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 불로고분 자연마당 조류군집 및 서식지 이용 특성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e in Daegu Bulnogoboon Jayeon Madang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5, 2020년, pp.15 - 27  

김정수 (한국생태연구소) ,  남궁형 (한국생태연구소) ,  남상준 ((주) 현우그린) ,  남은희 (한울림조경설계사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ur times on 2005 and 2006, respectively May and October to understand the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ing condition in the Daegu Bulnogoboon Jayeon Madang (DBJM). In this study, 34 species and 332 individuals were observe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sser montanus 22.0...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복원되거나 새로이 조성된 생태계가 조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3) 조류 서식지로서의 불로고분 자연마당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구 불로고분 자연마당의 조류군집 특성과 이들의 서식지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로서 2005년과 2006년 5월과 10월에 각 1회씩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종과 개체수는 모두 34종 332개체였고, 이 중에서 우점종은 참새2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수행한, 대구 불로고분 자연마당의 조류군집 특성과 이들의 서식지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에서 조사 관찰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구 불로고분 자연마당의 조류군집 특성과 이들의 서식지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로서 2005년과 2006년 5월과 10월에 각 1회씩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종과 개체수는 모두 34종 332개체였고, 이 중에서 우점종은 참새22.0%, 까치 18.1%, 직박구리 6.02% 그리고 붉은머리오목눈이 5.72%였고, 종다양도지수는 2.797이었다. 이동 특성에 따른 분류는 텃새 61.7%, 여름철새 26.5% 그리고 겨울철새 11.8%의 순이었다. 번식을 확인하거나 가능성이 높은 24종의 영소길드는 수관층이 50.0%, 수동이 37.5% 그리고 덤불이 12.5%(3종)였다. 취식길드는 번식기 의에 관찰된 31종 중 수관층이 58.1%, 물이 19.3% 그리고 덤불이 16.1%(5종)였고, 비번식기에는 수관층, 물 그리고 덤불을 이용하는 종이 각각 43.5%, 23.9%(7종) 그리고 21.7%의 순이었다.
현대 사회에서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해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급속한 산업화와 공업화로 인한 도시화는 자연환경의 훼손과 파괴를 동반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지방자치 단체 및 시민들의 노력이 필요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적 향상과 여가시간 증가에 따른 다양한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도시공원의 가치는 시민의 접근성, 편의시설 그리고 운영 프로그램 등 인간 중심의 서비스 위주로 평가하였지만, 최근에는 도시지역에서 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고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중요하게 평가한다(Shimazki et al.
급속한 산업화와 공업화로 인한 도시화가 동반한 것은 무엇인가? 급속한 산업화와 공업화로 인한 도시화는 자연환경의 훼손과 파괴를 동반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지방자치 단체 및 시민들의 노력이 필요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적 향상과 여가시간 증가에 따른 다양한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TY?Cha JG?Kang DI and Moon HG. 2019. Characteristics of Bird Populations and Habitat in Sorasan Mt. Nature Garde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Proceeding 29(1): 89-90. (in Korean) 

  2. Helle, P and M Monkkonen. 1990. Forest Successions and Community : Theoretical Aspec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pp. 299-318. In A. Keast eds, Biogeography and Ecology of Forest Bird Community. 

  3. Hong SH and Kwak JI. 2011.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by Vegetation Type of Paridae in Urban Fore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5): 760-76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Lee KJ?Han BH and Lee SD. 2004. Ecological Management Plan and Biotope Structure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5): 2004-201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Lee KW and Lee DP. 2002.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Bird Community in the Urban Park of Gwangju 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1): 94-10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Lee SK?Kim JK and Min HK. 2002. A Study on Habitat for Multiplication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5(3): 143-15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Lim SJ. 2008.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Coniferous Forests of Mt. Namsan and Gwangneung Area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3): 332-33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Kim J and Koo TH. 2003. Influence of the Eco-park Development on Bird Community in Urban Stream.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6(3): 97-10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Kim J?Moon GD and Koo TH. 2004.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ein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1): 19-2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im JK?Lee SK, Min HK and Oh KC. 2002. A Study on Food Resource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Nest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5(3): 135-14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Kwak SJ and Yoo SH. 2000. Redesigning a program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9(3): 563-58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Root, RB. 1967. The niche exploitation pattern of the Blue-gray gnatcatcher. Ecological Monograph 37: 317-350. 

  13. Saura, S and L Pascual-Hortal. 2007. A new habitat availability index to integrate connectivity in landscape conservation planning: Comparison with existing indices and application to a case stud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3: 91-103. 

  14. Shannon, CE and E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onis Press, Ubana. p. 64. 

  15. Shimazaki, A?Y Yamamura?M Senzaki?Y Yabuhara?T Akasaka and F Nakamura. 2016. Urban permeability for birds: An approach combining mobbing-call experiments and circuit theor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9: 167-175. 

  16. Song WK. 2015. Analysis of Bird Species Diversity Response to Structural Conditions of Urban Park - Focused on 26 Urban Parks in Cheonan Cit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3): 65-7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Song WK. 2017. Analysis of Bird Diversity According to Landscape Connectivity and Structure of Urban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1): 131-14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Sorensen, TA. 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Biologiske Skrifter 5(4): 1-34. 

  19. Sukopp, H. 1990. Urban Ecology and Its Application in Europe. pp. 1-22. In H. Sukopp, S. Hejny(Eds.). Urban Ecology: Plants and plant communities in urban environments. SPB Academic Publishing, Hague, Netherlands. p. 2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