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신경망 기반 드론 광학영상 및 LiDAR 자료를 활용한 임분단위 식생층위구조 추정
Estimating the Stand Level Vegetation Structure Map Using Drone Optical Imageries and LiDAR Data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5 pt.1, 2020년, pp.653 - 666  

차성은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조현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임철희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송철호 (고려대학교 오정에코리질리언스) ,  이슬기 (고려대학교 오정에코리질리언스) ,  김지원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박치영 (새한항업(주) 지오메틱스연구소) ,  전성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속가능한 산림 발전을 위해 식생층위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산림 자원 관리에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드론, 딥러닝 등 신기술을 산림 부문에 접목한 활용이 늘어났으며, 이를 이용한 식생층위구조 추정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광학 및 LiDAR 영상을 융합하여 공주, 삼척, 서귀포 지역에 대해 식생층위구조를 파악하였으며, 각 92.62%(Kappa value: 0.59), 91.57%(Kappa value: 0.53), 86.00%(Kappa value: 0.63)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딥러닝을 활용한 식생층위구조 분석 기술은 광학 및 LiDAR의 정보량이 많아질수록 모델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식생의 다양한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복잡도 높은 모델과 충분한 샘플링을 통한 학습자료 구축이 동반되어 모델의 완성도가 높아진다면, 전국단위의 식생층위구조 지도를 구축하여 우리나라 정책·제도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standing the vegetation structure is important to manage forest resources for sustainable forest development.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pply new technologies such as drones and deep learning to forests and use it to estimate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is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수행함으로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식피의 구성종 특성을 파악하고 서식처 환경과 대응한 식물사회의 상호관계성을 파악하여, 이들 집단이 가지는 군락구조, 군락지리, 군락생태, 군락동태 등을 밝힐 수 있다. KME(2012)에 따르면 국내 식생평가의 기준은 식물군락의 기원, 분포의 희귀성, 식생의 복원성(회복력을 반영한 역사성) 등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광학 및 LiDAR 자료에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기법을 적용해 일부 지역을 학습(Train)하고, 나머지 지역을 시험(Test)과 검증(Validation) 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식생층위구조를 추정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pman, S.K. and G.W. Koch, 2007. What type of diversity yields synergy during mixed litter decomposition in a natural forest ecosystem?, Plant and Soil, 299(1-2): 153-162. 

  2. Choi, J.Y., K.S. Sung, and Y.K. Yang, 2007. Multiple vehicles detection and tracking based on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Proc. of 2007 IEE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Conference, Seattle, WA, USA, Oct. 22, pp. 528-533. 

  3. Goncalves, J. A. and R. Henriques, 2015. UAV photogrammetry for topographic monitoring of coastal area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04: 101-111. 

  4. Griggs, D., M. Stafford-Smith, O. Gaffney, J. Rockstrom, M.C. Ohman, P. Shyamsundar, W. Stedffen, G. Glaser, N. Kanie, and I. Noble, 2013.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or people and planet, Nature, 495(7441): 305-307. 

  5. Hay, G.J., K.O. Niemann, and G.F. McLean, 1996. An object-specific image-texture analysis of Hresolution forest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5(2): 108-122. 

  6. KFS(Korea Forest Service),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in Korean). 

  7. KFRI(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Guidelines for the 6th National Forest Inventory Surve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in Korean). 

  8. KME(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Guidelines for the 4th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in Korean). 

  9. Kim, E., W.K. Lee, M. Yoon, J.Y. Lee, E.J. Lee, and J. Moon, 2016. Detecting individual tree position and height using Airborne LiDAR data in Chollipo Arboretum, South Korea, TAO: Terrestrial,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27(4): 593. 

  10. Kwak, D.A., W.K. Lee, J.H. Lee, G.S. Biging, and P. Gong, 2007. Detection of individual trees and estimation of tree height using LiDAR data, Journal of Forest Research, 12(6): 425-434. 

  11. Kwak, D.A., W.K. Lee, H.K. Cho, S.H. Lee, Y. Son, M. Kafatos, and S.R. Kim, 2010. Estimating stem volume and biomass of Pinus koraiensis using LiDAR data, Journal of Plant Research, 123(4): 421-432. 

  12. Kwon, S.K., Y.S. Lee, D.S. Kim, and H.S. Jung, 2019. Classification of Forest Vertical Structure Using Machine Learning Analysi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2): 229-2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won, T.H., W.K. Lee, D.A. Kwak, T. Park, J.Y. Lee, S.Y. Hong, C. Guishan, and S.R. Kim, 2012. Forest canopy density estimation using airborne hyperspectral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3): 297-305. 

  14. Park, S.G. and H.M. Kang, 201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6): 907-9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chenk, T., 2004. From point-based to feature-based aerial triangula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58(5-6): 315-329. 

  16. Sung, H.C., Y.Y. Zhu, and S.W. Jeon, 2019.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Forest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to Improv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ouran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2(6): 6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Tang, L. and G. Shao, 2015. Drone remote sensing for forestry research and practices,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26(4): 791-797. 

  18. Wang, S., 2004. One hundred faces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Forest Policy and Economics, 6(3-4): 205-2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