kato, T. Hirano, A. Matsuo, Y. Kawamura, and A. Inoue, High strength and good ductility of $Zr_{55}Al_{10}Ni_5Cu_{30}$ bulk glass containing ZrC particles, Scr. Mater., 43, 503-507 (2000). 

  20. A. Eceiza, M. D. Martin, K. de la Caba, G. Kortaberria, N. Gabilondo, M.A. Corcuera, and I. Mondragon,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based on polycarbonate diols with different soft segment molecular weight and chemical structur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Polym. Eng. Sci., 48, 297-306 (2008). 

  21. P. Krol, B. Krol, K. Pielichowska, and M. Spirkova, Composites prepared from the waterborne polyurethane cationomers-modified graphene. Part I. Synthesis,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Colloid Polym. Sci., 293, 421-431 (2015). 

  22. J. M. Cervantes-Uc, J. I. Moo Espinosa, J. V. Cauich-Rodriguez, A. Avila-Ortega, H. Vazquez-Torres, A. Marcos-Fernandez, and J. San Roman, TGA/FTIR studies of segmented aliphatic polyurethanes and their nanocomposites prepared with commercial montmorillonites, Polym. Degrad. Stab., 94, 1666-1677 (2009). 

  23. Zoran S. Petrovic, Zoltan Zavargo, Joseph H. Flyn, and William J. Macknight, Thermal degradation of segmented polyurethanes, J. Appl. Polym. Sci., 51, 1087-1095 (1994). 

  24. S. H. Liu, C. F. Kuan, H. C. Kuan, M. Y. Shen, J. M. Yang, and C. L. Chiang, Preparation and flame retardance of polyurethane composites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melamine polyphosphate, Polymers, 9, 407-420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