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취·창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코로나 19 사회적 이슈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Impacts of Entrepreneu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ment and Startup Awareness : Mediating Effects of Corona 19 Social Issue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5, 2020년, pp.51 - 63  

박철우 (부산가톨릭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강경란 (한국해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취·창업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지난 몇 개월간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사태를 계기로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이슈가 대학생들의 개인특성과 취·창업 인식 간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높은 대학생들은 경제공황에 버금가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이슈를 위기로 인식하고 움츠러들기보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취업의 기회나 창업의 기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택트 사회가 뉴노멀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앙트러프러십과 변혁적 리더십 함양을 통하여 새로운 취·창업 기회의 확보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잠재적 창업가, 잠재적 고용가능성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위기 속에서 기회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탐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 만들기 등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verify how college students' entourag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affect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perception. In addition, with the coronavirus infection, which has a widespread global impact over the past few months, we want to see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인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코로나 19 감염사태를 계기로 팬데믹이라는 사회적인 이슈가 취·창업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취·창업의 기회로 인식하는지, 위기로 인식하는지를 규명하여 취·창업 인식을 고취하고 적극적인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는 사회적이슈인 코로나바이러스 19 현상이 대학생들의 개인특성과 취·창업인식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또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팬데믹(코로나19 대유행)이라는 사회적 이슈가 취·창업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학생들의 개인 특성인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사회적 이슈를 매개로 취·창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개인 특성인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취·창업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개인특성인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취·창업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셋째, 학생들이 팬데믹이라는 거대한 사회적 이슈를 막연히 불안하게만 생각하며 움츠러들지 않고 취·창업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방향 제시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0: 사회적 이슈는 앙트러프러너십과 창업인식 간에 정(+)의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다.
  • 가설 11: 사회적 이슈는 변혁적 리더십과 취업인식 간에 정(+)의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다.
  • 가설 12: 사회적 이슈는 변혁적 리더십과 창업인식 간에 정(+)의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다.
  • 가설 1: 앙트러프러너십은 사회적 이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앙트러프러너십은 취업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앙트러프러너십은 창업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변혁적 리더십은 사회적 이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변혁적 리더십은 취업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변혁적 리더십은 창업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사회적 이슈는 취업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사회적 이슈는 창업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9: 사회적 이슈는 앙트러프러너십과 취업인식 간에 정(+)의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앙트러프러너십은 무엇인가? 앙트러프러너십은 18세기 프랑스의 경제학자 깐띠옹(Richard de Cantillon)이 최초로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앙트러프러너십은 창업가들이 위험감수를 통해 이윤을 추구하고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땅히 갖추어야 할 자세와 정신의 의미이며, 부족한 자원을 극복하고 기회에 초점을 두는 사고와 행동방식을 일컫는다(Timmons, 1994; 이우진외, 2018). 최근에는 앙트러프러너십을 독자적인 학문의 영역으로 정의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앙트러프러너십의 연구가 창업자가 되기 위한 삶들에 대한 관심에서 창업가 기질이 있는 개인과 가치 있는 기회의 결합을 이행하는 것 쪽으로 옮겨져 가고 있다고 한다(Shane & Venkataraman, 2000).
앙트러프러너십는 어디로부터 시작되었는가? 앙트러프러너십은 18세기 프랑스의 경제학자 깐띠옹(Richard de Cantillon)이 최초로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앙트러프러너십은 창업가들이 위험감수를 통해 이윤을 추구하고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땅히 갖추어야 할 자세와 정신의 의미이며, 부족한 자원을 극복하고 기회에 초점을 두는 사고와 행동방식을 일컫는다(Timmons, 1994; 이우진외, 2018).
Lumpkin & Dess는 창업에 있어서 어떤점이 중요하다고 하였는가? 기회라는 것은 우리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고객의 수요가 중심이 되는 현시대에 기업가의 기회포착이라는 행위는 ‘문제의 인식 및 해결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느끼고 공감하는 문제에 집중하여 이를 사업의 관점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능력이 창업의 의지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ron, R. A.(2006). Opportunity Recognition as Pattern Recognition: How Entrepreneurs "Connect the Dots" to Identify New Business Opportunities.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0(1), 104-119. 

  2. Bass, B. M.(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Collier Macmillan. 

  3. Bass, B. M.(1990).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zational Dynamics, 18(3), 19-31. 

  4. Bass, B. M., & Avolio, B. J.(1996).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5. Berglund, K.(2013). Fighting against all Odd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Employability Training. Ephemera, 13(4), 717. 

  6. Bradford, D. L., & Cohen, A. R. (1984). The postheroic leader.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7. Burns, J. M.(1978).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y. Leadership. 

  8. Byun. C. G., & Ha, H. H.(2018). The Influence of Behavior Patterns for Opportunity Discovery on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Korea Entrepreneurship Society, 13(2), 103-123. 

  9. Chae, Y. H.(2017). Study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on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 and Moderating Effect of Fear on Start-up. Korea Business Education Review, 32(4), 165-183. 

  10. Choi, M. J., & Park, J. H.(2017).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A Focus on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12(3), 135-146. 

  11. Choi, Y. B.(2020).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Adaptive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Docto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12. Gnyawali, D. R., & Fogel, D. S.(1994). Environments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Key Dimensions and Research Implica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4), 43-62. 

  13. Han, T. C.(2020). Tide over Covid 19 with our Strength, To Make a Pilliar of Transition. The Journal of Social Convergence Studies, 4(2), 257-259. 

  14. Hersey, P., & Blanchard, K. H.(1993).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5. Kang, G. L., & Park, C. W.(2017). The Effects of Career Orientation on the Entrepreneurial: Reemployment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12(5), 177-189. 

  16. Kang, J. H., & Yang, D. W.(2016). A Study on Effe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493-507. 

  17. Kim, K. S., Sung, Y. J., & Han, Y. S.(2020). Post Corona19, Industrial Strategy in the Era of New Nomal. Issue & Diagnosis. 411. 

  18. Kim, S. W., Kim, Y. H., Lee, J. W., Kim, H. J., Ko, H. J. & Kim, S. H., & Kim, Y. S.(2015). Korea Entreprenuership Monitoring. Sejong: STEPI. 

  19. Kim, Y. H., Kim, S. W., Lee, J. W., & Lee, S. J.(2017).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in Korean Startups. Sejong: STEPI. 

  20. KISTEP(2020). Future Prospects and Promising Technologies in the Post-Corona Era. KISTEP, Retrieved from https://www.kistep.re.kr/c3/sub6.jsp?brdTypeR&bbIdx13771. 

  21. KOSBI Focus(2020).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and Corporate Responses caused by Corona 19. KOSBI, Retrieved from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52941. 

  22. Kuratko, D. F. (2016). Entrepreneurship: Theory, process, and practice. Cengage Learning. 

  23. Kuratko, D. F., & Hodgetts, R. M.(2004). Entrepreneurship: Theory, Process, and Practice. 

  24. Lee, S. J., & Kim, Y. H.(2019). A New Perspective on Opportunity Capturing of Entrepreneurs: Focusing on 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JSBI, 22(2), 1-16. 

  25. Lee, S. W.(2020). Prospects for Change in The Post-Corona 19. Korcham.net, 122, Retrieved from https://www.korcham.net/nCham/Service/Economy/appl/NewsBriefDetail.asp?SEQ_NO_C0402443. 

  26. Lee, W. J., Son. K. S., & Oh. Y. M.(2018).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Focused on the Entrepreneurship Major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3(3), 71-83. 

  27. Linan, F. (2004). Intention-based model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iccolla Impresa/Small Business, 3(1), 11-35. 

  28. Lumpkin, G. T., & Dess, G. G.(1996).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1), 135-172. 

  29. Lumpkin, G. T., & Dess, G. G.(2004). E-Business Strategies and Internet Business Models: How the Internet Adds Value. Organizational Dynamics, 33(2), 161-173. 

  30. Shane, S. A.(2003). A General Theory of Entrepreneurship: The Individual-Opportunity Nexus. Edward Elgar Publishing. 

  31. Shane, S., & Venkataraman, S.(2000). The Promise of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1), 217-226. 

  32. Stevenson, H., & Gumpert, D.(1985). The Heart of Entrepreneurship. 

  33. Tichy, N. M., & Devanna, M. A. (1986). The transformational leader.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34. Timmons, J. A., Spinelli, S., & Tan, Y.(1994).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Vol. 4). Burr Ridge, IL: Irwin. 

  35. Yoon, N. S.(2012). The Effect of Potential Entrepreneurial Motivations on Entrepreneurship and Commitment to Starts-Up: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5(2), 1537-1557. 

  36. 변충규.하환호(2018). 기회발견을 위한 행동패턴이 기회인식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지, 13, 1-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