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COVID-19) 관련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가 코로나19 예방 행동 및 정보 공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VID-19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on its Preventive Behaviors and Information Sharing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9 no.5, 2020년, pp.65 - 81  

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채상미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ers' perceptions of COVID-19 risk on their seeking and processing of relevant information as COVID-19 emerges and spreads worldwide in 2019. We apply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RISP Model) to verify whether users' COVID-19 related 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수의 선행 연구는 개인이 특정 사항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정보 추구 활동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획득할수록 이와 관련된 긍정적인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관련 교육 및 지식 습득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관련 교육 강좌 개설 등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습득하여도 이러한 정보 탐색 행동이 항상 관련 감염 예방 행동까지 이어지지 못함을 나타냄에 따라, 향후 개인의 감염 예방 행동을 비롯하여 건강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선 관련 정보 탐색, 학습 이외에 수반되어야 할 다양한 요인의 모색이 함께 필요함을 보여준다.
  •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행동 증진에 코로나19 관련 정보의 학습을 바탕으로 해당 병이 개인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인지하는 정도의 관여도 문제를 비롯하여 개인이 스스로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스스로를 얼마나 보호할 수 있는지 등의 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질병 관련 정보가 위협소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정보가 이용자의 공포감과 보호행동을 이끌어내어 궁극적으로 건강 증진 의사를 유도함을 설명하는 보호동기이론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신규 질병의 위험 상황에서 관련 정보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설명하는 위험정보탐색처리 모델과 질병에 대한 개인의 인지된 인지가 보호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나타내는 보호동기이론과의 종합적 고려 필요성을 제시한다.
  • 이는 향후 국가 차원에서 코로나19 관련 개인의 감염 예방 행위와 더불어 개인의 건강 관련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또한, 코로나19를 비롯하여 각종 정보가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주로 생성 및 전파되는 오늘날의 정보 공유 환경에 맞추어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의 정보 습득, 탐색, 공유 행동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코로나19와 더불어 의료 및 보건의 차원에서 국민의 건강 증진 및 국가 위생 개선을 위한 유사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코로나19의 등장에 따라, 최근 국가적 해결방안의 일환으로 개인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위생 수칙 준수 캠페인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개인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처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처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탐색하여 그 요인들과의 관계를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을 바탕으로 밝혔다.
  • 특히, 비대면 서비스는 개인의 능동적인 정보 탐색과 처리를 주로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온라인 환경에서 서비스가 전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온라인 환경에서 개인의 정보에 대한 태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의 상황에서 개인의 위험 인지와 정보의 불충분성이 관련 정보 탐색과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향후, 각종 비대면 서비스의 설계와 개인의 수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인지된 위기의식 등의 사회적 환경 요인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반영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위험정보 탐색 처리 모델을 바탕으로 개인의 인지된 위험과 정보 불충분성의 관계를 밝히고 각각 정보 탐색 및 정보 추구 행동이 관련 정보 정보공유 및 예방 행위인 결과론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앞서 제시된 [그림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수립된 총 7개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자 Smart PLS 3.
  • 넷째,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를 비롯하여 각종 질병 및 자연재해 등의 위기상황에 대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 형태의 공식적인 정보 유통 채널의 개설과 운영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개인이 이와 관련된 정보를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자발적으로 탐색하고 처리하는 과정이 개인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음을 밝혔다. 이러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개인이 인지하는 위험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각종 질병, 신규 전염병, 자연재해 등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채널을 통하여 개인이 효과적으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 Model, RISP) 을 바탕으로 개인이 코로나19에 대하여 인지하는 위험 정도와 이와 관련된 개인의 정보 추구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코로나19 관련 정보에 대하여 개인이 지각하는 불충분성과 온라인에서 개인의 코로나19 정보의 탐색 및 처리 행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러한 개인의 정보 행동이 정보활동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표이다.
  • (2014)은 기존의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에 미디어 이용 효과를 추가하여 미디어 이용이 개인의 위험지각과 더불어 부정적 감정에도 영향을 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이용이 개인의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에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최근 위험 관련 정보를 탐색과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 개인의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에 대한 태도의 역할을 살펴볼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이는 기존에는 개인이 정보의 불충분성을 인지하는 과정에 있어서 개인의 위험 지각 이외에 친구, 가족 등의 주변인이 관련 이슈에 대하여 많이 알고 있거나, 개인에게 기대하는 정보의 수준이 높을 때 주로 형성된 것과는 다르게 사회, 환경적 변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Calhoun, 2012).
  •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개인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처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처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탐색하여 그 요인들과의 관계를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을 바탕으로 밝혔다.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은 주로 질병이나 재해가 발생함에 따라, 개인이 관련 정보를 어떻게 찾고 처리하는지 분석한 것에 최적화된 연구 모델로서,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등장한 코로나19에 대한 개인의 정보관련 행동 역시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로 설명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 그러나 기존의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 기반의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정보탐색과 처리 행동을 최종 종속 변인으로 분석함에 따라, 이와 같은 정보 관련 행동들이 추가적인 태도나 행동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위험 상황에서 개인의 정보 탐색과 처리 행동이 타인에게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공유 행위와 예방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소셜미디어에서 잘못된 코로나19 관련 정보의 확산은 개인을 혼란시키는 동시에 국가의 전반적인 질서를 훼손하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로 진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빠르게 생성 및 전파되는 개인의 정보 관련 행동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는 개인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탐색하게 되는 심리적 요인을 통하여 정보의 획득이 실질적인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소셜미디어에서 코로나19 관련 올바른 정보의 생성과 확산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라는 새로운 전염병이 등장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인의 정보 획득 욕구가 증가할 것으로 가정하여 코로나 19의 위기 상황에서 개인의 관련 정보 탐색과 처리 행동이 어떻게 수행되는 지를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을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습득하여도 이러한 정보 탐색 행동이 항상 관련 감염 예방 행동까지 이어지지 못함을 나타냄에 따라, 향후 개인의 감염 예방 행동을 비롯하여 건강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선 관련 정보 탐색, 학습 이외에 수반되어야 할 다양한 요인의 모색이 함께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행동 증진에 코로나19 관련 정보의 학습을 바탕으로 해당 병이 개인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인지하는 정도의 관여도 문제를 비롯하여 개인이 스스로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스스로를 얼마나 보호할 수 있는지 등의 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질병 관련 정보가 위협소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정보가 이용자의 공포감과 보호행동을 이끌어내어 궁극적으로 건강 증진 의사를 유도함을 설명하는 보호동기이론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 또한, 본 연구는 질병 관련 정보가 위협소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정보가 이용자의 공포감과 보호행동을 이끌어내어 궁극적으로 건강 증진 의사를 유도함을 설명하는 보호동기이론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신규 질병의 위험 상황에서 관련 정보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설명하는 위험정보탐색처리 모델과 질병에 대한 개인의 인지된 인지가 보호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나타내는 보호동기이론과의 종합적 고려 필요성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델(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 Model, RISP) 을 바탕으로 개인이 코로나19에 대하여 인지하는 위험 정도와 이와 관련된 개인의 정보 추구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코로나19 관련 정보에 대하여 개인이 지각하는 불충분성과 온라인에서 개인의 코로나19 정보의 탐색 및 처리 행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러한 개인의 정보 행동이 정보활동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표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관한 정보를 수용한 뒤, 개인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을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가설 설정

  • , 2001).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정보 탐색과 처리가 증가할수록 개인의 관련 예방 행동은 증가할 것이라는 다음의 가설을 각각 제시한다.
  • 따라서 개인이 인지하는 위험 상황은 관련 사항에서 탈피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등을 모색하는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개인에게 정보 불충분성을 인지시키는 것으로 본 연구는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의 위기상황에서 개인의 위험인지 정도는 코로나19 관련 정보에 대하여 개인이 충분히 알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는 정보 불충분성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다음의 가설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종이신문, 전문 서적 등을 모두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개인의 정보 탐색과 처리의 행동 변화를 살펴본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온라인을 통한 정보 탐색과 처리로 제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관련하여 개인이 인지하는 정보의 불충분성은 관련하여 온라인 정보 탐색 및 처리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다음의 가설을 각각 제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구윤희, 김활빈, 노기영, "위험정보 처리가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미세먼지 정보의 체계적 처리와 주변적 처리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24권, 제2호, 2020, 28-51. 

  2. 서미혜, "메르스 관련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가 메르스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형의 확장과 SNS 이용 정도에 따른 조절 효과를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16, 116-140. 

  3. 조성은, 유선욱, 최양호, 김봉철, 최명일, 김유미, 최은비, 김효숙, "위험지각태도와 규범이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우리나라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Rpa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5권, 제11호, 2011, 58-98. 

  4. 차유리, 조재희,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미세먼지 위험 예방행위 의도에 관한 사회인지 접근의 Risp, Hbm 적용모형 : 정보 노출, 주관적 규범, 부정적 감정, 위험 지각의 역할", 한국언론학보, 제63권, 제6호, 2019, 96-142. 

  5.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2, 1991, 179-211. 

  6. Bauer, S. and E.W. Bernroider, "From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to Reasoned Compliant Action : Analyzing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in a Large Banking Organization", ACM SIGMIS Database : the DATABASE for Advances in Information Systems, Vol.48, No.3, 2017, 44-68. 

  7. Brinker, D.L., Y. Zhou, M.L. Acevedo Callejas, and E.L. MacGeorge, "Increasing Information Seeking About Antibiotic Risks : Testing a Clinical Intervention Message Using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Science Communication, Vol. 42, No.2, 2020, 218-243. 

  8. Calhoun, G.J., "Seeking Safety? Applying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to Sexual Aggression on a College Campus", Master's Thesis, Marquette University, 2012. 

  9. Champion, V.L., C.S. Skinner, U. Menon, S. Rawl, R.B. Giesler, P. Monahan, and J. Daggy, "A breast cancer fear scale : psychometric development",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9, No.6, 2004, 753-762. 

  10. Choi, D.-H., W. Yoo, G.-Y. Noh, and K. Park,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Risk Perceptions During the Mers Outbreak in South Korea",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72, 2017, 422-431. 

  11. Choudhury, V. and E.J.M.Q. Karahanna, "The Relative Advantage of Electronic Channels : A Multidimensional View", MIS Quarterly, Vol.32, No.1, 2008, 179-200. 

  12. Deline, M.B. and L.A. Kahlor, "Planned Risk Information Avoidance : A Proposed Theoretical Model", Communication Theory, Vol. 29, No.3, 2019, 360-382. 

  13. Deng, Z., S. Liu, and O. Hinz, "The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usage behavior intention of Chinese consumers through mobile phones", Information Technology & People, Vol.28, No.2, 2015, 405-423. 

  14. Didarloo, A., B. Nabilou, and H.R. Khalkhali, "Psychosocial Predictors of Breast Self-Examination Behavior among Female Students : An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Using Logistic Regression", BMC Public Health, Vol.17, No.1, 2017, 1-8. 

  15. Gefen, D. and D. Straub,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16, No.1, 2005, 91-109. 

  16. Griffin, R.J., K. Neuwirth, S. Dunwoody, and J. Giese, "Information Sufficiency and Risk Communication", Media Psychology, Vol.6, No.1, 2004, 23-61. 

  17. Griffin, R.J., S. Dunwoody, and K. Neuwirth, "Proposed Model of the Relationship of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to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Behaviors", Environmental Research, Vol.80, No.2, 1999, S230-S245. 

  18. Hmielowski, J.D., M.Y. Wang, and R.R. Donaway, "Expanding the Political Philosophy Dimension of the Risp Model : Examining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Cultural Cognition", Risk Analysis, Vol.38, No.9, 2018, 1891-1903. 

  19. Ho, S.S., B.H. Detenber, S. Rosenthal, and E.W. Lee, "Seeking Information About Climate Change : Effects of Media Use in an Extended Prism", Science Communication, Vol.36, No.3, 2014, 270-295. 

  20. Hovick, S.R., L. Kahlor, and M.-C. Liang, "Personal Cancer Knowledge and Information Seeking through Prism : The Planned Risk Information Seeking Model",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19, No.4, 2014, 511-527. 

  21. Hsu, C.L. and J.C. Lin, "Acceptance of Blog Usage : The Roles of Technology Acceptance, Social Influence and Knowledge Sharing Motiv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5, No.1, 2008, 65-74. 

  22. Hubner, A.Y. and S.R. Hovick, "Understanding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During an Infectious Disease Outbreak : The Case of Zika Virus", Risk Analysis, Vol.40, No.6, 2020, 1212-1225. 

  23. Kahlor, L., "Prism : A Planned Risk Information Seeking Model", Health Communication, Vol.25, No.4, 2010, 345-356. 

  24. Keil, M., B.C. Tan, K.-K. Wei, T. Saarinen, V. Tuunainen, and A. Wassenaar, "A Cross-Cultural Study on Escalation of Commitment Behavior in Software Projects", MIS Quarterly, 2020, 299-325. 

  25. Kim, H.K. and Y.J.R.A. Kim,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About Particulate Air Pollution in South Korea : The Roles of Cultural Worldview", Risk Analysis, Vol. 39, No.5, 2019, 1071-1087. 

  26. Lambert, S.D. and C.G. Loiselle,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7, No.8, 2007, 1006-1019. 

  27. Lee, M., Y. Ju, and M. You, "The Effects of Social Determinants on Public Health Emergency Preparedness Mediated by Health Communication : The 2015 Mers Outbreak in South Korea", Health Communication, Vol.35, No.11, 2019, 1396-1406. 

  28. Leng et al., "Analysis of misinformation during the COVID-19 outbreak in China :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entanglements", 2020. Available at https://arxiv.org/abs/2005.10414 (Accessed May 21. 2020). 

  29. Meijnders, A.L., C.J.H. Midden, and H.A.M. Wilkie,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_2$ risks", Risk Analysis, Vol. 21, No.5, 2002, 955-966. 

  30. Oh, S.-H., H.-J. Paek, and T. Hove, "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s, Genre-Specific Media Effects, and Risk Perceptions : The Case of H1n1 Influenza in South Korea", Asian J ournal of Communication, Vol.25, No.1, 2015, 14-32. 

  31. Organization, W.H.,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 Situation Report, 9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32. Pian, W., S. Song, and Y. Zhang, "Consumer Health Information Needs : A Systematic Review of Measure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57, No.2, 2020, 102077. 

  33. Rimal, R.N., J.A. Flora, and C. Schooler, "Achieving Improvements in Overall Health Orientation : Effects of Campaign Exposure, Information Seeking, and Health Media Use",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3, 1999, 322-348. 

  34. Seo, M., "Effects of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on Mers Preventive Behaviors and Moderating Roles of Sns Use During 2015 Mers Outbreak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78, 2016, 116-140. 

  35. Slovic, P., M.L. Finucane, E. Peters, and D.G. MacGregor, "Risk as Analysis and Risk as Feelings : Some Thoughts About Affect, Reason, Risk, and Rationality", Risk Analysis :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4, No.2, 2004, 311-322. 

  36. Son, B.W. and C. South-Winter, "Human Behavior Impacts on Health Care", Journal of International & Interdisciplinary Business Research, Vol.5, No.1, 2018, 138-146. 

  37. Srite, M. and E. Karahanna, "The Role of Espoused National Cultural Values in Technology Acceptance", MIS Quarterly, Vol.30, No.3, 2006, 679-704. 

  38. ter Huurne, E.F., R.J. Griffin, and J.M. Gutteling, "Risk Information Seeking among Us and Dutch Residents : An Application of the Model of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Science Communication, Vol.31, No.2, 2009, 215-237. 

  39. Xiao, N., R. Sharman, H.R. Rao, and S. Upadhyaya, "Factors Influencing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 An Empirical Analysis of a National Cancer-Related Survey", Decision Support Systems, Vol.57, 2014, 417-427. 

  40. Yang, Z.J., A.M. Aloe, and T.H. Feeley,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 A Meta-Analysi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4, No.1, 2014, 20-41. 

  41. Yoo, W., D.-H. Choi, and K. Park, "The Effects of SNS Communication : How Express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Predict Mers-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in South Korea",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2, 2016, 34-43. 

  42. Yoo, W., H.-J. Paek, and T. Hove, "Differential Effects of Content-Oriented Versus User-Oriented Social Media on Risk Percep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Health Communication, Vol.35, No.1, 2020, 99-109. 

  43. Zha, X., J. Li, Y.J.B. Yan, and I. Technology, "Advertising Value and Credibility Transfer : Attitude Towards Web Advertising and Online Information Acquisition", Journal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Vol.34, No.5, 2015, 520-532. 

  44. Zhang, L., R. Pavur, P. York, and C. Amos, "Testing a Model of Users' Web Risk Information Seeking Intention", Informing Scienc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n Emerging & Transdiscipline, Vol.16, 2013, 001-018. 

  45. Zhao, X. and X. Cai, "The Role of Risk, Efficacy, and Anxiety in Smokers' Cancer Information Seeking", Health Communication, Vol. 24, No.3, 2009, 259-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