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계층갈등의 지형과 공감사회: 코로나 시대의 극복방안
Class Conflict and Empathetic Society in Korea: Crisis Management in the COVID-19 Era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3 no.3, 2020년, pp.197 - 208  

서문기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계층갈등의 지형을 규명하고 불평등의 전개양상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공감사회에 관한 틀을 마련함으로써 코로나 시대의 극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계층에 대한 객관적 차원뿐만 아니라 주관적 차원인 삶에 대한 만족도와 계층의식은 비례하며, 계층적 지위일치의 구성은 양극화를 보여준다. 왜곡된 분배구조와 사회가치에 의해 소득 및 자산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교육격차와 계층의 구조화로 사회이동의 가능성을 굴절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기회균등이나 제도적 공정성만으로는 치유하기 어려우며, 문화적 가치체계에 대한 냉철한 진단과 과감한 개혁이 필요하다. 코로나 위기극복과정을 통해 과거로 회귀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잘못된 의식과 관행을 바로 잡아 국가와 사회구성원의 정합성을 재정립해야 한다. 나이가 경제와 글로벌 및 디지털 차원의 혁신과정을 통해 국가발전보다 사회발전을 우선시하고 구성원의 삶 자체를 중시하는 뉴 노멀 시대의 대전환이 요구된다. 갈등해결의 지속성은 사회적 토대로서 공동체에 관한 연대의식에 달려 있으며, 사회구성원의 신뢰와 소통에 바탕을 두는 공감사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class conflict in Korea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a empathetic society.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class consciousness are in direct proportion, and status consistency signifies polarization. D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층갈등의 존재는 정부의 공공정책에 의한 조정 및 제어 역할을 요구하고 사회구성원의 정치적 압력을 통해서 표출이 되지만, 갈등의 골을 메꿀 수 있는 단초는 근원적으로 잃어버린 공동체에 대한 재발견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계층갈등의 지형을 규명하고 불평등의 전개양상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공감사회에 관한 틀을 마련함으로써 코로나 시대의 극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문제제기는 계층갈등의 탈(脫)이념화와 탈(脫)구조화를 촉진시키고 향후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규범적 가치가 무엇인가를 함의한다. 그것은 국가와 사회의 정합성이라는 토대 위에서 사회구성원 및 집단의 다원화, 분권화, 유연화를 통해 사회적 연대감을 추구하는 공감사회로의 전환이다(Rifkin,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층갈등의 효과가 가져온 결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계층갈등의 효과는 근본적으로 사회적 권위를 붕괴시키고 사회규범의 부재현상을 초래하여 구성원들의 일탈적 사고방식과 행동을 유발하고 있으며, 사회 각 영역에서 부정부패를 조장하고 만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우선 상류계층은 부동산 및 주식 등 자산의 유리한 위치를 점하여 이자 및 이윤의 높은 회수율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탈세와 뇌물 등 각종 불법적 방법을 동원하여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축적하는 사례가 보편화되고 있다(정준호, 2019).
계층갈등에서 언론에 보도되거나 사회적 쟁점이 되는 갈등사례가 실제로 갈등의 실체를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언론에 보도되거나 사회적 쟁점이 되는 갈등사례는 실제로 갈등의 실체를 반영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계층갈등의 감춰진 영역인 불평등구조는 표출된 영역보다 갈등의 이면에서 더 크게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형은 갈등에 관한 인지적 차원에 속한 것이지 갈등의 상황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상위 1%보다 상위 10% 계층으로의 소득 집중도가 더 크며 이들이 전체 소득의 절반 가까운 몫을 가져가는 상태에서 2000년 이후 소득집중도가 계속 커지는 원인은 무엇인가? 문제는 상위 1%보다 상위 10% 계층으로의 소득 집중도가 더 크며 이들이 전체 소득의 절반 가까운 몫을 가져가는 상태에서 2000년 이후 소득집중도가 계속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상위 계층의 금융자산에서 나오는 이자 및 배당, 부동산 소득 등 비(非)근로소득의 편차와 함께 비정규직의 증가, 저소득층의 지속적인 몰락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며, 2018년 자영업 가구의 소득불평등(0.492)이 근로자 가구의 지니계수(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영미.한준, 2007, "금융위기 이후 한국 소득불평등구조의 변화: 소득불평등 분해, 1998-2005," 한국사회학 41(5), pp.35-63. 

  2. 서문기, 2004,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갈등해결 시스템을 모색하며," 한국사회학 38(6), pp.195-218. 

  3. 서문기, 2014,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와 계층갈등," 국제지역연구 23(1), pp.27-52. 

  4. 서문기, 2019, "사이버공간과 글로벌 공감사회,"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2), pp.111-122. 

  5. 신광영, 2013, 한국 사회 불평등연구, 후마니타스. 

  6. 안효미.남기범, 2019, "자선에서 연대로, 동정에서 공감으로: 노란봉투 캠페인의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2), pp.141-159. 

  7. 이재열, 2019,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21세기북스. 

  8. 장원호.정수희, 2019, "도시의 문화적 공감대로서 콘텐츠씬의 인식: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2), pp.123-140. 

  9. 장원호.김동윤.서문기, 2019, 공감, 대한민국을 바꾼다, 푸른길. 

  10. 정재훈.김경민, 2014, "교육의 공간 불평등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385-401. 

  11. 정준호, 2019,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자산 격차의 요인분해,"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2), pp.196-213. 

  12. 조희연.김동춘.오유석 편, 2009, 한국 민주화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동학: '사회경제적 독점'의 변형 연구, 한울아카데미. 

  13. 기획재정부, 2020, GDP 대비 국가채무 전망. 

  14. 통계청, 2020, 사회조사, http://kosis.kr/statisticsList/ (최종열람일: 2020년 8월 15일). 

  15. 한국은행, 2020, 통화신용정책보고서. 

  16. 한국일보, 2018, 한국 사회갈등 설문조사,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 (최종열람일: 2019년 10월 15일). 

  17. Acemoglu, D. and Robinson, J., 2012, Why Nations Fail: The Origins of Power, Prosperity, and Poverty, NY: Crown Publishing. 

  18. Alvaredo, F., Chancel, L., Piketty, T., Saez, E. and Zucman, G., 2018, The World Inequality Report, World Inequality Lab, https://wir2018.wid.world/ (accessed on 20 August 2020). 

  19. Bevir, M., 2006, "Democratic Governance: Systems and Radical Perspectiv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3), pp.426-36. 

  20. Bowles, S. and Gintis, H., 1998, Recasting Egalitarianism: New Rules for Communities, States and Markets, NY: Verso. 

  21. Gallup, 2019, Global Well-Being Report, Washington, D.C.: Gallup Poll. 

  22. Goldthorpe, J., 1996, "Class Analysis and the Reorientation of Class Theory: The Case of Persisting, Differentials in Educational Attainment," Bitish Journal of Sociology 47(3), pp.481-505. 

  23. Halpern, J. and Weinstein, H., 2004, "Rehumanizing the Other: Empathy and Reconciliation," Human Rights Quarterly 26(3), pp.561-583. 

  24. Helliwell, J., Layard, R. and Sachs, J.(eds.), 2019, World Happiness Report, NY: UN-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25. Komesar, N., 2001, Law's Limits: The Rule of Law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Righ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Mayer, B., 2009, Staying with Conflict: A Strategic Approach to Ongoing Disputes, San Francisco: Jossey-Bass. 

  27. Mueller, D., 1997, Perspectives on Public Cho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Nye, J., 1997, Why People Don't Trust Government?,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9. OECD, 2019, A Broken Social Elevator? How to Promote Social Mobility,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30. Ostrom, E., 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Pawar, M. and Cox, D.(eds.), 2013, Social Development: Critical Themes and Perspectives, London: Routledge. 

  32. Rifkin, J., 2010, The 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Cambridge: Polity Press. 

  33. Roemer, J., 1998, Theories of Distributive Justic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4. Schellenburg, J., 1982, The Science of Conflic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5. Shapiro, T., 2000, Great Divides, Mountain View, NY: Mayfield Publishing. 

  36. Suh, M., 1998, Developmental Transformation in South Korea, NY: Praeger. 

  37. Throop, J., 2010, "Latitudes of Loss: On the Vicissitudes of Empathy," American Ethnologist 37(4), pp.771-782. 

  38. Weller, M. and Wolff, S., 2009, Autonomy, Self-governance and Conflict Resolution, London: Routledge. 

  39. Wilkinson, R. and Pickett, K., 2010, The Spirit Level: Why More Equal Societies Almost Always Do Better, London: Allen Lane. 

  40. Williamson, O., 1996, The Mechanism of Governanc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41. Yarn, D., 1999, Dictionary of Conflict Resolu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