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트렌드의 주기적 순환성에 관한 빅데이터 융합 분석
The Analysis of Fashion Trend Cycle using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2, 2020년, pp.113 - 123  

김기현 (성신여자대학교 정보시스템공학과) ,  변혜원 (성신여자대학교 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과거와 현재의 패션 트렌드와 패션 유행 주기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패션 전문가나 패션쇼가 아닌 일반 사람들의 데일리룩을 위한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는데 집중하였다. 소셜 매트릭스 도구인 텍스톰을 활용하여 빈도수 분석, N-gram 분석, 네트워크 분석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패션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람들의 데일리 룩을 대상으로 과거(1980년대, 1990년대)와 현재(2019년, 2020년)의 패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둘째, 과거의 패션이 현재의 패션으로 재현되는 순환성과 순환 주기가 30-40년 정도로 짧아졌음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셋째, 도출된 패션 키워드들의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과거 패션에서는 청바지 패션, 레트로 코디, 애슬레저룩, 연예인 복고패션의 4개의 군집으로, 현재 패션에서는 레트로 청바지, 뉴트로, 레이디 쉬크, 레트로 퓨처리즘의 4개의 군집을 확인하였다. 넷째, 과거의 패션이 현재의 패션으로 재현되고 진화하는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확인하고 그 배경에 관한 이슈를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과거와 현재의 패션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로부터 패션 유행의 순환 주기를 확인함으로써 과거를 통해 미래 패션을 예측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or past and present fashion trends and fashion cycle. We focused on daily look for ordinary people instead of the fashion professionals and fashion show. Using the social matrix tool, Textom,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network an...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의 패션 트렌드의 순환 주기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과거(1980년대와 1990년대), 그리고 현재(2019년과 2020년)의 패션 트렌드에 관한 키워드들을 분석하여 패션 트렌드와 그 주기의 순환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 향후에는 패션 데이터를 수집하는 매체별 가중치를 도입하여 빅데이터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향상시키는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일반 사람들의 데일리룩과 의류 판매용 인터넷 라이브 방송을 위한 패션 분석과 나아가 미래 패션 트렌드 예측의 방향으로 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초석으로 삼아 향후 패션 트렌드 예측을 위한 딥러닝 플랫폼을 연구개발 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패션이 더 이상 패션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무신사나 ZARA와 같은 패스트 패션을 소비하는 일반인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들을 위한 데일리 룩의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네이버, 다음 등 웹에서 패션 트렌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그 시대에 유행하는 일반인을 위한 패션 트렌드를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사람들이 열광하는 레트로 무드의 시대적 배경과 패션 트렌드 순환 주기, 그리고 순환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융합한 부분에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패션 데이터를 수집하는 매체별 가중치를 도입하여 빅데이터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향상시키는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트리트 패션과 데일리룩에 초점을 두고 빅데이터 분석을 융합하여 과거 패션(1980년대와 1990년대)과 현재 패션(2019년과 2020년)의 키워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고 패션 주기의 순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의 패션 트렌드의 순환 주기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과거(1980년대와 1990년대), 그리고 현재(2019년과 2020년)의 패션 트렌드에 관한 키워드들을 분석하여 패션 트렌드와 그 주기의 순환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 네이버, 다음 등 웹에서 패션 트렌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그 시대에 유행하는 일반인을 위한 패션 트렌드를 분석한다. 특히, 최근의 패션 트렌드 중에 ‘레트로’ 에 주목하여 과거의 특정 시대(1980년대와 1990년대) 와현재 (2019년과 2020년)의 패션 트렌드를 각각 분석하고 ‘패션 유행은 시대가 지나면서 과거에 유행했던 패션이 다시 돌아와서 새롭게 유행한다’는 패션 트렌드의 순환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S. Heo & E. J. Lee. (2019). Trend Analysis of Fashion Brand Evaluation using Big Data-focusing on Gucci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6), 38-51. 

  2. LG CNS. (2019. 9. 20). How Does ZARA Use Big Data?. IT Solutions Series.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5446366&memberNo3185448&vTypeVERTICAL 

  3. J. P. Seo. (2019.12.4.). Big Data to Predict Fashion Trend?. Fashion Insignt. http://www.fi.co.kr/mobile/view.asp?idx67884 

  4. A. Lee & J. H. Lee. (2018). A Study of Perception of Golfwear using Big Data Analysi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0(5), 533-547. 

  5. J. H. Lee, J. M. Lee, W. K. Kim & G. K. Hyoung. (2017). A Study on Perception of Swimsuit using Big Data Text-Mining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8(1), 104-116. 

  6. K. H. Han. (2019). A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of HiSeoul Fashion Show using Big Data Analysis. Fashion Business, 23(5), 81-95. 

  7. D. J. Kim & S. H. Lee. (2019). A Study of Consumer Perception on Fashion Show using Big Data Analysis. Fashion Business, 23(3), 85-100. 

  8. Chief Choi.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X6UKOrR8n_M 

  9. DoHaji TV. YouTube, https://www.youtube.com/channel/UCCUrZ0jnKwZYRkqLpXq2_sA 

  10. J. Richardson & A. L. Kroeber. (1940). Three Centuries of Women's Dress Fashion; a Quantitative Analysis. Fashion Marketing, 47-105. 

  11. A. B. Young. (1937). Recurring Cycles of Fashion. Fashion Marketing, 107-124. 

  12. J. M. Carmen. (1966). The Fate of Fashion Cycles in Our Modern Society. Fashion Marketing, 125-136. 

  13. B. D. Belleau. (1987). Cyclical Fashion Movement: Women's Day Dresses: 1860-1980.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5(2), 15-20. 

  14. J. M. Choi. (1991). An Analytic Study on the Fashion Cycles in Women's Dr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8(3), 121-135. 

  15. K. S. Sung. (2020).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of Z-Generation Fashion, Journal of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22(3), 49-61. 

  16. S. R. Kim. (2020). A Convergence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orak Fashion using Big Data Analysi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SAF), 38(4), 43-55. 

  17. Y. J. Cho. (2020). A Study on Perception of 3D Printing Fashion using Big Data Analysi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SAF), 38(1), 271-283. 

  18. J. Y. Lee & J. H. Jung. (2020). Exploring Consumers' Perceptions of Bags using the SNS Big Dat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8(1), 55-70. 

  19. K. H. Han. (2019). An Snalysis of Consumers' Opinion on Fashion Influencer using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11), 2,283-2,290. 

  20. J. H. Kim & J. M. Lee. (2018). Comparis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ports Brands using Text Mining and Opinion Mining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8(6), 217-234. 

  21. J. S. Huh & E. J. Lee. (2019).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Web-based Keywords of Fashion Brands using Big Data: Focusing on their Links to the Brand's Key Marketing Strateg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4), 398-413. 

  22. Y. T. Lim & H. S. Lim. (202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diction Models for the Direction of Stock Price Using the Online Company Review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8), 16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