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호또래교수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공변 추론
Covariational Reasoning of Ninth Graders in Reciprocal Peer Tutoring Proces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3 no.3, 2020년, pp.323 - 349  

길승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신재홍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공변 추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학생마다 또래교수자와 또래학습자의 역할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상호또래교수과정을 통한 교수 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또래교수자로서 자신의 공변 추론을 가르치는 경험을 하고, 또래학습자로서 다른 학생의 공변 추론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상호또래교수과정을 통한 교수 학습과정에서 비계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이질집단으로 모둠을 형성하였다. 양적 그래프 유형 4문항, 질적 그래프 유형 4문항을 모둠에 제시하고 총 8차시에 걸친 상호또래교수를 진행하여 나타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호또래교수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보다 높은 수준의 공변 추론 경험의 기회를 제공 받아 공변 추론 수준의 상승이 일어났다. 상호또래교수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공변 추론을 수정하거나 보완하여 추론의 완성도를 높였다. 문제해결 결과의 피드백을 위해 최소한의 교사의 개입이나 수준 높은 또래의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eight reciprocal peer tutoring classes where each student took either role of a tutor or a tutee to study covariational reasoning in ninth graders. Stu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teach their peers with their covariational reasoning as tutors, and at the same tim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수의 그래프의 역할은? 함수는 다양한 현상 속의 수학적 관계를 이해하고 표현함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 함수의 그래프는 수학적 개념의 이해를 더 깊고 풍부하게 하고, 내용을 더 높은 수준으로 전이시키는 핵심적인 표현 수단일 뿐 아니라 영역을 연결하고 전체의 흐름을 통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송정화, 권오남, 2002). 이러한 함수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한 양이 변함에 따라 다른 양이 하나씩 정해지는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도입(교육부, 2015, p.
함수의 그래프에서 양적 접근이란? 또, 함수의 그래프는 수치적인 값에 초점을 두는 양적 접근과 수치적인 값에 초점을 두지 않은 질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남희 외, 2011, 재인용; Krabbendam, 1982). 양적 접근은 정확한 수치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좌표평면 또는 좌표공간에 순서쌍을 점으로 표현하고 선으로 정확하게 그림으로써 변화하는 특징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질적 접근이란 개략적으로 전체적인 변화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산의 모양대로 그래프를 그린 뒤 산의 정상과 경사의 변화 등을 다른 사람에게 전반적으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주어진 상황을 수치적인 값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표현하고 설명하는 것이다(김남희 외, 2011).
함수의 그래프 접근 방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함수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학생들이 공변 관점에서 관찰하거나 분석하는 것은 함수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 단계부터 대학수학까지 함수 학습 전반에 걸쳐 의미가 있다(이동근, 문민정, 신재홍, 2015). 또, 함수의 그래프는 수치적인 값에 초점을 두는 양적 접근과 수치적인 값에 초점을 두지 않은 질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남희 외, 2011, 재인용; Krabbendam, 1982). 양적 접근은 정확한 수치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좌표평면 또는 좌표공간에 순서쌍을 점으로 표현하고 선으로 정확하게 그림으로써 변화하는 특징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가현 (2015). 또래교수 담론에서의 집단 구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281-309. 

  2. 김구연, 전미현 (2017). 중학교 수학교과서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함수 학습기회 탐색. 학교수학, 19(2), 289-317. 

  3.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홍진곤 (2011).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4. 김미경 (2011). 또래교수 학습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5. 김선희, 백희수 (2016). 사회와 과학 및 외국 교과서 분석을 통한 중학교 수학과 함수의 그래프 교육의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445-468. 

  6. 김채연, 신재홍 (2016). 연속적으로 공변하는 두 양에 대한 추론의 차이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55(3), 251-279. 

  7.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 

  8. 마민영, 신재홍 (2016). 대수 문장제의 해결에서 드러나는 중등 영재 학생간의 공변 추론 수준 비교 및 분석. 학교수학, 18(1), 43-59. 

  9. 마민영, 신재홍, 이수진, 박종희 (2016). 중학생들이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발달. 학교수학, 18(3), 457-478. 

  10. 모성준 (2013). 함수적 상황에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공변 수준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1. 문혜선 (2015). 함수적 상황과 그래프 사이의 번역 활동에서 나타나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특징 분석 : 공변 추론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2. 박종희, 신재홍, 이수진, 마민영 (2017). 그래프 유형에 따른 두 공변 추론 수준 이론의 적용 및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7(1), 23-49. 

  13. 박현화 (2007).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서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적 성취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4. 백정은, 권혁진 (2007).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4), 487-504. 

  15. 서창범 (2016). 학생들의 공변 추론 수준에 따른 함수 문제해결의 특징.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6. 송정화, 권오남 (2002).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학교수학, 4(2), 161-192. 

  17. 윤호연 (2017). 일차함수적상황과 이차함수적상황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공변추론 비교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8. 이경은 (2016). 능력에 따른 또래교수 짝 구성 방법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19. 이규명, 박은혜 (2000).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장애 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정평가연구, 3(1), 113-128. 

  20. 이동근, 문민정, 신재홍 (2015). 이차함수에서 두 변량사이의 관계 인식 및 표현의 발달 과정 분석: 민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논문집, 54(4), 299-315. 

  21. 이정미 (2007). 중학교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 나타난 의사소통 특성 분석.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2. 이화영, 류현아, 장경윤 (2009). 함수의 그래프 표현 및 그래프 해석 지도 가능성 탐색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1), 131-145. 

  23. 정미진, 권성룡 (2011).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3(1), 127-153. 

  24. 정보경 (2006). 상호적인 또래지도가 수준별 하반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5. 최계현, 한혜숙 (2013).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논문집, 52(3), 423-442. 

  26. 최계현, 황우형 (2014). 상호또래교수에서의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53(1), 1-24. 

  27. Carlson, M., Jacobs, S., Coe, E., Larsen, S., & Hsu, E. (2002). Applying covariational reasoning while modeling dynamic events : A framework and a stud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5), 352-378. 

  28. Confrey, J. & Smith, E. (1994). Exponential functions, rate of change, and the multiplicative uni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6(2), 135-164. 

  29. Fantuzzo, J. W., King, J. A., & Heller, L. R. (1992).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and school adjustment: A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331-339. 

  30. Krabbendam, H. (1982). The non-quantitative way of describing if relations and the role of graphs. Conference of functions report 1 (pp. 125-146). Enschede: SLO Founda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31. Steffe, L. P., & Thompson, P. W. (2000). Teaching experiment methodology: Underlying principles and essential elements. In R. Lesh & A. E. Kelly (Eds.),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p. 267-307). Hillsdale, NJ: Erlbaum. 

  32. Thompson, P. W., & Carlson, M. P. (2017). Variation, covariation, and functions: Foundational ways of thinking mathematically. In J. Cai (Ed.), Compendium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421-456).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3. Wagner, L. (1990).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n peer teaching in education. In H. C. Foot, M. J. Morgan, & R. G. Shute (Eds.), Children helping children (pp. 21-42). New York: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