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 개발
Development of natural sunscreen using plant extrac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5, 2020년, pp.1138 - 1150  

문지선 (중원대학교 의료뷰티케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조사하여 추후,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33종의 식물 추출물들의 자외선 차단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외선 파장 280~400nm 사이의 흡광도 스펙트럼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력을 갖는 것으로 보이는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녹차, 감초, 방풍, 칡, 그라비올라, 밀싹, 상백피, 가시박, 옻, 등 11종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식물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정도를 살펴보고, 이로부터 다시 자외선 차단 능력과 항산화 활성이 동시에 우수한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감초추출물 3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황금, 홉, 감초추출물을 1:1:1로 혼합하여 겔 형태의 크림을 제조하고, 이 크림이 가지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배양된 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보여주는 세포 손상 방어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선정된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은 자외선 흡수 능력에서 상호 보완적이며, 세포 손상 방어 효과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결정할 경우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a sunscreen with antioxidant effects by simultaneously investigating the antioxidant and UV protection capabilities of various plant extracts. First, to investigate the UV-blocking ability of 33 kinds of plant extracts, the absorbance spectrum b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조사하여 추후 항산화 효과가 있는 천연 자외선 차단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280 ~ 400 nm 영역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력을 갖는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녹차, 감초, 방풍, 칡, 그라비올라, 밀싹, 상백피, 가시박, 옻, 등 11종의 식물 추출물을 선별하였다.
  • 따라서 효과적인 항노화 화장품 성분은 자외선 차단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들이 더 바람직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조사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외선차단제의 역할은? 자외선에 대한 피부의 노출은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며 인간의 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과도한 자외선의 노출은 피부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일으킨다. 자외선차단제는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산란, 반사시켜 물리적, 화학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12, 13, 14]. 자외선차단제의 효과는 자외선 조사 시 정상 건강인에게 나타나는 피부 홍반 반응, 즉 자외선차단제 도포 시에 대한 도포하지 않은 시의 최소홍반량의 비로 산출되는 자외선차단지수로 나타낸다.
자외선이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은? 자외선은 피부병의 광선치료, 비타민 D의 피부 내 합성, 살균, 광합성 등 이로운 측면이 있는 반면[9], 일광화상, 색소침착, 피부암 등 각 종 피부질환과 백내장을 유발하고 면역체계에 영향을 주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10, 11]. 자외선에 대한 피부의 노출은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며 인간의 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과도한 자외선의 노출은 피부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일으킨다.
천연 자외선 차단제 개발 실험 결과, 우수한 자외선 차단 능력을 갖는 식물추출물 무엇인가?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조사하여 추후 항산화 효과가 있는 천연 자외선 차단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280 ~ 400 nm 영역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력을 갖는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녹차, 감초, 방풍, 칡, 그라비올라, 밀싹, 상백피, 가시박, 옻, 등 11종의 식물 추출물을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식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이 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 L. Differy, "When should sunscreen be reapplied", J. Am. Acad. Dermatol., Vol.45, No.6, pp.882, (2001). 

  2. H. Mukhtar and C. A. Elmets, "Photocarcinogenesis: mechanisms, models and human health implications". J. Photochem. Photobiol, B., Vol.63, No.4, pp.355, (1996). 

  3. D. D. Villa, A. R. S. Nagatomi, K. Paese, S. Guterres, and T. F. Cestari, "Reapplication improves the amount of sunscreen, not its regularity, under real life conditions", Photochem. Photobiol., Vol.87, No.2, pp.457, (2011). 

  4. Y.M. Yoon, S.H. Bae, S.K. An, Y. B. Choe, K. J. Ahn, I, S, An,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and Skin Cell Signaling Pathways". Kor. J. Aesthet. Cosmetol. Vol.11, No.3. pp.417-426, (2016). 

  5. H. J. Lee, "The effect of red ginseng on ultraviolet b-induced skin damages in mouse". J. of Ginseng Research, Vol.30, No.4, pp.194, (2006). 

  6. H. Masaki, "Role of antioxidants in the skin: antiaging effects", J. Dermatol. Sci., Vol.58, No.2, pp.85, (2010). 

  7. I. P. Kaur, M. Kapila, and R, "Agrawal, Role of novel delivery systems in developing topical antioxidants as therapeutics to combat photoageing", Ageing. Res. Rev., Vol.6, No.4, pp.271, (2007). 

  8. J. Krutmann and P. Schroeder, "Role of mitochondria in photoaging of human skin: the defective powerhouse model",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Vol.14, No.4, pp.301, (2009). 

  9. M. Brennan, H. Bhatti, K. C. Nerusu, N. Bhagavathula, S. Kang, G. J. Fisher, J. Varani, and J. J. Voorhees, "Matrix metalloproteinase-1 is the major collagenolytic enzyme responsible for collagen damage in UV-irradiated human skin", Photochem. Photobiol., Vol.78, No.1, pp.43, (2003). 

  10. Z. Gao, K. Huang, X. Yang, and H. Xu,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lavonoids extracted from the radix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Biochim. Biophys. Acta., Vol.1472, No.3, pp.643, (1999). 

  11. H. J. Kim, K. S. Kim, and D. I. Kim, "Inhibitory effects of Lespedeza cuneata ethanol extract on ultraviolet- induced photo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No.11, pp.1540, (2012). 

  12. M. F. Naylor and K. C. Farmer, "The case for sunscreens. A review of their use in preventing actinic damage and neoplasia", Arch. Dermatol., Vol.133, No.9, pp.1146, (1997). 

  13. C. Kim, S. B. Jung, K. H. Lim, M. H. Kang, J. H. Ahn, J. H. Kim, H. Lee,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Natural Sunscreen (BHC-S) Having Sun Screening and Anti-Wrinkle",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43, No.4 pp. 321-327, (2017). 

  14. R. P. Stokesa and B. L. Diffey, "in vitro assay of high SPF sunscreens", J, Soc. Cosmet, Chem., Vol.48, No.4, pp.289, (1997). 

  15. D. L. Damian, G. M. Halliday, and R. Stc Barnetson, "Sun protection factor measurement of sunscreens is dependent on minimal erythema dose", Br. J. Dermatol., Vol.14, No.3, pp. 502, (1999). 

  16. I. K. "sato A mechanism of UVA induced pigmentation and UVA protection", SOFW J., Vol.133, No.7, pp.12, (2007). 

  17. Ichihashi M, Ueda M, Budiyanto A, Bito T, Oka M, Fukunaga M, Tsuru K and Horikawa T, "UV-induced skin damage". Toxicol. Vol.189, No.1, pp.21-39, (2003). 

  18. C. I. Park, T. J. Kang, S. J. Lee, "Process System Engineering, Transport Phenomena, Process Safety : Effects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Emulsions Having Sun Screening Agent on Sun Protection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41, No.5 pp.598-603, (2003). 

  19. Radava R. Korac, Kapil M. Khambholja, "Potential of herbs in skin protection from ultraviolet radiation". Pharmacognosy Reviews. Vol.5, No.10 pp.164-173, (2011). 

  20. Buso, Piergiacomo, et al.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herbal-based sunscreen." Herbal Medicine. IntechOpen, (2017). 

  21. Priyanka, S., et al, "A pilot study on sun protection factor of plant extracts: an observational study." Asian. J. Pharm. Clin. Res., Vol.11 pp.67-71, (2018). 

  22. Ahmady, A., Amini, M. H., Zhakfar, A. M., Babak, G., & Sediqi, M. N, "Sun Protective Potential and Physical Stability of Herbal Sunscreen Developed from Afghan Medicinal Plants". Turkish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17, No.3, pp.285, (2020). 

  23. Jangde, R., & Daharwal, S. J, "Herbal sunscreen: An overview. Research Journal of Topical and Cosmetic". Sciences, Vol.2, No.2, pp.35-39, (2011). 

  24. Mohammad AE, Reza E, Masoumeh K, Mahdieh Ghaffarloo MS, Jamshid Yazdani C, "Correlation between Sun Protection Factor and Antioxidant Activity,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ome Medicinal Plants". Iran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Vol.13, No.3, pp1041-1047, (2014). 

  25.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12, No.2, pp.239-243 (1912). 

  26.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71, No.1, pp.109-114, (2000). 

  27.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181, No.4617, pp.1199-1200, (1958). 

  28. Sebastien C, Calliste CA, Mazeron MC, Hantz S, Duroux JL, Rawlison WD, Poly MC, Alain S. Eight "flavonoids and their potential as inhibitors of human cytomegalovirus replication". Antivi. Reserch,. Vol.96, No.2, pp.181-186, (2012). 

  29. Kyung-dong Kim, Yong-doo Lee, Seong-soon Park, Sung-hwa Youn, Seok-hyun Lee, "The effect and stability of plant extract ingredient as uv absorber".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26, No.1, pp.41-58, (2000). 

  30. Sang Mi An, Seung Jin Lee, Kwon Moo Park, Jae Sook Koh, Yong Chool Boo, "Effects of Plant Extract containing Creams on UVB Radiation-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ic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36, No.4, pp.271-280, (2010). 

  31. Kyung-dong Kim, Yong-doo Lee, Seong-soon Park, Sung-hwa Youn, Seok-hyun Lee, "The effect and stability of plant extract ingredient as uv absorber."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26, No.1, pp.41-58, (2000). 

  32. Korac, R. R., & Khambholja, K. M, "Potential of herbs in skin protection from ultraviolet radiation". Pharmacognosy reviews, Vol.5, No.10, pp.164, (2011). 

  33. Yoon, Y. Bae, S. An, S. Choe, Y. B. Ahn, K. J. & An, I. S,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and skin cell signaling pathways". Kor. J. Aesthet Cosmetol, Vol.11, No.3, pp.417-426, (2013). 

  34. Choi, S. Y., Cho, H. S., & Sung, N. J,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5, No.8, pp.961-966, (2006). 

  35. Cho EK, Gal SW, Choi YJ,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medical plants(DeulBit) and its modulatory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J. Appl. Biol. Chem, Vol.53, No.2, pp.91-98, (2010). 

  36. V. Bondet, W. Brand-Williams and C. Berset,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c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WT-Food Sci. Technol., Vol.30, pp.609-615, (1997). 

  37. Hupel, M., Poupart, N., & Gall, E. A, "Development of a new in vitro method to evaluate the photoprotective sunscreen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high UV-B radiation". Talanta, Vol.86, pp.362-371, (2011). 

  38. Radice, M., Manfredini, S., Ziosi, P., Dissette, V., Buso, P., Fallacara, A., & Vertuani, S, "Herbal extracts, lichens and biomolecules as natural photo-protection alternatives to synthetic UV filters". A systematic review. Fitoterapia, Vol.114, pp.144-162, (2016). 

  39. Donglikar, M. M., & Deore, S. 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rbal sunscreen". Pharmacognosy Journal, Vol.9, No.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