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Characteristics by Achievement Standard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5, 2020년, pp.473 - 483  

이재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구자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최원호 (순천대학교) ,  심규철 (공주대학교)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시행된 2015~2018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84개에 대한 숙달여부를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등)로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정보, 정답률 등을 활용하고, 포커스 그룹을 이용하여 숙달여부 판정에 대한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84개의 성취기준 중에 숙달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성취기준은 15개였다. 성취수준별로 보면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한 성취기준은 6개였으며, 우수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38개, 보통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3개, 기초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개였다.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하였거나 우수학력 학생들만 숙달한 성취기준이 전체 성취기준의 절반 이상이므로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운동과 에너지,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의 개수가 비슷하였으나, 물질과 생명 영역에서는 우수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고 특히 생명 영역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우수학력에 해당하였다. 우수학력 학생들도 성취하기 어려운 6개의 성취기준은 대부분의 학생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조정하거나 학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보급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generat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015-2018 National As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4년간의 학업성취도평가의 문항별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교육과정의 각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실시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학업성취 특성을 보여주는 매우 객관적이며 중요한 정보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의 개선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출제된 공개 문항의 평가 결과를 교육과정 성취기준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문항의 영역별, 성취 수준별 대표문항 수는 Table 1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4년 동안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객관적인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이 교육과정 성취기준별로 숙달 여부를 판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 절차를 통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특성을 보다 타당하고 신뢰로운 분석 결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성취기준별로 분석한 결과는 과학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특히 최근 표집 평가로 전환되면서 이러한 요구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4년 동안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객관적인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이 교육과정 성취기준별로 숙달 여부를 판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 절차를 통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특성을 보다 타당하고 신뢰로운 분석 결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과학과에 대한 학생의 학업성취 결과를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도달 정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의 4가지 성취수준으로 보고한다. 이러한 학업성취도 평가의 4가지 성취수준은 현재 개별 학교 단위에서 시행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에서 학생의 교과별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몇 개의 수준 (예: A-B-C-D-E 등)으로 나눈 것과는 구별되며,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도달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은 어떻게 보고되는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과학과에 대한 학생의 학업성취 결과를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도달 정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의 4가지 성취수준으로 보고한다. 이러한 학업성취도 평가의 4가지 성취수준은 현재 개별 학교 단위에서 시행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에서 학생의 교과별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몇 개의 수준 (예: A-B-C-D-E 등)으로 나눈 것과는 구별되며,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도달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국가 단위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를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가? OECD 국가를 포함하여 세계 많은 국가에서 각국의 교육과정의 실행을 점검하고 학교 교육의 책무성을 살피기 위해 국가 단위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NAEP(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는 학생이 다양한 과목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측정하여 학업을 수행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입안자, 연구원 및 교육자가 교육 향상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NCES, 2020). 이와 유사하게 영국에서는 NCA(National Curriculum Assessment), 독일에서는 IQB(the Institute for Educational Quality Improvement) 등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는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바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적용 상황을 점검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그동안 평가 시행의 주요 목적에 따라 전수 또는 표집 평가로 시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K. S., Hwang, J. H., & Kim, C. B. (2003).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material and change of the earth’s crus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3), 128-134. 

  2. English, J. M., & Kernan, G. L. (1976). The prediction of air travel and aircraft technology to the year 2000 using the delphi method. Transportation Research, 10(1), 1-8. 

  3. Jho, H. (2015). Analysis of electricity and magnetism presented in middle-school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science. New Physics: Sae Mulli, 65(10), 982-993. 

  4. Kim, J. (2009). Comparison of concepts on forc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Sae Mulli, 58(4), 403-408. 

  5. Kim, H., & Jeong J. (2018). A study on the standard setting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revised science curriculum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5), 305-330. 

  6. Kim, H., Lee, I., Lee, B., Lee, K., & Sim, J. (2015).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through the use of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121-130. 

  7. Kim, D., Kim, D., Kim, Y., Kim, J., Lee, J., Seo, M., Jo, Y., Lee, K., Lee, I., Sim, J., Bae, J., Jung, G., Choi, W., & Park, Y. (2013). A study of the featur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RRE 2013-4. 

  8. Kim, K. (2017). A study on the functions of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by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4), 145-173. 

  9. Kim, K., Song, M., Kim, Y., Choi, H., Shin, J., Park, I., Kim, J., & Kim, S. (2012).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ORM 2012-1-1. 

  10. Kim, Y., Kang, N. H., Kang, H., Maeng, S., & Lee, J. K. (2016). Item response analysis of energy as a cross-cutting concept for grades 3 to 9.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6), 815-833. 

  11. Kwon, H. S, Park, I., & Kim, Y. (2018). An analysis of semantic network in photosynthesis unit on middle school textbook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Biology Education, 46(1), 63-70. 

  12. Ku, J., Kim, K. J., Kim, J-S., Park, S. B., Park, J., Sung, K., Lee, K. S., Lee, S., Lee, J., Jang, E-S., Kang, J., Choi., W., Shim, K-C., & Shin, M-K. (2019).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RRE 2019-7. 

  13.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4. Liu, X., & McKeough, A. (2005). Developmental growth in students’ concept of energy: Analysis of selected items from the TIMSS databa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493-517. 

  15. Lee, B., & Lee, I. (2015).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465-475. 

  16. Lee, J., Choi., W., Kim, Y., Lee, K., Dong, H., & Park, H. (2017).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6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ORM 2017-95-4. 

  17. Lee, J., Choi., W., Kim, Y., Lee, K., Dong, H., & Park, H. (2018).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7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ORM 2018-81-4. 

  18. Lee, J. Choi., W., Shim, K-C., Shin, M-K., & Park, H. (2019).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8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ORM 2019-45-4. 

  19. Lee, J., Kim, Y. J., Paik, S. H., & Lee, K. Y. (2010). An Analysis of content-related issues of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 140-154. 

  20. Lee, J., Nam, K., Son, J., & Lee, S. (2004). An analysis of the type of teacher and student’s concept on ray-tracing and spectrum in the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189-1205. 

  21. Lee, J. (2019),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vision concepts by achievement level. New Physics: Sae Mulli, 69(7), 727-736. 

  22. Lee, K., Dong, H., Choi, W., Kwon, K., Lee, I., & Kim. Y. (2017).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eight core concepts of middle school science us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3), 382-404. 

  23. Lee, J. (2006). Delphi method. Seoul: Kyoyookbook. 

  24.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NCES). (2020). About NAEP. Retrieved May 10, 2020, from https://nces.ed.gov/nationsreportcard/. 

  25. Neumann, K., Viering, T., Boone, W. J., & Fischer, H. E. (2013). Towards a learning progression of ener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2), 162-188. 

  26. Noh, S. (2006). Delphi technique: predict the future with professional insights. Planning and Policy, 299, 53-62 

  27. Noh, E., Kim, Y., Kim, K., Cho, Y., Lee, K. S., Bae, J., Hwang, P., Lee, J., Seo, M., Park, J., Lee, I., Shim, J., Kim, D., & Kim, H. (2014). Improv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2009 revised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CRE 2014-4. 

  28. Mathai, S., & Ramadas, J. (2009). Visuals and visualization of human body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3), 439-458. 

  29. Park, J., Park, Y., & Kang, S. (2013). Analysis of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about concepts of the changes of state and kinetic theory on ‘science 1’ textbooks in junior high school (III).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7(5), 640-655. 

  30. Paik, S. H., Jung, Y. K., & Ha, K. M. (2007).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s by science historical viewpoints about motions of object.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3(4), 155-170. 

  31. Paik, S. H., Kim, H. S., Han, Y. H., & Kim, S. H. (2010). A comparison of instruction effectiveness between the experiment of precipitation and the experiment with ball and stick model related to ‘law of definite proportion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4(3), 338-349. 

  32. Sang, K., Kwak, Y., Park, J. H., & Park, S. (2016).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findings from TIMSS 2015 for Kor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RRE 2016-15-1. 

  33. Seo, K., & Kim, Y. (2020). Changes in articulation of stimulus and reaction unit concepts according to revision of curriculum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Biology Education, 48(1), 20-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