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환경 분야 남북협력 증진 방안 연구 - 사례분석 및 전문가 인식조사에 근거한 잠재 협력사업 발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in Natural Environment Sector - Focusing on Identifying Potential Cooperation Projects Based on Case Studies and Expert Surveys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5, 2020년, pp.483 - 490  

허학영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심숙경 (국립생태원 전시교육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급변하는 남북관계에 대응하여, 비정치적·비군사적 영역인 자연환경 분야의 남·북 협력 강화를 통해 한반도 생태공동체 구축 및 지속가능발전 기반 마련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자연환경 분야 대북 지원 사업 및 국제협력 사례분석, 국제협력을 다루고 있는 북한의 국가계획 및 국제사회에 북한이 제안한 협력 사업을 분석하여 잠재 협력 사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사례고찰 및 1차 전문가 설문조사(5명)를 통해 "잠재 협력사업" 15건과 "사업 선정 시 주요 고려인자" 6개(①추진 시급성, ②한반도 연계성(한반도 생태공동체), ③지속가능발전(번영) 기여, ④북한의 수용성, ⑤추진 기반(협력 여건, 예산) 구비, ⑥사업의 지속가능성)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2차 전문가 설문조사(14명)를 통해 우선 사업을 도출하였다. 자연환경 분야 15건의 잠재 남북 협력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위하여 6개 주요 고려 인자를 적용하여 통합·평균한 결과, 사업 추진 우선순위는 ①설악-금강 국제평화공원 지정 추진, ②임농복합경영(agro-forestry) 지원·협력, ③국제적 중요 이동성조류(저어새, 두루미 등) 공동 보전사업, ④남북 생태관광 연계·활성화, ⑤한반도 대표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통합정보 구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우선 협력 사업들은 기존 협력사례와 협력여건을 고려한 자연환경 분야 남북협력 전문가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도출한 결과이며, 향후 실질적 추진은 사업별 성격에 따라 남·북한 간 추진 공감대 형성, 적합한 파트너와 협력체계 구축 등을 포함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n ecological community and lay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Korean Peninsula by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non-political and no-military natural environment sector under the rapidly changing inter-Korean rel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연환경 분야 남북협력의 필요성은 그 동안 남북 간에 수립된 공동선언 등에서 환경 관련 협력사항에 대해 여러 차례 합의한 바 있기 때문에(Table 1), 자연환경 분야 남북 교류·지원·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잠재사업을 발굴하고 이의 구체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북 지원 사업 및 국제협력 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잠재 협력 사업을 발굴하고 우선 사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환경기금(GEF) 지원 사업, 유럽연합(EU) 지원 사업, 유네스코(UNESCO) 지원 사업 등 기존 대북 지원 사업 및 국제 협력 사업 사례를 분석한 이유는? 자연환경분야 남북협력 강화를 위한 잠재 협력사업 발굴을 위해 지구환경기금(GEF) 지원 사업, 유럽연합(EU) 지원 사업, 유네스코(UNESCO) 지원 사업 등 기존 대북 지원 사업 및 국제 협력 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연환경분야 국제협력 내용을 담고 있는 북한의 국가계획인 북한 UN 전략 프레임워크 2017-2021(DPRK United Nations Strategic Framework 2017-2021, UN & MFA of DPRK, 2017), 북한 FAO 협력 프레임워크 2012-2015(Country Programming Framework(CPF) 2012-2015 for the Cooperation and Partnership between FAO and the Government of DPRK, FAO, 2012), 북한 자발적 감축 목표(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of DPRK, 2016),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전략 및 이행계획 2015-2024(DPRK National Agroforestry Strategy and Action Plan 2015-2024, Ministry of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 2015), 제2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 및 이행계획(The 2nd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DPRK, 2007) 등을 살펴보고 자연환경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GEF 지원 사업의 경우, 주요 사업은? GEF 지원 사업의 경우, 주요 사업3)은 ①생물다양성협약(CBD) 국가 전략 수립 및 갱신, ②묘향산 자연보호구의 생물다양성 보호계획, ③조선서해연안 생물다양성 관리계획 등이다. GEF가 자금을 지원하고 UNDP와 UNEP 같은 국제기구가 실행기관이나 협력파트너였으며, 북한 내 사업 추진 및 협력기관은 국가환경보호위원회, 국토환경보호성, 국가과학원 둥이였다. 유럽연합(EU) 대북지원 사업은 역량강화 프로그램(세미나, 워크숍, 국외연수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한스자이델재단 (Hans Seidel Foundation Korea: HSF)이 사업을 주도하여 실행하고 북한 내에서는 국토환경보호성 산하 산림과학원 산림 경영학연구소 등이 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북 지원 사업 및 국제협력 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잠재 협력 사업을 발굴하고 우선 사업을 제안하고자 한 이유는? 자연환경 분야 남북협력의 필요성은 그 동안 남북 간에 수립된 공동선언 등에서 환경 관련 협력사항에 대해 여러 차례 합의한 바 있기 때문에(Table 1), 자연환경 분야 남북 교류·지원·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잠재사업을 발굴하고 이의 구체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북 지원 사업 및 국제협력 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잠재 협력 사업을 발굴하고 우선 사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DPR Korea(2007) The 2nd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of DPRK. 123pp. 

  2. DPR Korea(2016)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INDC) of DPRK. 14pp. 

  3. Martin Holdgate(1999) The Green Web: A Union for World Conservation. Earthscan Publications Ltd. UK. 328pp. 

  4. Ministry of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MOLEP)(2015) DPRK National Agroforestry Strategy and Action Plan 2015-2024. 24pp. 

  5. UN and MFA of DPR Korea(2017) DPRK United Nations Strategic Framework 2017-2021. 30pp. 

  6. UN FAO and DPR Korea(2012) Country Programming Framework(CPF) 2012-2015 for the Cooperation and Partnership between FAO and the Government of DPRK. 51pp. 

  7. Yoon, Y.K., J.S. Jeon and S.B. Kim(2015) North Korea in the World Viewed by Network. Neul-Poom PLUS. 232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