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질환 위험도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섭취상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1) 자료를 이용하여
Food and Nutrient Intake Level by the Risk of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use of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10-2011)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2, 2019년, pp.152 - 162  

김효빈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  김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오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희정 (유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of postmenopausal women at high risk of osteoporosis (OP) and cardiovascular disease (CV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subjects. Methods: A total of 1,131 post-menopausal women aged over 45 yea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폐경 후 여성에게서 골다공증과 심혈관계질환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으며[8-14], 이들 두 만성질환은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폐경기 여성의 건강한 삶의 질 유지에 올바른 식사 관리는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다. 본 연구는 2010-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질환 위험도에 따른 군간의 신체계측 요인, 혈액학적 요인,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사의 질에 대한 군별 특성을 도출하고, 복합질환 예방을 위한 식이가이드라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 중 골다공증과 심혈관계질환 위험도가 높은 복합질환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폐경 후 여성을 골다공증 유병유무와 심혈관계질환 위험도에 따라 대조군, 골다공증군(OP군), 심혈관계질환군(CVD군), 골다공증+심혈관계질환군(복합질환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신체 및 혈액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식품섭취상태와 식사의 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인의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상태를 반영한 제5기(2010,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과 심혈관계질환의 유무에 따라 신체 및 생화학적 수준을 파악하고, 군간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과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폐경 후 여성에서 함께 발생하는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질환의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식생활 지침을 계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폐경 후 여성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복합질환의 예방관리를 위해서는 생화학적 요인 및 식이 요인에 따른 복합질환의 특성을 분석하고 고위험군에 있는 있는 대상자에게 적절한 식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인의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상태를 반영한 제5기(2010,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과 심혈관계질환의 유무에 따라 신체 및 생화학적 수준을 파악하고, 군간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과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폐경 후 여성에서 함께 발생하는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질환의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식생활 지침을 계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폐경 후 여성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 후 여성이 경험하는 증상은? 폐경 후 여성은 여성 호르몬 감소로 인해 발열, 안면홍조 등의 생리적 증상에서 골다공증, 심혈관계질환, 유방암 등의 만성 질환까지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1]. 특히 폐경 후에는 여성호르몬의 골 흡수 억제 기능이 저하되면서 골 흡수가 증가하고 소장에서의 칼슘 흡수가 저하되어 골밀도가 현저하게 감소한다[2].
골다공증과 심혈관계질환이 식이 요인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골다공증과 심혈관계질환은 식이 요인에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골다공증은 단백질, 인, 나트륨, 비타민D, 비타민K 등의 영양소와 상관관계가 높고, 심혈관계질환은 트랜스지방, 포화지방, 단순 탄수화물, 당 첨가 음료, 과일, 채소, 잡곡 등의 식이 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전통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더불어, 공통적인 병태생리학적 기전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두 가지 복합질환자에 관한 식이 요인에 관한 결과가 일부 보고되고 있다.
영양소 적정 섭취비(Nutrient Adequacy Ratio, NAR)란? NAR = 특정 영양소 섭취량 / 특정 영양소 권장섭취량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antoro N, Epperson CN, Mathews SB. Menopausal symptoms and their management.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015; 44(3): 497-515. 

  2. Choi SH, Hwang DK, Song HR, Noh HJ, Kang JY, Choi DH et al. The predictors for lumbar spinal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J Korean Soc Menopause 2009; 15(2): 101-109. 

  3. Kim DS, Shon HC, Kim YM, Choi ES, Park KJ, Im SH. Postoperative mortality and the associated factors for senile hip fracture patients. J Korean Orthop Assoc 2008; 43(4): 488-494. 

  4. Sang JH, Hwang IC, Han HS, Lee WS, Kim TE, Lee HH et al.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women in Gumi Gyeongbuk province. J Korean Soc Menopause 2012; 18(1): 28-35. 

  5. Laroche M, Pecourneau V, Blain H, Breuil V, Chapurlat R, Cortet B et al. Osteoporosis and ischemic cardiovascular disease. Joint Bone Spine 2017; 84(4): 427-432. 

  6. So HY, Ahn SH, Song RY, Kim HL. Relationships among obesity,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risks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0; 16(3): 224-233. 

  7. Cho JH. Assessment of women's health during menopausal periods. KCDC; 2013 May. Report No.1465012632. 

  8. Avramovski P, Avramovska M, Sikole A. Bone strength and arterial stiffness impact on cardiovascular mortality in a general population. J Osteoporos 2016; 2016: 95-104. 

  9. Lian XL, Zhang YP, Li X, Jing LD, Cairang ZM, Gou JQ. Explo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Eur Rev Med Pharmacol Sci 2017; 21(19): 4386-4390. 

  10. Den Uyl D, Nurmohamed MT, van Tuyl LH, Raterman HG, Lems WF. (Sub)clinical cardiovascular diseas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bone loss and fracture risk; a systematic review of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and osteoporosis. Arthritis Res Ther 2011; 13(1): 1-19. 

  11. von der Recke P, Hansen MA, Hassager C. The association between low bone mass at the menopaus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m J Med 1999; 106(3): 273-278. 

  12. Farhat GN, Newman AB, Sutton-Tyrrell K, Matthews KA, Boudreau R, Schwartz AV et al. The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measures with incident cardiovascular disease in older adults. Osteoporos Int 2007; 18(7): 999-1008. 

  13. Collins TC, Ewing SK, Diem SJ, Taylor BC, Orwoll ES, Cummings SR et al.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s associated with higher rates of hip bone loss and increased fracture risk in older men. Circulation 2009; 119(17): 2305-2312. 

  14. Naves M, Rodriguez-Garcia M, Diaz-Lopez JB, Gomez-Alonso C, Cannata-Andia JB. Progression of vascular calcifications is associated with greater bone loss and increased bone fractures. Osteoporos Int 2008; 19(8): 1161-1166. 

  15. Bagger YZ, Tanko LB, Alexandersen P, Qin G, Christiansen C. Radiographic measure of aorta calcification is a site-specific predictor of bone loss and fracture risk at the hip. J Intern Med 2006; 259(6): 598-605. 

  16. Hak AE, Pols HA, van Hemert AM, Hofman A, Witteman JC. Progression of aortic calcification is associated with metacarpal bone loss during menopause: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0; 20(8): 1926-1931. 

  17. Doherty TM, Fitzpatrick LA, Inoue D, Qiao JH, Fishbein MC, Detrano RC et al. Molecular, endocrine, and genetic mechanisms of arterial calcification. Endocr Rev 2004; 25(4): 629-672. 

  18. Bhupathiraju SN, Lichtenstein AH, Dawson-Hughes B, Hannan MT, Tucker KL. Adherence to the 2006 American Heart Association Diet and Lifestyle Recommendations fo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reduction is associated with bone health in older Puerto Ricans. Am J Clin Nutr 2013; 98(5): 1309-1316. 

  19. Beulens JW, Bots ML, Atsma F, Bartelink ML, Prokop M, Geleijnse JM et al. High dietary menaquinone intake is associated with reduced coronary calcification. Atherosclerosis 2009; 203(2): 489-493. 

  20. Choi SN, Jho KH, Chung NY. Evaluation of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bone density, food intake frequency, nutrient intakes, and diet quality of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based on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7; 27(5): 500-511. 

  21. Kim MH. Comparison of chronic disease risk b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women. Korean J Food Nutr 2016; 29(6): 938-945. 

  22. D'Agostino RB, Vasan RS, Pencina MJ, Wolf PA, Cobain M, Massaro JM et al. General cardiovascular risk profile for use in primary care: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2008; 117(6): 743-753. 

  23. Oguoma VM, Nwose EU, Skinner TC, Richards RS, Digban KA, Onyia IC.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10-year risk of develop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a Nigerian population. Int Health 2016; 8(5): 354-359. 

  24. Eastell R, Newman C, Crossman DC. Cardiovascular disease and bone. Arch Biochem Biophys 2010; 503(1): 78-83. 

  25. Shen C, Deng J, Zhou R, Chen J, Fan S, Li Z et al. 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one loss and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 Chinese cohort. Am J Cardiol 2012; 110(8): 1138-1142. 

  26. Lello S, Capozzi A, Scambia G.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 update. Gynecol Endocrinol 2015; 31(8): 590-594. 

  27. Kim CJ, Oh KW, Rhee EJ, Kim KH, Jo SK, Jung CH et al.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erimenopausal Korean women. Clin Endocrinol 2009; 71(1): 18-26. 

  28. Lee JY, Jeong KA, Cha YJ, Kim H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profil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women. Osteroporos 2009; 7(3): 159-167. 

  29. Schulze MB, Hoffmann K, Manson JE, Willett WC, Meigs JB, Weikert C et al. Dietary pattern, inflammation,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women. Am J Clin Nutr 2005; 82(3): 675-684. 

  30. Sadakane A, Tsutsumi A, Gotoh T, Ishikawa S, Ojima T, Kario K et al. Dietary patterns and levels of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in a Japanese population. J Epidemiol 2008; 18(2): 58-67. 

  31. Romaguera D, Angquist L, Du H, Jakobsen MU, Forouhi NG, Halkjaer J et al. Food composition of the diet in relation to changes in waist circumference adjusted for body mass index. PLoS One 2011; 6(8): e23384. 

  32. Smidowicz A, Regula J. Effect of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patterns on human serum C-reactive protein and interleukin-6 concentrations. Adv Nutr 2015; 6(6): 738-747. 

  33. Koh JM, Khang YH, Jung CH, Bae S, Kim DJ, Chung YE et al. Higher circulating hsCRP levels are associated with lower bone mineral density in healthy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evidence for a link between systemic inflammation and osteoporosis. Osteoporos Int 2005; 16(10): 1263-1271. 

  34. Kim EK, Lee JS, Hong HO, Yu CH. Association between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dietary carbohydrates and diabete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J Nutr Health 2009; 42(7): 622-630. 

  35. Bae YJ, Sung CJ. A comparison between postmenopausal osteoporotic women and normal women of their nutrient intakes and the evaluation of diet qual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205-215. 

  36. Kong SH, Kim JH, Hong AR, Cho NH, Shin CS. Dietary calcium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stroke, and fracture in a population with low calcium intake. Am J Clin Nutr 2017; 106(1): 27-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