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테레오 스트립 위성영상을 이용한 비 접근지역의 1:5000 도엽별 DSM 추출 가능성 연구
1:5000 Scale DSM Extraction for Non-approach Area from Stereo Strip Satellite Imagery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5 pt.2, 2020년, pp.949 - 959  

이수암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  정성우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  박지민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CAS500-1/2를 이용한 산출물 생성에 관련한 선행연구로 KOMPSAT-3A 스트립영상을 사용한 비접근 지역의 도엽별 DSM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1:5000 도엽정보의 입력을 통한 영역 설정을 통해 도엽별로 산출물이 나올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강인한 스테레오 영상정합 기법인 MDR을 적용하여 스테레오 페어에서도 최적의 DSM이 나오도록 설정했다. 스트립 영상이 분할된 여러 장의 단위 영상으로 들어오는 것을 고려하여 하나의 도엽에 여러 쌍의 영상 페어를 처리하여 통합하는 방식으로 DSM의 생성을 시도했으며, 처리결과 도엽 간의 접합부분에서 이격 발생을 최소화한 DSM의 생성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GCP와의 비교를 통한 정확도 검증결과 5 m 이내의 정확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s a prior study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opographic information using the CAS500-1/2 satellite, we propose a method of extraction DSM for each 1:5000 scaled map in North Korea using KOMPSAT-3A strip images. This technique is designed to set the processing area by receiving shap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형정보의 추출을 수행하기 위해 1:5000 도엽정보를 이용한 영역의 분할 처리 및 분할 영역의 영상정합을 통한 DSM의 생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국토관측 전용위성의 특징을 고려하여 스테레오 스트립 단위 영상의 처리를 위한 운영방안을 설계하고, 구현결과를 통해 비 접근 지역에 대한 3차원 지형정보 획득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 2018). 본 논문에서는 ARD의 타일 단위 산출물 구성 방식을 참조하여,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국가기본도 제작에 사용하는 1:5000 도엽 단위로 영상 영역을 분할하고 DSM을 생성하여 민간 부문의 위성 영상 정보 관리 및 활용에 적합한 데이터 생성을 꾀했다.
  •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도엽별 DSM 생성 방안을 실험데이터에 적용해 보았다. DSM의 해상도는 영상 정합에서 오는 해상도의 손실을 고려하여 UTM-K 좌표 기준 원본영상의 3배 정도인 2 m로 설정하여 생성했다.
  • 본 연구에서는 1:5000 도엽 크기로 설정된 DSM의 생성을 목표로 한다. 이에 도엽별 처리를 위해 한반도 전역의 도엽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Shape 파일을 적용했으며, 기준 좌표계는 UTM-K 좌표계를 적용하여 수행했다.
  • 그러나 지형이 험하거나,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의 경우 항공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우며, 기 구축된 DTED(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디지털 고도 모델로 구성된 데이터 세트 표준) 정보도 공간해상도가 낮아 신뢰성 있는 정확도 측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KOMPSAT-3A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DSM의 3차원 위치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로 기 구축된 지상기준점 정보를 활용했다. 지상기준점도 GPS 측량을 통한 실제 측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된 CIB-1 (Controlled Image Base-1, 1 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군사 표준으로 제작된 정사보정 된 흑백영상) 영상과 KOMPSAT-2 정사영상을 사용하여 GCP 칩을 만들고, 이 칩정보에서 취득한 영상 및 대응되는 지상좌표를 추출하여 (Shin, et al.
  • 한 쌍의 스테레오 영상 영역 전체를 입력하여 정합할 경우, 처리해야 하는 위성영상의 용량이 늘어남으로 인해 메모리 처리 용량과 같은 하드웨어적 한계가 존재하게 되며, 사용자가 위성영상의 특정지역의 정보를 요구할 경우 대용량의 영상을 한 번에 처리한다면 원하는 위치의 탐색 및 빠른 산출물의 생성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전체 영역 처리 시 발생할 수 있는 메모리의 용량 부족 문제의 해결 및 도엽별로 산출되는 단계별 결과의 확인을 위하여 shape 파일로 존재하는 타일 인덱스를 입력하여 영역을 우선 분할한 후 서브 타일 영역별로 지형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영역의 분할은 UTM-K 좌표계 상에서 좌 상단, 우 하단 좌표를 기준으로 시스템에 입력되며, 원활한 분할 및 외곽영역에서의 처리 안정화를 위해 설정된 영역 대비 15 m 정도의 마진을 설정하여 안정적인 분할을 시도하였다.
  • 이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형정보의 추출을 수행하기 위해 1:5000 도엽정보를 이용한 영역의 분할 처리 및 분할 영역의 영상정합을 통한 DSM의 생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국토관측 전용위성의 특징을 고려하여 스테레오 스트립 단위 영상의 처리를 위한 운영방안을 설계하고, 구현결과를 통해 비 접근 지역에 대한 3차원 지형정보 획득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Dwyer, J. L., Roy, D. P., Sauer, B., Jenkerson, C. B., Zhang, H. K, and Lymburner, L., 2018. Analysis ready data: enabling analysis of the Landsat archive, Remote Sensing, 10(9): 1363. 

  2. Gehrke, S., Morin, K., Downey, M., Boehrer, N, and Fuchs, T., 2010. Semi-global matching: An alternative to LIDAR for DSM generation, Proc. of the 2010 Canadian Geomatics Conference and Symposium of Commission I, Vol. 2, p. 6. 

  3. Hirschmuller, H. and Scharstein, D. 2008. Evaluation of stereo matching costs on images with radiometric difference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31(9): 1582-1599. 

  4. Kim, H. G., Hwang, Y, and Rhee, S., 2019. Automatic Building Modeling Method Using Planar Analysis of Point Clouds from Unmanned Aerial Vehicl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1): 973-9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Shin, J. I., Yoon, W. S., Park, H. J., Oh, K. Y, and Kim, T. J., 2018. A Method to Improve Matching Success Rate between KOMPSAT-3A Imagery and Aerial Ortho-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6-1): 893-9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Rhee, S. and T. Kim, 2016. Dense 3D Point Cloud Generation from UAV Images from Image Matching and Global Optimization, Proc. of 2016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Prague, Czech Republic, Jul. 12-19, pp. 1005-10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