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악지형에서의 재난피해조사를 위한 드론 맵핑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Drones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in Mountainous Terrai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5 pt.4, 2020년, pp.1209 - 1220  

신동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김다진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김성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한유경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  노현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지역의 경우 도심지에 비해 무인항공사진측량 작업과정 중 하나인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GCP) 측량이 제한적이며, 높은 산림 때문에 비가시권 비행으로 인해 안전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드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RTK(real time kinematic) 드론과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비행하는 3차원 비행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림지역에서 재난피해조사를 위한 드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1) GCP 측량을 통한 드론 맵핑(normal drone mapping), 2)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비행하는 드론 맵핑(3D flight drone mapping), 3) RTK 드론을 이용한 드론 맵핑(RTK drone mapping) 3가지 방법을 통해 위치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평면 위치오차는 2 cm, 높이오차는 13 cm 이내로 나타났다. 위치정확도 평가 후, 산사태 발생 면적을 계산하여 체적 값을 비교했을 때 세 가지 방법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3D flight drone mapping, RTK drone mapping을 통해 산림지역에서 드론 맵핑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재난피해조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하게 발생하는 재난상황을 감안하였을 때 재난지역의 여건에 따라 3가지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피해조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ase of forest areas, the installation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and the selection of terrain features, which are one of the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work process, are limited compared to urban areas, and safety problems arise due to non-visible flight due to high forest. To compe...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talin and Gnanaprakasam (2017)은 UAV를 통해 생성된 DEM을 통해 모래 체적을 산정하였고, Arango and Morales (2015)은 토사 비축량의 값을 구하기 위해 UAV의 DSM 자료를 활용하여 체적의 부피를 정밀하게 산정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도 세 가지 방법에 대해 산사태 피해조사의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산사태로 인한 피해 체적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산림이 많은 재난현장에서의 효율적인 드론 맵핑을 수행하기 위해 지상기준점의 영향이 적은 RTK 드론과 드론 감시, 고도차이가 심한 지형에서의 균질한 영상 획득을 위해 지형의 고도를 따라 비행하는 3차원 비행방법을 이용해 산림지역에서의 드론 맵핑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는 넓은 범위의 산지와 높은 고도의 산림 지역에서의 드론 맵핑의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드론 맵핑(normal drone mapping), 지형정보를 입력하여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3차원 비행 맵핑(3D flight drone mapping), RTK 센서가 탑재된 RTK 맵핑(RTK drone mapping)으로부터 정사영상 및 Digital Surface Model(DSM) 자료를 구축한 뒤 위치 정확도 평가와 산사태 체적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erican Red Cross and Measure, 2015. Drones for Disaster Response and Relief Operations, Research report. 

  2. Arango, C. and C.A. Morales, 2015. Comparison between multicopter UAV and total station for estimating stockpile volume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40(1): 131-135. 

  3. Barba, S., M. Barbarella, A.D. Benedetto, M. Fiani, L. Gujski, and M. Limongiello, 2019. Accuracy Assessment of 3D Photogrammetric Models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s, 3(4): 79. 

  4. Hugenholtz, C.H., K. Whitehead, O.W. Brown, T.E. Barchyn, B.J. Moorman, A. LeClair, K. Riddell, and T. Hamilton, 2013. Geomorphological Mapping with a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 (sUAS): Feature Detection and Accuracy Assessment of a Photogrammetrically-Derived Digital Terrain Model, Geomorphology, 194: 16-24. 

  5. Jo, H.J., J.H. Oh, and Y.J. Jang, 2020. Analysis of Aerial Survey Accuracy Using Phantom 4 and Phantom 4-RTK, Proceedings of Korea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Online, Jul. 2-Jul. 3, 138-140. 

  6. Jung, K. Y. and Yun, H. C., 2012, Utilization of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for Effective Damage Investigation of Natural Haza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0(4): 369-3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S.S., B.G. Song, S.B. Cho, and H.J. Kim, 2019. Applicability of Drone Mapping for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7(2): 13-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8. Best Casebook for Public Innovation, 43. 

  9. Manfreda, S., P. Dvorak, J. Mullerova, S. Herban, P. Vuono, J.J. Arranz Justel, and M. Perks, 2019. Assessing the Accuracy of Digital Surface Model Derived from Optical Imagery Acquired with Unmanned Aerial Systems, Drones, 3(1): 15. 

  10. Martinez-Carricondo, P., F. Aguera-Vega, F. Carvajal-Ramirez, F.J. Mesas-Carrascosa, A. Garcia-Ferrer, and F.J. Perez-Porras, 2018. Assessment of UAV-Photogrammetric Mapping Accuracy Based on Variation of Ground Control Po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72: 1-10. 

  1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The 3rd Comprehensive Plan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2018-2022). 

  12. Oh, Y.O, K.A. Choi, and I.P. Lee, 2017. Disaster Damage Detection using Drone Aerial Images, Proc. of 2017 Joint Fall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Jeonju-si, Jeollabuk-do, Oct. 27, pp. 213-214. 

  13. Peppa, M.V., J. Hall, J. Goodyear, and J.P. Mills, 2019. Photogrammetric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DJI Phantom 4 pro and phantom 4 RTK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s,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42(2/w13): 503-509. 

  14. Sanz-Ablanedo, E., J.H. Chandler, J.R. Rodriguez-Perez, and C. Ordonez, 2018. Accuracy of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SfM Photogrammetry Survey as a Function of the Number and Location of Ground Control Points Used, Remote Sensing, 10(10): 1606-1624. 

  15. Stalin, J.L., and R. Gnanaprakasam, 2017. Volume Calculation from UAV based DEM,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Technology (IJERT), 6(6): 126-128. 

  16. Taddia, Y., F. Stecchi, and A. Pellegrinelli, 2019. Using DJI Phantom 4 RTK drone for topographic mapping of coastal areas,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42(2/W13): 625-630. 

  17. Yun, H. C., M.G. Kim, and K.Y. Jung, 2011. Utilization of UAV for Damage Investigation of the Facilities, Proc.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heongju-si, Chungcheongbuk-do, Apr. 21-22, pp. 187-19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